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수특 3-5강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수특 3-5강"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기원전 3세기 ~ 7세기의 동아시아의 주요 인구 이동

① 진·한 교체기(기원전 3세기 진 말~기원전 2세기 한 초기) ·북부 베트남 쪽에서 찌에우 다 (趙佗)가 어우락 왕국을 멸하고 남월국을 건국 ·중국 쪽에서 고조선(당시 왕은 준왕)으로 인구 이동 → 한 초기 에 중국 쪽(전국 7웅의 연×, 한 초기 군국제일 때 연나라)에서 이동해 온 위만 집단이 준왕을 몰아내고 고조선을 장악(위만 조 선) ② 고조선 유민의 이주 : 위만 조선의 성립에 따른 준왕 집단이 한반도 남부로 이주(기원전 2세기)하여 그 일부가 신라의 모태가 되는 사로국을 건국 ③ 일본의 야요이 문화(기원전 3세기~3세기)의 성립 : 한반도 등에서 일본의 규슈 지역으로 이동한 이주민에 의해 야요이 문화(금속기 의 사용과 벼농사)가 발달함 ④ 고구려의 건국(기원전 1세기) : 부여에서 이동한 주몽 집단이 압록강 중류의 졸본 지역에서 고구려를 건국함(토착세력인 예족·맥족 과 연합) ⑤ 백제의 건국(기원전 1세기) : 고구려에서 이동한 온조 집단이 한강 유역에서 백제를 건국함(점차 토착 세력인 마한 세력 압도) ⑥ 5호 16국 시대의 개막(4세기) : 서진 말기 중국의 혼란 속에서 흉노·선비·저·갈·강족(5호)가 화북 곳곳에 국가를 세움(5호 16국 시대) → 화북의 한족이 대거 강남지역으로 이주함 → 4세기 말 선비족이 세운 북위가 5호 16국을 통일함 ⑦ 남북조 시대의 개막(5세기) : 5호 16국 시대부터 화북의 한족이 남하(강남 개발 촉진), 5세기 화북에는 선비족의 북위, 강남에는 한족의 송이 성립(남북조 시대) ⑧ 일본의 야마토 정권의 성립(3세기 말~4세기초)과 아스카 문화(7세기 전반) : 한반도의 삼국 항쟁기에 한반도에서 일본 지역으로 이동한 가야·백제인 등 도래인에 의해 야마토 정권이 발달함 → 백제 등의 영향(불교 전래 등)을 받아 아스카 문화가 발달함

도래인 → 일본의 문화 발전

(2)

3세기~9세기 외우기

4세기 : 5호 16국(4×4=16) / 5세기 : 절반(남북조 시대) / 7세기 이후 : 칠수당, 팔당, 십송, 13일의 월요일~ 오명칠청

3세기~9세기의 중국의 주요 정치· 경제·문화 상황

4세기~9세기의 중국 주변 국가의 주요 정치· 경제·문화 상황

동아시아 질서의 다원화와 호한 융합의 문화 중국 중심의 일원적 질서 구축과 동아시아 문화권 형성 4세기(16 야근) 5세기~6세기 7세기 전반 7세기 후반 이후 ·중국 : 화북에서 5호 16국 ·중국 : 남북조 시대 개막, 북 ·중국 : 수의 멸망 → 당의 중 ·중국 : 당이 동아시아의 패

(3)

4세기~9세기의 중국 주변 국가의 주요 정치·경제·문화 상황(2)

4세기 전반부 동진VS 5호16국 근초고왕의 전성기(고구려를 위협함, 요서와 산둥에 백제군 설치, 일본에 칠지도 전파) 강남의 동 진 백제 왜 동진에서 불교 수용 일본(야마토)에 천자문과 유교 전파(아직기·왕인) 낙랑국 멸망 고구려 화북(5호16국 시대) 전진(저족)에서 불교 수용 3세기말~4세기초 야마토 정권의 성립(야요이 문화×) 거대한 전방후원분 건설 4세기 말~ 5세기초 동진VS 5호16국 화북 지역의 5호16국 고구려(광개토대왕) 신라(내물왕) 고구려가 요동을 포함한 만주 지 역을 장악, 고구려가 원군을 파견하여 신라에 침입한 왜(야마토)·가야 연합군을 격파(광개토 대 왕릉비와 호우명 그릇) 5세기 후반~ 6세기 후반 고구려(장수왕) 남북조와 외교(특히 북위), 남진 정책 → 백제의 수도인 한성을 함락 웅진 천도 남조 백제 왜 무령왕릉(남조의 영향을 받은 벽돌 무덤) 사비 천도 일본에 불교 전 파 국왕권 강화 → 대왕(大王)이라는 칭호 사용, 씨성(氏姓) 제도 실시(왕이 중앙과 지방의 호족 에게 성을 부여함) 불교 수용 6세기 후반에 한강 유역 장악 → 중국과 직접 교류 북제·북주가 돌궐의 공주를 맞이하려고 경쟁 7세기 수·당이 화친·이간·정벌 추진 → 화번 공주(수의 의성공주 등)의 파견 → 당태종때 돌궐 정벌 수의 침략 → 당태종의 침략 돌궐 고구려 백제 왜 당 신라 나당연합군의 침략으로 고 구려 멸망(665년) 나당 연합군의 침략 → 백제 멸망(660년) → 왜의 지원(백강 전투) 나당연합군 결성 → 백제 멸망 → 고구려 멸망 → 나당 전쟁의 승리(676년) 의상(화엄종)·원효 (정토종) 등의 고승 활약 견수사와 견당사 파견 다이카 개신(646년, 균전제를 모방하여 반전수수법 실시) 백제 멸 망(660년) 이후 백제 부흥 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수군을 파견(백강 전투) 견당사와 견신라사 파견 토욕혼(선비족)을 정복하고 당을 압박하면서 티베트의 라싸를 중심으로 성장, 송첸캄포 왕때 크게 발달(당 태종 때 문성공주를 왕비로 보내면서 불교가 티베트에 전파) 8세기 ~9세기 당과 활발한 교역(산둥 반도, 양쯔 강에 신라 방 설치, 9세기 장보고의 활약) 일본(규슈 다자이 후)과 교역하였으나 8세기 말 사절 파견 중단 당에 유학승·유학생(혜초, 도의, 최치원 등) 발해의 건국(698년, 고구려 유민 + 말갈족) → 초기에는 당과 대립 → 8세기 후반 이후 당과 친선 관계 유지, 독자적 연호를 사용하면서 당의 문물 수입(3성 6부, 당의 수도 장안을 모방한 상경성 축조 등), 일본과 활발한 교류 다이호 율령(당의 3성 6부 제도 수용) → 나라 헤이조 쿄(당의 장안을 모방)로 천도 <고사 기>·<일본서기> 편찬 고쿠분 사 건설, 동다이사에서 당의 감진이 불교 활동 신라를 조공국으 로 간주함 → 8세기 말 양국은 사절 파견을 중단(견신라사 폐지) 헤이안 쿄로 천도(헤이안 시대 개막, 794년~1185년) 엔닌이 장보고의 도움을 받아 당에 구법 활동 견당사 폐지 → 국풍 문화 발달(가나 제작) 주술과 기도를 중시하는 밀교 확산

중국 남북조 시대의 북조와 남조 비교

(4)

북위의 한화 정책

북방 유목 민족의 중국 통치 방식

(5)

중국의 불교

한국의 불교

동아시아 불교의 특징

일본의 불교

한 불교가 비단길(사막길)을 통해 중국에 전래 위진 남북 조 왕권 강화를 위해 불교를 적극적으로 후원(왕과 국가를 위한 호국 불교로 수용) ·화이관(華夷觀)이 있는 유교보다 민족적 편견이 없는 불교가 통치에 더 유리 ·왕즉불을 통한 왕권 강화 : 왕의 권위를 강조하기 위해 거대한 사찰과 불상 건립 ·신분적 질서 유지 : 업설을 통해 현실 세계에 대한 불만을 막고자 함 ·둔황 석굴 축조 시작과 불경의 한역(5호 16국) 윈강·룽먼 석굴 사원(북위) 불교 < 도교 (귀족 사회의 발달 속에서 불교보다는 도교 발달) ·도교의 발달 : 주술을 통한 질병 치료, 현실의 행복 추구, 후한 말 오두미교와 황건적의 난에 영향, 위진남북조 시대 죽림 7현의 청담 사상(유교적 권위를 부정하고 무위자연의 노장 사상 신봉), 남북조 시대에 종교화(도교·도관·도사), 중국의 문학과 예술에 큰 영향(도연명의 귀거래사 등) → 삼국에 전래(고구려의 사신도, 백제의 금동대향로 등) ·불교 장려 : 백제에 불교 전파(동진), 양무제의 불교 장려(수도 건강에만 사찰 5백개, 백제에 불경 전파 등 백제와 교류 활발) ·선종의 전래 : 인도 승려 달마가 선종(깨달음과 참선 중시)을 창시 당 ·현장의 <대당서역기>, 대안탑 조성 등 불교가 크게 융성 ·의상·혜초·다이탕당·도의·엔닌 등 각 지역에서 당으로 유학 ·감진이 일본 나라 도다이사에서 활약 원 티베트 불교인 라마 불교를 원 황실에서 숭배 불교 수용과 아스카 시대 ·6세기 중엽 백제(성왕)의 노리사치계가 불교 전래 → 불 교 수용을 둘러싼 내전(신토 VS 불교) → 불교파의 승리 → 쇼토쿠 태자가 신불습합(神佛習合)을 내세우면서 아스 카 지역을 중심으로 호류사(法隆寺) 등 백제의 영향을 받 은 사찰들이 왕실과 유력 가문의 후원을 받아 설립 ·불교가 수용되면서 거대한 대형 고분인 전방후원분 쇠퇴 (거대한 사찰의 축조가 왕실과 귀족 권위의 상징이 됨) 나라 시대 ·8세기에 천황의 사찰인 고쿠분 사(國分寺)를 전국 각처에 건설 ·나라에 도다이사(東大寺)를 건설, 당에서 건너온 감진의 활약 헤이안 시대 ·엔닌이 장보고의 도움을 받아 당에 입국 ·주술과 기도를 중시하는 밀교 확산 가마쿠라 막부 염불만으로 구원을 받을 수 있다고 믿는 대중적인 불교 등장 삼국 시대 ·중앙 집권 체제의 확립과 왕권 강화를 뒷받침해 주는 사상으로 수용(왕즉불, 업설 등) ·고구려(4세기 소수림 왕 때), 백제(4세기 침류왕 때), 신라(5세기 초 전파, 6세기 법흥왕 때 이차돈의 순교로 수용) 통일 신라 ·원효·의상의 활약으로 불교의 대중화, ·신라 말에는 도의 등의 노력으로 선종의 유행(호족과 결합) 고려 ·의천의 천태종(교종 입장에서 선종 통합 노력) · 지눌의 조계종(선종 입장에서 교종 통합 노력) (1) 호국 불교의 성격 : 동아시아 각국에서 불교가 왕권을 강화하고 사회를 안정시키기 위한 이데올로기로 지배층에게 먼저 받아들여짐(윈강 석굴 사원, 일본의 고쿠분 사 등) (2) 구원 신앙 : 관세음보살, 약사여래, 아미타불이 모두 경배의 대상 (3) 신분 제도의 인정 : 신분의 차이에 따른 차별과 고통을 업설로 합리화 (4) 불상과 탑을 중심으로 한 불교 문화 정착 : 탑과 금당, 강당을 갖춘 공통 양식, 지역마다 탑의 재질이 다름(중국의 벽돌탑 → 한국의 석탑 → 일본의 목탑) (5) 동아시아 여러 지역의 토착 신앙 등과 결합 ·유교와 결합 : <부모은중경>, 유교적 장례 의식과 결합, 무덤의 간소화 ·도교와 결합 : 무병장수 기원, 용신 신앙(의상을 도운 용) ·신토와 결합 : 신토의 토착 신이 불교를 수호 (6) 불교의 ‘자비’와 사회제도의 결합 : 무진장(남북조), 제위보·혜민국(고려), 비전원·시약원(일본) → 고대 사회의 신분 간

(6)

불교를 매개로 한 동아시아의 교류

법현 동진 인도 순례 후 <불국기>를 남김 달마 남조(양) 인도 승려로 중국(남북조 시대)에 와 선종 전파 혜자 고구려 일본으로 건너가 불교 교리와 붓·먹·제지술 전파, 쇼토쿠 태자(아스카 문화)의 스승이 됨 담징 고구려 일본으로 건너가 호류 사(아스카 문화)의 금당 벽화를 그림 현장 당 인도 순례 후 <대당서역기>를 남김 → 대안탑 조성, 명대 <서유기>의 주인공 의정 당 현장의 제자, 다이탕당과 함께 인도 순례 다이탕당 베트남 당에 유학하여 현장의 제자가 됨 의상 통일신라 당에 유학 후 신라에서 화엄종을 염, 부석사 건립, 불교의 대중화에 기여(관음 신앙) 원효 통일신라 불교의 대중화에 기여(아미타 신앙), <판비량론> 등 현장 교리를 정리하여 당과 일본의 불교계 에 큰 영향을 줌 혜초 통일신라 인도 순례 후 <왕오천축국전>을 남김, 당에서 금강지에게 밀교를 배움 도의 통일신라 당에 유학 후 선종(참선 중시)을 신라에 전파(9산 선문의 시작) 감진 당 8세기 후반 목숨을 건 일본행(실명) → 일본(나라시대)에 정착하여 고쿠분사의 총본사인 도다이 사에서 계율을 가르치고, 불상·불경·약품 등을 전래 엔닌 일본 당에 유학, 장보고의 법화원에서 기숙

중국의 남북조 시대와 일본의 남북조 시대 비교

5호16국(남북조) / 남송 비교

중국의 남북조 시대 일본의 남북조 시대 시기 5세기~6세기 15세기(무로막치 막부 초기) 남북조 시대의 개막 화북의 5호 16국을 선비족의 북위가 통일, 강남에는 한족 국가인 동진-송-제-양-진이 성립 가마쿠라 막부 멸망 → 무로마치 막 부 성립 → 2명의 천황이 이끄는 2개 의 조정이 성립(남북조 시대 개막) 남북조의 종식 6세기 말에 수의 문제가 중국 통일 15세기 말에 아시카가 요시미츠에 의해 남북조 시대 종식 남북조 시대의 영향 ·강남 개발 촉진 ·동아시아 국제 질서의 다원화(중국 중심의 일원적 질서×) ·북방민족 문화와 한족 문화의 융합 ·남북조 시대 = 원명교체기, 고 려·조선 교체기 ·동아시아 해안에 왜구 극성

위진 남북조 시대(3세기~6세기)의 다원화된 국제 질서 → 7세기 이후 중국 중심 질서의 회복

(7)

수나라

당태종(7세기 초)의 업적

(8)

초원 세계의 강자(중국에 책봉×, 경제적 무역과 군사적 대결)

화번 공주

율령 제도의 정비 과정

당태종의 율령격식 완성

① 흉노(기원전 3세기~4세기) : 진(만리장성 축조), 한(한 고조 때 형제 관계를 맺고 흉노의 묵특선우에게 공물을 바침, 한무제 때 정벌 및 비단길 개척의 원인이 됨), 5호 16국 개막 의 주인공(흉노, 선비, 저, 갈, 강) ② 선비(3세기~6세기) : 5호 16국 시대에 고구려와 대립(전연 vs 고구려), 5호 16국 통일(북 위 ♡ 고구려), 남북조 시대 개막 ③ 돌궐(6세기~7세기) : 북제·북주가 경쟁적으로 돌궐 공주를 맞이하려 함 → 수(의성공주 를 화번공주로 보냄), 수의 이간책으로 약화 → 당 초기에 중국이 신하로 자처→ → 당의 이간책과 공격으로 복속 → 위구르에 멸망 ·중국에서 이민족의 군주에 게 출가시킨 공주 ·한대 왕소군 → 흉노 ·수대 의성공주 → 돌궐 ·당대 문성공주 → 토번(티 베트) ·당대 함안공주 → 위구르

(9)

중국의 율령제도를 수용한 한국·일본·베트남

① 한국 위진 남북조 삼국 시대 중앙 집권 국가 형성 과정에서 율령 반포(고구려 - 소수림왕, 백제 - 고이왕, 신라 - 법흥왕 때) 당 통일 신라 당의 복색과 관제를 적극 수용(율령 정비), 사정부 설치(관리 비리 감찰), 국학 설립(당의 국자감 모방), 독서삼 품과 실시(유교적 소양 중시), 9주 5소경 제도, 민정 문서 작성, 정전을 백성에게 지급 당 발해 3성 6부제를 도입 → 3성 6부의 명칭과 관리 체계, 각 부서의 구체적인 업무를 다르게 편성하는 등의 독자성 유지, 주자감 설립(당의 국자감 모방), 당의 장안성을 모방한 상경성의 주작대로 5대10국 송 고려 ·과거 제도를 첫 실시 ·3성 6부제 시행 → 고려 실정에 맞게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의 2성으로 운영 ② 일본 당 (백제멸 망전) 다이카 개신 (645) ·배경 : 쇼토쿠 태자 사후 실권을 장악한 소가 가문의 전횡 ·다이카 개신(645) : 견수사와 견당사를 통해 당의 문화와 정치 제도를 배우고 돌아온 유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정변을 일으킴 → 당의 율령 체제 수용 → 균전제를 모방하여 반전수수법(班田收受法, 토지의 국유 화와 농민에게 토지 지급) 실시 당 통일신라 다이호 율령 (701) ·배경 : 백제 멸망(660년)과 백제 부흥 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왜군의 파견의 실패(백강 전투) → 당 제도 모방 필요성이 더욱 고조 → 견당사 파견 ·다이호 율령(701) : 율(태장도유사)과 령(3성6부)을 도입 → 일본 천황을 정점으로 2관 8성의 관료 기구를 기본 골격으로 하는 본격적인 중앙 집권 통치 체제가 성립함 but 지방 행정의 실무를 담당한 군의 관리는 지방 호족 중에서 임명(지방 분권의 요소도 강함), 근친혼을 인정하고 모계를 중시하는 친족제의 영향으로 유교적인 예제를 전면적으로 수용하지 않음 ·당의 장안성을 모방하여 헤이죠 쿄를 짓고 수도 천도(710년, 나라 시대 개막) ③ 베트남 : 당은 안남 도호부를 두고 직접 통치(679) → 10세기 중반(중국의 5대 10국 시대) 이후 독립(응딘레이) → 11세기 리왕조(최초의 장기 왕조, 대월이라는 국호 사용) 때 과거제 시행, 문묘(공자 사당) 설치, 가부장 중심의 중국과 달리 베트남은 부부의 동등한 재산권 인정, 부인의 이혼 요구가 가능함

(10)

당의 문화와 동아시아 문화권 형성

(1) 당의 문화 : 유목민족과 한족 문화가 융합, 귀족적·국제적 문화(특히 서역 문화) ① 훈고학의 발달 : 유교 정치 이념이 발달하여 국가적으로 유교를 장려함, 공영달의 <오경정의> ② 귀족 문화 : 시의 발달, 이백·두보 등 ③ 불교의 발달 : 현장 <대당서역기>, 대안탑 건설 등 ④ 국제적 문화 ·국적 구분 없는 인재 등용(빈공과에서 최치원, 아베노 나카마로 등 합격) ·세계인의 등장 : 당에서 화엄종을 배우고 돌아온 신라인 의상, 인도를 여행하고 <대당서역기>를 남긴 당의 현장, 인도를 여행한 의정(당)과 그의 친구 다이탕당(베트남인), 인도를 여행하고 <왕오천축국전>을 짓고 당에서 활동한 신라인 혜초, 당의 승려이나 6번의 도전과 실명 끝에 일본 나라 도다이사에서 불법을 전수한 감진,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하여 당과 일본 사이를 중개한 장보고, 장보고의 도움을 받아 당을 순례하고 <입당구법순례행기>를 지은 일본인 승려 엔닌, 안남도호부(북베트남 통치기관)의 도후를 역임한 아베노 나카마로, 당의 재상을 지낸 크엉 꽁 푸와 크엉 꽁 푹 형제, 빈공과에 급제하여 당의 관리가 된 최치원, 당의 산둥 반도·양쯔강 하류에 있었던 신라방·신라소와 같은 거점 ·외래 종교에 관용 : 조로아스터 교(배화교), 네스토리우스 교(경교), 마니교, 이슬람교 등이 유입 ·당삼채 발달, 호풍 유행 (2) 동아시아 문화권의 형성 ① 성립 : 당의 문물이 주변 국가에 전파되어 문화적 동질성을 공유(신라, 발해, 일본, 베트남 등) ② 공통 요소 : 한자, 유교, 대승 불교, 율령 체제 (3) 지역적 특징 ① 신라 : 적극적으로 당의 제도를 수용(국학 설립) but 3성6부 도입×, 과거제 실시×(독서삼품과 실시), 실력보다는 골품제 유지, 한자만이 아니라 이두 사용 ② 발해 : 적극적으로 당의 제도를 수용(3성 6부제, 주자감 설치, 당의 장안을 모방한 상경성) but 3성 6부의 명칭과 관리 체계가 다름, 독자적인 연호 사용(인안·대흥·건흥), 고구려 문화 계승(온돌과 모줄임 천장 구조를 사용한 무덤) ③ 일본 : 당의 제도 수용(다이카 개신, 다이호 율령, 당의 장안을 모방한 헤이조 쿄 건설) but 지방 분권적 요소가 강함(지방 호족 중에서 지방관을 선출, 지방관 세습), 귀족제 사회로 관료 선발 시험으로 하급 실무관료를 선발하는 데에만 시행, 근친혼 인정, 한자의 음을 빌려 쓴 만요 가나 등장(→ 가나 문자로 발전) ④ 베트남 : 당의 제도 수용 but 과거를 통한 관료 진출의 비중이 낮음, 가부장 중심의 윤리가 아닌 부부가 거의 대등한 권한을 가짐

참조

관련 문서

산출 자료에

그러므로 ㉥ ‘김 선생님’은 현재의 담화 상황에 참여하지 않는 인물을 지칭하는 표현이라는 설명은 적절하다.. 그러므로 ㉤이 아버지가 지금까지 은주와 나눈 대화의 화제

상층부에서 아파트 건물의 폭은 지상층의 기둥에 하중을 전달하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가로의 콘크리트 벽체에 의해 정의됨 건물의 양 측면을 따라

Financial resources (재무자원) Plant and equipment (기계 설비) Distribution network (유통망) Strategic location (지정학적 위치) Proprietary technology (기술). 본원적

[r]

도시 근교를 중심으로 봄철은 딸기 철인데 역병으로 인해 사람들이 딸기체험농장 에 갈 수 없고, 운송 인력 부족으로 딸기를 시장이나 슈퍼마켓 등에 공급하 지

[r]

(Taekwondo, Weight Lifting Players) (90 min × 6 days/week) Warm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