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Total Intrusion”of Maxillary Teeth

문서에서 대한치과교정학회 임상저널 (페이지 65-78)

마수정∙백승학∙임원희

마수정∙백승학∙임원희

그림 2. 초진 시 구강 내 사진.

그림 1. 초진 시 정모, 측모 사진과 미소 시 안모 사진.

환자는 편하게 말하거나 웃을 때 전치부는 물론 구 치부까지 치은이 많이 노출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 러한 gummy smile에 대한 거부감이 심해 의식 하에 서는 입술을 과도하게 긴장하여 다물고 있었다(그림 1). 초진 시 구강 내 사진에서 앵글 II급 2류 관계를 보 였으며 수직피개가 7mm 정도로 매우 심한 과개교합 상태였다(그림 2).

측모 두부계측방사선사진 상에서 골격성 II급 패턴 에 이부가 후퇴된‘retrognathic profile’이 관찰되며, 상 악 전치는 심하게 설측 경사되어 있었다(그림 3, 표 1).

방사선 사진 상에서 rest 시에도 상악 전치의 노출량이 크나, 안모 비율 상 상순의 절대적인 길이가 짧은 것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정모 두부계측방사선사진 상 에서 심한 안면 비대칭은 보이지 않았다(그림 3).

62 CASE REPORT 1 Gummy Smile을 동반한 골격성 II급 / Angle II급 2류 부정교합의 치료

표 1. 초진 시 측모 두부계측방사선사진 계측치

Measurements Mean Initial

Björk sum 393.30 394.95 Antero-Post. FHR 0.65 0.66

FMA 24.20 28.13 Pog to N-Perp. -1.80 -8.81

APDI 85.70 85.82

U1 to SN 107.00 85.07

U1 to FH 116.00 92.01

IMPA 95.90 92.01

Interincisal angle 124.00 147.85 그림 3. 초진 시 두부계측방사선사진.

치료시작 8개월 후 재평가에서는 II급 1류 부정교 합 양상으로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치 아이동을 통해 수평피개가 9mm로 매우 증가되었으 며, 상악 전치가 압하되고 순측으로 경사되어 치축이 정상화 되었다(그림 5).

[ Treatment Plan ]

교정용 미니-임플랜트를 이용해 상악 전치를 압하 하여 II급 1류 관계로 변화시킨 후 재진단을 시행하였 으며, 다음의 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그림 6).

첫째, 악교정수술을 동반한 교정치료로, 상악골은 Le-Fort I 골절단술로 total impaction, posterior impaction을 시행하고 이에 따라 하악골의

[ Treatment Progress ]

치료는 다음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그림 7).

Björk sum 394.95 394.03 Antero-Post. FHR 0.66 0.67

FMA 28.13 28.18 Pog to N-Perp. -8.81 -8.69

APDI 85.82 84.19

U1 to SN 85.07 113.10

U1 to FH 92.01 120.01

IMPA 92.01 96.76

Interincisal angle 147.85 116.05 Vertical skeletal pattern Measurements Mean Initial

Horizontal skeletal pattern

Denture pattern

상악 전치부에 식립한 교정용 미니-임플랜트를 이

64 CASE REPORT 1

Gummy Smile을 동반한 골격성 II급 / Angle II급 2류 부정교합의 치료

[ Treatment Result ]

치료 종료 시 안모 사진에서 보면 돌출되어 보이던 상순이 다소 후방으로 들어갔으며, retrognathic profile이 상당량 개선되었다. 웃는 모습도 매우 자연 스러워졌다. 치료 전에는 치은 노출을 피하기 위해 입술에 힘을 주고 활짝 웃지 않았으나, 치료 후에는 심미적인 미소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gummy smile 도 상당히 개선되었다(그림 12).

구강 내 사진에서 치료 후 적절한 수평, 수직피개를 달성한 것을 볼 수 있으며(그림 13),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보면 적절한 치근 평행을 이룬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림 14).

측모 두부계측방사선사진에서 골격성 II급 경향이 상당히 개선되었으며, 상악 전치 치축도 정상화된 것 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당한 양의 구치 압하를 시행 할 때, 좌우측 압하량이 제대로 조절되지 않는 경우 안면 비대칭을 야기할 수 있다. 정모 두부계측방사선 사진에서 치료 후 뚜렷한 비대칭은 관찰되지 않았으 며, 초진 시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 되었다(그림 15).

교정치료 전후의 중첩에서 상악 전치와 구치의 total intrusion 결과 교합 평면이 변화하여, 하악이 전 방으로 회전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림 16).

마수정∙백승학∙임원희

그림 10. 과도한 수평피개를 개선하고 I급 치열 관계를 달성하기 위해 상악 치열 전체에 후방력을 가하였다.

그림 11. 약 4개월 간의 후방이동(distalization)으로 적절한 수평피개가 형성되었으며 그 후 마무리(detailing)를 시행하였다.

66 CASE REPORT 1 Gummy Smile을 동반한 골격성 II급 / Angle II급 2류 부정교합의 치료

그림 14. 치료 전 후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비교. 좌측(치료 전), 우측(치료 후).

그림 13. 치료 종료 시 구강 내 사진.

그림 12. 치료 종료 시 안모 사진.

마수정∙백승학∙임원희

그림 15. 치료 종료 시 두부계측방사선사진. 그림 16. 치료 전 후 측모 두부계측방사선 사진의 중첩 : 치료 전(검정), 치료 후(빨강)

Björk sum 394.95 391.34 Antero-Post. FHR 0.66 0.68

FMA 28.13 24.29 Pog to N-Perp. -8.81 -6.50

APDI 85.82 86.54

U1 to SN 85.07 107.57

U1 to FH 92.01 113.62

IMPA 92.01 98.94

Interincisal angle 147.85 122.15 Vertical skeletal pattern 스캔 모델(Orapix, Seoul, Korea)을 Rapidform 2006?(Inus, Seoul, Kore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첩 하였다. 중첩은 치아 이동 시 변화가 적은 구개추벽 교정 수술에서 상악골을 posterior impaction한 것과 같이, total intrusion에 의해 구개평면에 대한 상악 교 합평면각이 7�에서 11�로 변하게 되고 하악골은 3.6�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였다. 이러한 상악 교합 평면각 변화와 하악골의 회전은 retrognathic profile 을 개선시켜 주었다(그림 19).

22)) 치치주주적적 고고려려사사항항((ppeerriiooddoonnttaall ccoonnssiiddeerraattiioonnss)) 압하는 치주질환을 심화시킬 수 있는 방향의 치아 이동이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만일 자극 요인이 잔존 된 채 치아를 움직이면 골소실이 발생하는데, 특히 압하 이동은 치조골을 낮추는 방향인데다 치주낭을 깊게 하는 경향에 의해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 다. 하지만 치주질환을 가지고 있더라도 구강 위생 관리가 잘 되어 진행성 염증이 없다면, 변연골 소실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보고들이 이미 널리 수

용되고 있다3,4,5. Kanzaki 등6은 골성 고정원을 이용하 여 치아를 압하할 경우 치조골은 압하량의 80% 정도 따라 이동한다고 보고하였다. 수복치료를 위해 마모 된 전치를 교정적으로 압하한 연구에서 Bellamy7는 cemento- enamel junction(CEJ)에서 치조정까지의 거 리는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하였다. 본 증례에 서 치료 전후 골 레벨(bone level) 변화를 표 2에 나타 내었다.

68 CASE REPORT 1

Gummy Smile을 동반한 골격성 II급 / Angle II급 2류 부정교합의 치료

그림 17. 측모 두부계측방사선사진에서 구개평면을 기준으로 중첩하여 중절치와 제1대구치 압하량을 측정하였다.

그림 19. “Total intrusion”결과 상악 교합평면 각도가 변화하며 하악골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는 retrognathic profile 개선 에 도움을 준다. 치료 전(검정), 상악전치 압하 후(파랑), 치료 종료 시(빨강).

그림 18. 3차원 스캔 모델을 Rapidform 2006으로 중첩하여, 치료 전 후의 치아 압하량을 측정하였다.

모든 부위에서 골소실이 관찰되었지만 변화는 약 이(clinical crown length)를 조사하였다. 전치와 견치 는 순측에서, 소구치는 협측(B)과 구개측(P)에서, 대

70 CASE REPORT 1 Gummy Smile을 동반한 골격성 II급 / Angle II급 2류 부정교합의 치료

표 3. 치료 전 후 치근 길이의 변화 그림 20. 치료 전후 치주낭 깊이(pocket depth)의 비교

표 2. 치료 전후 임상관길이(clinical crown depth)의 비교

#17 #16 #12 #11 #21 #22 #26 #27

Pre-tx.

Post-tx.

Root resorption

15.04 14.51 --00..5533

17.25 16.61 --00..6644

16.40 14.96 --11..4444

16.52 14.92 --11..6600

16.51 14.98 --11..5533

17.00 15.45 --11..5555

16.87 16.41 --00..4466

16.21 15.98 --00..2233

Lucien과 Kokich7는 압하된 전치와 압하는 하지 않 았지만 교정적으로 이동된 전치의 치근 흡수를 비교 하여 그 양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는다고 보고하였으며, 이는 치근흡수가 치아의 이동 방향보다는 치근단이 총 이동한 거리와 관련이 더 크 다는 가설을 지지해준다고 하였다. II급 2류인 본 증 례에서는 전치의 치아 이동량이 컸기 때문에 치근 흡 수가 다소 증가하였을 것으로 생각되나, 그 양은 임 상적으로 수용할 만한 범주라고 판단된다.

44)) 안안정정성성 ((ssttaabbiilliittyy))

골성 고정원을 이용해 치아를 상당량 압하 시킨 후 안정성을 평가한 연구로는, 구치를 양측성으로 압하 하여 개방교합을 치료한 증례에 대한 논문13,14,15만이 존재하는 상황이다. 각 논문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 만 구치 압하의 재발률은 10~30%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그림 22는 보정 4개월 시기의 구강 내 사진으로

비교적 교합이 잘 유지되고 있다. 이 증례의 경우 아 직 유지 기간이 짧아 안정성에 대해 고찰하기는 어려 울 것이며, 장기적인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 다.

결론

Le Fort I 골절단술에 의한 total impaction 양이 최 대 4-5 mm에 불과하다는 점을 감안하면“total intrusion”에 의한 심미적 개선량은 수술치료에 비견 할 만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골성 고정원 을 이용한 상악 치열 전체의“total intrusion”은 수직 적 문제를 동반한 골격성 II급 부정교합 치료에 효과 적인 대안으로 생각될 수 있다. 성공적인 치료를 위 해서는 약한 힘을 적용하여 치아가 천천히 압하되도 록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며, 철저한 치주관리와 장기 적인 유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수정∙백승학∙임원희

그림 22. 보정 4개월 시기의 구강 내 사진으로서 비교적 교합이 잘 유지되고 있다.

참고문헌

1. Kanomi R. Mini-implant for orthodontic anchorage. J Clin Orthod 1997;31:763-7.

2. Lee JS, Kim DH, Park YC. The efficient use of midpalatal minscrew implant. Angle Orthod 2004;74:711-4.

3. Ericsson I, Thilander B. The effect of orthodontic tilting movements on the periodontal tissues of infected and non-infected dentitions in dogs. J Clinc Peridontol 1977;4:278-93.

4. Kessler M. Interrelationships between orthodontics and periodon- tics. Am J Orthod 1976;70:154-72.

5. Årtun J, Urbye KS. The effect of orthodontic treatment on periodontal bone support in patients with advanced loss of marginal periodontium.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88;93:143-8.

6. Kanzaki R, Daimaruya T, Takahashi I, Mitani H, Sugawara J. Remodeling of alveolar bone crest after molar intrusion with skeletal anchorage system in dog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7;131:343-51.

7. Lucien J, Kokich VG. Using orthodontic intrusion of abraded incisors to facilitate restoration J Am Dent Assoc 2008;139:725-33.

8. Murakami T, Yokota S, Takahama Y. Periodontal changes after experimentally induced intrusion of the upper incisors in Macaca Fuscata monkey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89;95:115-26.

9. Mustafa E, Levent P, Serdar U. Gingival response to mandibular incisor intrusion.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7;32:143.e 9-e13.

10. Sugawara J, Baik UB, Umemori M, Takahashi I, Nagasaka H, Kawamura H et al. Treatment and post-treatment dentoalveolar changes following intrusion of mandibular molars with application of a skeletal anchorage system (SAS) for open bite correction. Int J Adult Orthod Orthognath Surg 2002;4:243-53.

11. Parker RJ, Harris EF. Direction of orthodontic tooth movements associated with external apical root resorp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8;114:677-83.

12. McFadden WM, Engstrom C, Engstrom H, Anholm JM.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cisor intrusion and root shortening.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89;96:390-6.

13. Baek MS, Park YC. Long term stability of anterior open-bite treatment by intrusion of maxillary posterior teeth.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10;138:396.e1-e9.

14. Lee HA, Park YC. Treatment and posttreatment changes following intrusion of maxillary posterior teeth with miniscrew implants for open bite correction.

Korea J Orthod 2008;38:31-40.

15. Kim JH, Chang YI. The stability of anterior open bite treatment through upper molar intrusion with mini-implants. SNU Master thesis. 2011.

72 CASE REPORT 1

Gummy Smile을 동반한 골격성 II급 / Angle II급 2류 부정교합의 치료

미국치주학회에서는 1989년 치주질환을 다섯 가지 로 분류하였으나, 이들 질환의 특성이 더 이상 과학 적 근거를 가지기 어렵게 되었고 제시된 모델과 반드 시 일치하지 않아, 1999년 만성 치주염, 급진성 치주 염(aggressive periodontitis), 그리고 전신 질환과 관 련된 치주염으로 새롭게 분류하였다.1 국소적 급진성 치주염(localized aggressive periodon-titis)의 경우 사춘기 경 발병되며 대부분 제1대구치와 전치가 이환되며,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와 백혈구의 기능 이상과 연관되어 있는 경우가

미국치주학회에서는 1989년 치주질환을 다섯 가지 로 분류하였으나, 이들 질환의 특성이 더 이상 과학 적 근거를 가지기 어렵게 되었고 제시된 모델과 반드 시 일치하지 않아, 1999년 만성 치주염, 급진성 치주 염(aggressive periodontitis), 그리고 전신 질환과 관 련된 치주염으로 새롭게 분류하였다.1 국소적 급진성 치주염(localized aggressive periodon-titis)의 경우 사춘기 경 발병되며 대부분 제1대구치와 전치가 이환되며,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와 백혈구의 기능 이상과 연관되어 있는 경우가

문서에서 대한치과교정학회 임상저널 (페이지 65-7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