•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05~2006년 영아사망 수준 및 특성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2005~2006년 영아사망 수준 및 특성분석"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보건복지부는 OECD 가입을 계기로 1993년 출생아에 대한 영아사망조사를 실시한 이래로 3년 주기로 영아 사망 조사를 실시해 왔다. 제5차 영아사망조사인 2005~2006년 영아사망 조사는 2년간 발생하는 영아사망을 동시에 조사하여 지표 를 생산하였다. 과거의 조사에서는 출생코호트 영아사망률을 생산하였으나, 본 조사에서는 2005년과 2006년 기간영아사망률과 2005년도 출생코호트 영아사망률을 동시에 산출하였으며, 사망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영유아 및 모자보건정책의 수 립, 평가 국제기구 통계요구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2005~2006년영아사망수준및특성분석

Infant Mortality Level and Characteristics in 2005~2006

한영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빙연구위원

1996년 우리나라의 OECD 회원국 가입은 모

든 국가정책 수립과 평가에 기본이 되는 국가통

계 생산에서 양적인 확대와 질적인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계기가 되었다. 영아사망률은 한 국가

나 지역의 사회경제적 수준, 보건 복지수준을

종합적으로 반영하고 있어 정책수립 및 평가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보건지표 중 하나이다. 그

동안 영아사망 통계는 일부지역에 국한된 조사

또는 생명표 방법 등에 의해 추정하였으나,

OECD 가입을 앞두고 실제 자료가 뒷받침되는

영아사망 통계생산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한

국보건사회연구원은 국민건강보험자료를 기초

로 한 새로운 조사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 방

법에 의해 주기적인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영아

사망률을 산출하였다.

영아사망조사는 특수환자조사의 일환으로

1993년도 출생아에 대한 조사로 시작되었으며,

1998년 이후에는 매 3년 주기의 일반조사로 정

착되었으며, 사산과 모성사망 조사가 추가되었

다. 2005~2006년 영아・모성사망조사는 과거

조사와는 몇 가지 점에서 차이가 있다. 첫째는

2005년과 2006년 2년간 발생하는 영아사망을

조사하여 2년간 지표를 생산하였으며, 둘째로

과거의 영아사망률은 출생코호트에 기반한 조

사 로 출 생 코 호 트 영 아 사 망 률 이 었 으 나 ,

2005~2006년 영아・모성사망조사에서는

2005년과 2006년에 발생한 기간영아사망률 산

출과 동시에 2005년도 출생아에 대해서는 출생

코호트 영아사망률도 산출하였다. 과거 의료기

관조사는 보건소를 통하여 조사가 실시되었으

나, 금번에는 대한의무기록협회에서 종합병원

과 병원조사를, 의원조사는 보건소에서 담당하

(2)

도록 업무를 분담하였다. 출산 및 사망 관련 기

존자료 수집에서 과거에 비해 분만과 사망이 종

합병원과 병원에 집중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

으며, 따라서 조사대상 의료기관이 1995년

6,766개소에서 2008년에는 2,250개소로 감소

되었다(표 1, 표 2). 코호트영아사망률은 동일 연

도에 출생한 영아 중 첫돌 이전 사망아 통계로

실제 동일한 집단 내에서 발생한 사망확률을 산

출함으로 사망확률로서 의미가 크지만 코호트

영아사망률 산출을 위해서는 출생아가 첫돌이

되기까지 1년을 더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지표

생산이 늦어지게 된다. 기간영아사망률은 동일

연도에 출생아가 분모가 되고 그 해에 사망한

영아가 분자가 되므로 전년도에 출생한 영아사

망이 포함이 되는 한계가 있으나, 지표생산을

위해 1년을 더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해결이 된

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영아사망률은 신고자료

로부터 산출하므로 기간영아사망률을 생산하

고 있다.

표 1. 영아・모성사망조사 추진연혁

조사일시 조사종류 조사 대상자 조사대상 기관수 조사기관 ’95. 11. 15 ~11. 21 영아사망 - ’93년 출생아중 첫돌이전 사망아 총 6,766개 기관 - 종합병원(281) - 병원(493) - 의원(5,608) - 조산소(145) - 보건기관(239) 총 1,169개 기관 - 종합병원(276) - 병원(223) - 의원(413) - 한방(8) - 조산소(4) - 보건기관(245) 총 3,930개 기관 - 종합병원(292) - 병원(566) - 의원(2,589) - 한방(131) - 조산소(90) - 보건기관(262)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97. 11. 10 ~11. 15 모성사망 - ’95~’96년(2년간) 발생 모성사망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98. 11. 1 ~11. 14 영아사망・ 사산 - ’96년 출생아중 첫돌이전 사망아 - ’96~’97년(2년간) 발생 사산아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

조사일시 조사종류 조사 대상자 조사대상 기관수 조사기관 2001. 12. 17 ~12. 30 영아사망・ 사산・ 모성사망 - ’99년 출생아중 첫돌이전 사망아 - ‘99~’00년 발생 모성사망 - ’99~’00년 발생 사산아 총 4,513개 기관 - 종합병원(312) - 병원(765) - 의원(3,097) - 조산소(104) - 보건기관(235) 총 6,673개 기관 - 종합병원(329) - 병원(1,073) - 의원(4,976) - 조산소(46) - 보건기관(249) 총 2,250개 기관 - 종합병원(275) - 병원(322) - 의원(1,615) - 조산소(16) - 보건지소(15) - 기타(8)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 11. 29 ~12. 30 영아사망・ 사산・ 모성사망 - ’02년 출생아중 첫돌이전 사망아 - ’02~’03년 발생 모성사망 - ’02년 발생사산아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10. 8 ~11. 7 (본 조사) 영아사망・ 사산・ 모성사망 - ’05~’06년 발생 영아사망, 사산, 모성사망 보건복지가족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대한의무기록협회 <표 1> 계속

표 2. 2005~2006년 기간 영아사망과 코호트영아사망 대상자 비교

구분 2005 기간 영아사망 (Period Infant Death) 영아로서 사망년도가 2005~2006년임. 코호트 영아사망 (Cohort Infant Death) 영아로서 출생년도가 2005~2006년임. 2006 2007 비고 2005년 출생 2005년 사망 2005년 출생 2006년 사망 2006년 출생 2006년 사망 2006년 출생 2007년 사망 2005년 출생 2006년 사망 2006년 출생 2006년 사망 2004년 출생 2005년 사망 2005년 출생 2005년 사망

(4)

건강보험자료를 이용한 영아・모성사망조사

흐름도는 다음과 같다. 영아・모성사망 조사설

계 단계에서 기존자료를 수집하고, 자료간 연결

과 분석을 통해 신고누락된 영아사망, 그리고

신고자료로부터 파악되지 않은 모성사망을 찾

기 위한 조사대상자를 추출하였다. 한편, 영아

사망 또는 모성사망으로 이미 신고된 대상자에

대해서는 사망발생 의료기관으로 가서 사망자

에 관한 추가 정보수집을 위한 조사를 실시하였

다(그림 1).

1. 인구사회적 특성별 영아사망

분포

이번 조사결과 밝혀진 사망영아의 총 수는

2005년 2,062명이며, 이 중 남아가 전체 사망영

아의 53.7%를 차지하였다. 생존기간별로 보면

영아의 60.4%가 신생아기에 사망을 하였으며,

출생 후 첫 1주 동안 사망한 영아는 전체 영아의

41.8%였다(표 3).

2006년에 발생한 사망영아 수는 1,856명이

며, 이 중 남아가 전체 사망영아의 56.5%를 차

지하였다. 영아의 60%가 신생아기에 사망을 하

였으며, 출생후 첫 1주 동안 사망한 영아는 전체

영아의 39.4%였다(표 4).

그림 1. 영아・모성사망조사 흐름도

(5)

출산순위별 사망영아 분포는 2005년에는 첫

째아가 49.4%, 둘째아가 35.4%를 차지하였으

며, 2006년에는 첫째아가 53%, 둘째아가

33.5%를 차지하고 있다(표 5, 표 6).

사망영아의 성별 출산순위별 분포를 보면

2005년 여아에서 첫째아는 50.9%, 남아는 첫째

아가 47.8%로 여아에서 첫째아가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2006년에도 여아는 첫째아가 58.0%,

남아는 첫째아가 48.8%로 여아가 높았다. 첫째

아에서 성별 차이는 2005년에 비해 2006년에

더 컸으나, 정보 미상 건수가 많기 때문에 해석

에 주의를 요한다(표 7, 표 8)

표 3. 성별・생존기간별 사망영아 분포(2005년)

생존기간 신생아(28일 미만) 7일 미만 7~28일 미만 신생아 후기(29~365일) 28~90일 미만 90~180일 미만 180일~1년 미만 영아(1~365일) 남 아 명 671 465 206 432 214 126 92 1,103 60.8 42.2 18.7 39.2 19.4 11.4 8.3 100.0 569 390 179 383 174 122 87 952 59.8 41.0 18.8 40.2 18.3 12.8 9.1 100.0 1,246 861 385 816 389 248 179 2,062 60.4 41.8 18.7 39.6 18.9 12.0 8.7 100.0 비율(%) 여 아 명 비율(%) 전 체1) 명 비율(%) 주: 1) 성별미상 7명 포함.

표 4. 성별・생존기간별 사망영아 분포(2006년)

생존기간 신생아(28일 미만) 7일 미만 7~28일 미만 신생아 후기(29~365일) 28~90일 미만 90~180일 미만 180일~1년 미만 영아(1~365일) 남 아 명 629 439 190 415 172 149 94 1,044 60.2 42.0 18.2 39.8 16.5 14.3 9.0 100.0 477 289 188 327 144 102 81 804 59.3 35.9 23.4 40.7 17.9 12.7 10.1 100.0 1,113 732 381 743 316 251 176 1,856 60.0 39.4 20.5 40.0 17.0 13.5 9.5 100.0 비율(%) 여 아 명 비율(%) 전 체1) 명 비율(%) 주: 1) 성별미상 8명 포함.

(6)

표 5. 출산순위별 사망영아 분포(2005년)

신생아사망 신생아후기사망 영아사망 출생아(출생신고) 첫째아 명 377 179 556 224,863 비율(%) 49.7 48.8 49.4 51.3 272 126 398 167,867 35.9 34.3 35.4 38.3 75 45 120 37,238 9.9 12.3 10.7 8.5 34 17 51 4,518 4.5 4.6 4.5 1.0 758 367 1,125 438,062 100.0 100.0 100.0 100.0 둘째아 명 비율(%) 셋째아 명 비율(%) 넷째아 이상 명 비율(%) 전체 명 비율(%) 주: 사망아의 출산순위 미상 937명, 통계청 신고 출생아의 출산수위 미상 3,576명 제외

표 6. 출산순위별 사망영아 분포(2006년)

신생아사망 신생아후기사망 영아사망 출생아(출생신고) 첫째아 명 417 179 596 233,035 비율(%) 53.5 52.0 53.0 51.6 251 125 376 172,323 32.2 36.3 33.5 38.2 83 26 109 37,813 10.6 7.6 9.7 8.4 29 14 43 4,656 3.7 4.1 3.8 1.0 780 344 1,124 451,514 100.0 100.0 100.0 100.0 둘째아 명 비율(%) 셋째아 명 비율(%) 넷째아 이상 명 비율(%) 전체 명 비율(%) 주: 사망아의 출산순위 미상 732명, 통계청 신고 출생아의 출산순위 미상 3,687명 제외

표 7. 성별 및 출산순위별 사망영아 분포(2005년)

출산순위 첫째아 둘째아 셋째아 넷째아 이상 전 체 남 아 명 289 226 62 28 605 47.8 37.4 10.2 4.6 100.0 261 171 58 23 513 50.9 33.3 11.3 4.5 100.0 550 397 120 51 1,118 49.2 35.5 10.7 4.6 100.0 비율(%) 여 아 명 비율(%) 전 체 명 비율(%) 주: 성별미상 및 출산순위 미상 944건(성별 미상 7건, 출산순위 미상 937건) 제외

성별 재태기간별 사망영아의 분포를 보면 미

숙아에 해당되는 재태기간 28주 미만이 2005년

28.1%, 2006년 31.0%에 달하고 있다. 재태기간

28주 미만 비율이 2005년 여아의 경우 30%로

남아의 26.4% 보다 높았으나 2006년에는 여아

31.2%, 남아 30.8%로 성별 차이가 별로 없는 것

(7)

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재태기간 정보 미상이

상당수이며, 2005년과 2006년 사이에 재태기간

정보 미상 수 차이가 있어서 해석의 주의를 요

한다(표 9, 표 10).

표 8. 성별 및 출산순위별 사망영아 분포(2006년)

출산순위 첫째아 둘째아 셋째아 넷째아 이상 전 체 남 아 명 310 228 71 26 635 48.8 35.9 11.2 4.1 100.0 280 148 38 17 483 58.0 30.6 7.9 3.5 100.0 590 376 109 43 1,118 52.8 33.6 9.7 3.8 100.0 비율(%) 여 아 명 비율(%) 전 체 명 비율(%) 주: 성별미상 및 출산순위 미상 738건(성별 미상 8건, 출산순위미상 732건) 제외

표 9. 성별 재태기간별 사망영아 분포(2005년)

28주 미만 28~32주 미만 32~37주 미만 37~42주 미만 42주 이상 전 체 남 아 명 218 122 111 368 6 825 26.4 14.8 13.5 44.6 0.7 100.0 224 98 102 318 5 747 30.0 13.1 13.7 42.6 0.7 100.0 442 220 213 686 11 1,572 28.1 14.0 13.5 43.6 0.7 100.0 비율(%) 여 아 명 비율(%) 전 체 명 비율(%) 주: 정보미상 490건(성별 미상 7건, 재태기간 미상 483건) 제외

표 10. 성별 재태기간별 사망영아 분포(2006년)

28주 미만 28~32주 미만 32~37주 미만 37~42주 미만 42주 이상 전 체 남 아 명 267 125 112 360 4 868 30.8 14.4 12.9 41.5 0.5 100.0 206 85 87 280 2 660 31.2 12.9 13.2 42.4 0.3 100.0 473 210 199 640 6 1,528 31.0 13.7 13.0 41.9 0.4 100.0 비율(%) 여 아 명 비율(%) 전 체 명 비율(%) 주: 정보미상 328건(성별 미상 8건, 재태기간 미상 322건) 제외

(8)

출생체중별 사망영아의 분포는 1,000g 미만

이 2005년 27.8%, 2006년 29.8%이며 재태기간

별 분포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성별 출

생체중분포에서 2005년에는 1,000g 미만에서

여아가 30.6%로 남아의 25.4%에 비해 높은 분

포를 보였으나, 2006년에는 남아가 30.5%로 여

아 28.8% 보다 높았다(표 11, 표 12).

태수 정보를 알 수 있었던 사망영아 수는

2005년 1,554건이었으며, 이 중 다태아 수는

211건으로 13.6%를 차지하였다. 단태아인 경

우 신생아기에 사망이 53.0%를 차지한 반면 다

태아의 경우 신생아기 사망이 70.1%로 다태아

에서 단태아에 비해 신생아기 사망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2006년 사망영

표 11. 성별 출생체중별 사망영아 분포

1000g 미만 1000~1500g 미만 1500~2500g 미만 2500~4000g 미만 4000g 이상 전 체 212 130 115 354 25 836 25.4 15.6 13.8 42.3 3.0 100.0 228 78 124 307 8 745 30.6 10.5 16.6 41.2 1.1 100.0 268 122 126 353 10 879 30.5 13.9 14.3 40.2 1.1 100.0 189 98 104 263 3 657 28.8 14.9 15.8 40.0 0.5 100.0 남아 2005 2005 명 비율(%) 여아 명 비율(%) 남아 명 비율(%) 여아 명 비율(%) 주: 정보미상 2005년 481건, 2006년 320건 제외

표 12. 태수별 사망영아 분포(2005년)

신생아사망 7일 미만 7~28일 미만 신생아 후기사망 28~90일 미만 91~180일 미만 180~1년 미만 영아사망 712 469 243 631 277 201 153 1,343 (86.4) 53.0 34.9 18.1 47.0 20.6 15.0 11.4 100.0 148 103 45 63 37 18 8 211 (13.6) 70.1 48.8 21.3 29.9 17.5 8.5 3.8 100.0 705 443 262 596 234 216 146 1,301 (87.5) 54.2 34.1 20.1 45.8 18.0 16.6 11.2 100.0 139 95 44 47 32 7 8 186 (12.5) 74.7 51.1 23.7 25.3 17.2 3.8 4.3 100.0 단태아 2005 2005 명 비율(%) 다태아 명 비율(%) 단태아 명 비율(%) 다태아 명 비율(%) 주: 태수 미상 508건 제외

(9)

아 중 다태아 사망이 12.5%를 차지하였다. 단태

아인 경우 신생아기 사망이 54.2%를 차지한 반

면 다태아의 경우 신생아기 사망이 74.7%로 역

시 높은 분포를 보였다(표 12).

2. 영아사망률

본 조사 결과 산출된 영아사망률은 2005년

4.7에서 2006년 4.1로 감소하였으며, 성별로는

2005년 남아 영아사망률이 4.9 여아의 경우 4.5,

2006년 남아 4.5, 여아 3.7이었다(표 13).

영아사망률의 추세를 보면 1993년 9.9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06년에는 4.1로 감소되

었으며, 신생아사망률 또한 1993년 출생아 천

명당 6.6에서 2006년 2.5로 감소되었다(표 14).

과거에는 영아사망을 시도별 시부 군부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으나, 영아사망 건수가 감소

하고 시부 군부의 경계 변화가 자주 일어나며

또한 시부 군부간 일관된 추세를 볼 수 없어 본

조사에서는 시・도 자료만을 제시하였다. 사망

영아의 분포를 보면, 가장 높은 지역은 경기도

로 2005년 23.1%, 2006년 22.0%였으며, 그 다

음 서울이 2005년 16.7%, 2006년 19.2%였다.

표 13. 성별 영아사망률(2005년, 2006년)

구분 사망아 수 비율(%) 출생아 수 영아 사망률 2005 남 1,103 (53.7) 227,167 4.9 952 (46.3) 210,895 4.5 2,062 (100.0) 438,062 4.7 1,044 (56.5) 233,845 4.5 804 (43.5) 217,669 3.7 1,856 (100.0) 451,514 4.1 여 계 2006 남 여 계 주: 영아사망률은 출생아 1,000명당 영아사망수임.

표 14. 생존기간 및 성별 영아사망률 추세(1993~2006년)

생존기간 신생아(0~27일) 신생아 후기(28~364일) 영아(0~364일) 1993 남아 7.0 3.6 10.5 6.1 3.1 9.2 6.6 3.3 9.9 4.4 3.7 8 3.8 3.6 7.4 4.1 3.6 7.7 4.1 2.4 6.5 3.4 2.4 5.8 3.8 2.4 6.2 여아 전체 1996 남아 여아 전체 1999 남아 여아 전체 생존기간 신생아(0~27일) 신생아 후기(28~364일) 영아(0~364일) 2002 남아 3.5 2.2 5.7 3.1 1.9 5.0 3.3 2.0 5.3 3.0 1.9 4.9 2.7 1.8 4.5 2.8 1.9 4.7 2.7 1.8 4.5 2.2 1.5 3.7 2.5 1.6 4.1 여아 전체 2005 남아 여아 전체 2006 남아 여아 전체 주: 영아사망률은 출생아 1,000명당 영아사망수임.

(10)

표 15. 시・도별 영아사망률(2005년, 2006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체 2005 사망수 345 118 119 113 74 56 53 475 51 68 87 88 79 153 149 32 2,060 89,484 25,459 20,676 22,824 13,228 13,861 10,421 108,572 12,537 13,074 17,366 15,617 15,715 22,196 28,291 5,673 438,062 3.9 4.6 5.8 5.0 5.6 4.0 5.1 4.4 4.1 5.2 5.0 5.6 5.0 6.9 5.3 5.6 4.7 356 119 99 106 37 56 49 409 61 54 63 80 71 126 138 31 1,855 92,876 25,673 20,220 23,543 13,574 14,388 10,685 114,136 12,371 13,273 18,501 15,449 15,809 22,432 29,368 5,806 451,514 3.8 4.6 4.9 4.5 2.7 3.9 4.6 3.6 4.9 4.1 3.4 5.2 4.5 5.6 4.7 5.3 4.1 출생수 사망률 2006 사망수 출생수 사망률

시・도별 영아사망률은 2005년 서울이 3.9로

가장 낮았고 경북이 6.9로 가장 높았으며, 2006

년에는 광주가 2.7로 가장 낮은 지역이었고, 경

북이 5.6으로 가장 높은 지역이었다(표 15).

3. 2005년 출생코호트 영아사망

그동안 영아사망조사는 동일연도에 출생한

출생코호트의 영아사망조사였으며, 출생후 1년

간을 추적하였으므로 사망은 2년간에 걸쳐 발

생하였으며, 이로부터 출생코호트 영아사망률

을 산출하였다. 그러나 금번 조사에서는 2년간

영아사망을 동시에 조사하면서 시의성이나 편

의성 때문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기간영

아사망률을 산출하였고, 그동안 사용하여 왔던

코호트 영아사망률을 동시에 산출하여 기간영

아사망률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2005년 출생코호트 영아사망 수는 성별 미상

을 포함하여 2,048명이었으며, 성별을 알 수 있

었던 사망 영아중 남아 1,107명, 여아 934명이

었다. 2005년 기간영아사망 수가 2,062명에 비

해 14명이 적은 수이다(표 16).

한편 2005년 기간 영아사망 수와 코호트 영

아사망 수의 차이가 약간 있었으나, 두 가지 방

법에 의해 산출된 영아사망률은 여아에서 2005

년 출생코호트 4.4, 2005년 기간 4.5로 약간 차

이가 있었을 뿐 남아사망률 4.9, 전체 영아사망

률은 4.7로 같은 수준이었다(표 17).

한편 2005년 기간 영아사망 수와 코호트 영

(11)

표 16. 성별・생존기간별 사망영아 분포(2005년 출생코호트)

생존기간 신생아(28일 미만) 7일 미만 7~28일 미만 신생아 후기(29~365일) 28~90일 미만 90~180일 미만 180~1년 미만 영아(1~365일) 남 아 명 660 463 197 447 217 143 87 1,107 비율(%) 59.6 41.8 17.8 40.4 19.6 12.9 7.9 100.0 573 392 181 361 171 111 79 934 61.4 42.0 19.4 38.7 18.3 11.9 8.5 100.0 1,239 861 378 809 389 254 166 2,048 60.5 42.0 18.5 39.5 19.0 12.4 8.1 100.0 여 아 명 비율(%) 전 체1) 명 비율(%) 주: 1) 성별미상 7명 포함.

표 17. 성별 영아사망 수 및 영아사망률(2005년 출생코호트, 2005년 기간)

구분 사망아 수 비율(%) 출생아 수 영아 사망률 2005년(출생코호트) 남 1,107 (54.2) 227,167 4.9 934 (45.8) 210,895 4.4 2,048 (100.0) 438,062 4.7 1,103 (53.7) 227,167 4.9 952 (46.3) 210,895 4.5 2,062 (100.0) 438,062 4.7 여 계 2005년(기간) 남 여 계

표 18. 성별 영아사망 수 및 영아사망률(2005년 출생코호트, 2005년 기간)

구분 사망아 수 비율(%) 출생아 수 영아 사망률 2005년(출생코호트) 남 1,107 (54.2) 227,167 4.9 934 (45.8) 210,895 4.4 2,048 (100.0) 438,062 4.7 1,103 (53.7) 227,167 4.9 952 (46.3) 210,895 4.5 2,062 (100.0) 438,062 4.7 여 계 2005년(기간) 남 여 계

아사망 수의 차이가 약간 있었으나, 두 가지 방

법에 의해 산출된 영아사망률은 여아에서 2005

년 출생코호트 4.4, 2005년 기간 4.5로 약간 차

이가 있었을 뿐 남아사망률 4.9, 전체 영아사망

률은 4.7로 같은 수준이었다(표 18).

수치

표 5. 출산순위별 사망영아 분포(2005년) 신생아사망 신생아후기사망 영아사망 출생아(출생신고) 첫째아명377179556224,863 비율(%)49.748.849.451.3 272 126398167,867 35.934.335.438.3 754512037,238 9.9 12.310.78.5 3417 514,518 4.54.64.51.0 758367 1,125438,062 100.0100.0100.0100.0둘째아명비율(%)셋째아명비율(%)넷째아 이상명비율
표 15. 시・도별 영아사망률(2005년, 2006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체 2005사망수3451181191137456534755168878879153149322,060 89,48425,45920,67622,82413,22813,86110,421108,57212,53713,07417,36615,61715,71522,19628,2915,673438,062 3.94.65.8 5.05.64.
표 16. 성별・생존기간별 사망영아 분포(2005년 출생코호트) 생존기간 신생아(28일 미만) 7일 미만 7~28일 미만 신생아 후기(29~365일) 28~90일 미만 90~180일 미만 180~1년 미만 영아(1~365일) 남 아명660463197447217143871,107 비율(%)59.641.817.840.419.612.97.9100.0 57339218136117111179934 61.442.019.438.718.311.98.5100.0 1,239

참조

관련 문서

• 30초 동안의 아래 3가지 스트레칭 기법을 사용하여 햄스트링근 신전 전후에 다리를 완전히 편 상태에서 동료와 함께 각도계를 이용하여

다중 프로그래밍 1대의 CPU로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처리하는 방식 시분할 시스템 1대의 시스템을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하는 방식. 다중 처리

또한 육가공업체가 사용하는 돼지고기 부위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익숙한 삼겹살이 아닌 가격 움직임이 상이하게 움직이는 전지/후지 등 특수부위 위주로

Key Words: Carbon tax, labor migration, tax regime, welfare effect, fossil fuel demand,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double dividend hypothesis..

공정성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많이 이루어져 왔으며 이에 , 대한 중요성 또한 충분히 인식되고 있으나 공정성 개념이 ,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개념이다 보니 이에

초미세먼지가 노인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개인 수준 자료 와 지역 수준 자료를 사용하여 다수준

 그렇기 때문에 기업들은 브랜드를 상징하는 이미지를 디 자인하는데

① 직선형 : 유수방향에 직각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보하류를 변화시키지 않아 서 하도 유지상 적당하고, 공사비도 저렴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많이 채택 하는 형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