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KORMARC 3.5 새로운 용어의 사용

경과과정 4. 요약 및 결언

형식 통합서지용의 특성과 3. KORMARC

내용분석

< ABSTRACT >

KORMARC formats have been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ype of materials at different times. The format was firstly developed and soon after with formats for serials, audiovisual materials, archival and manuscript materials. Although all of the format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s, there were same inconsistencies among them. However, there are solved above problems as integrating KORMARC bibliographic formats. First of all, the result was better than we had expected both unified cataloging rules and standard of a descriptive form as accepted KCR4.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부교수 (jhgim@chonnam.ac.kr)

This study is to roughly analyze integrating process and contents, planning principles, new or changed fields, reception and difference of KCR4, and definition of a new terminologies in KORMARC bibliographic formats.

서 언 1.

도서관계는 전 세계적으로 1990년대 이후 컴퓨터와 네트워크 관련 기술의 발달로 커다란 변화를 겪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특히 목록환경이 급변하고 있, 다고 하겠다.

목록환경이 바뀌면 당연히 목록규칙이 바뀌게 되며 목록규칙은 가장 먼저, 에서 세계 도서관인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를 정비하게 된다 각국에

IFLA ISBD .

서는 대부분 이를 반영하여 목록규칙을 개정하게 되며 우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AACR2R과 MARC 21 형식, KCR4(한국목록규칙 제 판 와4 )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 형식이 있다

KORMARC( ) .

이미 ISBD는 이러한 변화의 진원지라고 할 수 있는 전자자료와 계속자료에 대한 서지기술을 위해 ISBD(ER)과 ISBD(CR)을 발간하였으며, AACR2R은 과 의 내용을 반영하여 관련부분을 개정함은 물론 전반적

ISBD(ER) ISBD(CR) ,

인 구조개편에 착수하여 이제는 완전히 모습을 달리한 새로운 규칙으로 태어 날 준비를 하고 있다. MARC 21 형식도 1992년 통합서지용으로 발간된 이후, 개정을 거듭하여 최근의 변화 환경을 수시로 반영하여 오고 있다 한국목록규. 칙도 이러한 변화 요인을 반영하여 2003년 제 판이 발간되었지만4 AACR2R의 완전한 개정이 이루어지면 어떻게든 또다시 변화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 된다. KORMARC 형식은 이번에 통합서지용을 발간하면서 MARC 21 형식이 여년 이상 걸려 완성했던 것을 불과 년 만에 통합은 물론 최근의 목록

10 2, 3

규칙 흐름까지 동시에 반영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다보니 통합은 되었지만. 형식이 지니고 있는 여러 가지 본래의 문제점은 그대로 상존하고 KORMARC

있는 측면도 있다.

이 연구는 그동안 KORMARC 형식 가운데 서지정보용이 매체별로 각각 발 간되어 있었지만 하나의 통합서지용으로 발간하게 된 의의와 경과과정, 형식의 기본 설계원칙 서지형식의 구체적인 통합내

KORMARC , KORMARC

용, KCR4의 수용과 상이점 통합서지용에서 새로이 신설되거나 변경된 필드, , 그리고 새로운 용어의 사용 등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형식 통합서지용의 필요성과 2. KORMARC

경과과정

형식 통합서지용의 필요성 2.1 KORMARC

형식은 지금까지 서지정보용 전거통제용 소장정보용으로 크게

KORMARC , ,

가지 종류의 형식이 개발되었으며 이 가운데 서지정보용은 다시 매체별로

3 ,

단행본용 연속간행물용 비도서자료용 고서용으로 각각 발간되어 있어 도서, , , 관현장에서 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KORMARC 형 식의 통합은 이와 같이 유형이 다른 자료들 즉 단행본 연속간행물 전자자료, , , , 지도자료 녹음자료 등 서지적 형식을 달리하는 모든 자료들을 위한 한 가지, 형식으로 통합함을 의미한다.

형식도 형식과 마찬가지로 처음부터 통합서지용으로 MARC 21 KORMARC

발간된 것이 아니다 미국의회도서관에서. 1965년 처음 MARC을 개발할 때도 단행본을 먼저 개발하였으며 이어서, 1970년대에 단계적으로 연속간행물용 지, 도자료용 필름자료용 고문서자료용을 개발하였다 그 후, , . 1980년대 초기부터 통합형식으로 발간하기 위해 꾸준한 연구와 노력을 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로, 서 1992년 비로소 오늘날과 같은 통합형식이 나오게 된 것이다.

미의회도서관의 Byrne은 이 당시 USMARC 형식의 통합 목표를 통일성

적합성 통합성 의 세 가지로 요약하였

(uniformity), (relevance), (consolidation)

다.1) 아래의 내용은 이것을 바탕으로 KORMARC 형식의 통합에 대한 의의를 분석한 것이다.

첫째 통일성의 목표는, KORMARC 레코드의 범위 내에서 정보의 세분된 요 소들을 코드화하여 모든 유형의 자료들을 위한 KORMARC 형식을 균일하게 만드는데 있다 즉. , KORMARC 형식들이 다른 사람들에 의해 다른 시간대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형식들마다 통일성이 결여된 된 부분이 상당이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통합서지형식을 만듦으로써 이러한 차이점을 조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246 필드 여러 형태의 표제 와( ) 740 필드 부출표목 비통제 연관( - / 분출표제 의 경우 통합서지용 이전에는 연속간행물용 형식과 다른 형식 간에) 차이가 있었다 통합을 함으로써 이전에. 740 필드에 기술하던 요소들 즉 대등, 표제나 표지표제 등 다양한 형태의 표제들을 통일해서 246 필드에 기술하도록 하고, 740 필드에는 주로 비통제 연관 분출표제를 기술하도록 조정하였다 또/ . 한 505 필드의 경우에도 통합형식 이전의 단행본용에서는 제 지시기호를 빈칸2 으로 둠으로써 부출기능을 적용하지 않았지만 통합형식에서는 제 지시기호에2 기본형과 확장형으로 구분하여 부출기능을 적용할 수 있도록 통일하였다.

둘째 적합성의 목표는, KORMARC 형식에서 아주 드물게 사용되거나 더 이 상 유효하지 않을 때 즉 부적합한 구성요소들을 삭제하거나 수정하는데 있다, . 이는 이용자들에게 좀 더 적합하도록 코드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식별이 되어 야 정보의 코드이름을 좀더 명확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507 필드의 경우 통합형식 이전에는 원저자와 원표제에 관한 주 기를 기술하였지만 통합형식에서는 그래픽자료의 축척주기를 하도록 변경하 고 원저자와 원표제는 다른 필드로 이동하였다, .

셋째 통합성의 목표는 모든 유형의 자료들에 관한 모든 서지형식을 하나의, 형식으로 모으는 것이다 즉 단행본 연속간행물 비도서자료 고서 등의 개별. , , , , 적인 형식 대신에 이제는 모든 유형의 자료들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나의 통 합된 형식이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목록자들이 자료의 유형에 따라

1) Deborah J. Byrne. MARC Manual : Understanding and Using MARC Records, 2nd ed.

Englewood, Colo. : Libraries Unlimited, 1998. pp.41-46.

형식을 따로따로 참조해야 하므로 번거로움이 많았다고 할 수 있다

KORMARC .

한편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서지기술은 한국도서관협회에서 발간한 한국목록 규칙과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발간한 KORMARC 기술규칙으로 양분되어 있었 지만 KCR4가 발간됨으로써 자연스럽게 서지기술이 하나의 규칙으로 표준화 될 수 있었다 그런데 기존의. KORMARC 형식은 KORMARC 기술규칙을 바 탕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KCR4를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보완해야 할 요소들 이 많았으며 또한 기존의 소장정보용 형식을 그대로 통합한다고 해서 해결되, 는 것은 아니었다 이와 같이 그동안 인터넷 환경을 비롯하여 새로운 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규칙을 보완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으며 그동안 꾸준하게, 제기되어온 이러한 문제들도 통합서지용의 발간으로 자연스럽게 해결되었다고 할 수 있다.

형식 통합서지용 개발의 경과과정 2.2 KORMARC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 은 국가발전의 기틀인 지적 정보를 컴

KORMARC( ) ①

퓨터기법으로 처리하여 국내학술의 진흥과 사회개발을 위한 정보를 신속 정확 히 공급하고, ② 전국 대학 및 공공도서관을 온라인으로 연결하여 문헌정보의 네트워크를 편성하며, ③ 정보의 표준형식을 제정하여 유통망 형성의 기반을 조성하고, ④ 국내문헌의 전산화를 통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의 중앙 대표성을 부각하고 그 기능을 현대화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표준형식의 기본구조는 ISO 2709를 따르고 있으며, LC MARC과 공통적으 로 호환될 수 있는 구조로 레코드가 설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세부적인 편성. 방침도 LC MARC을 준용하고 있으며 식별기호를 규정하는데 있어서는, UK 을 따르고 있고 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목록

MARC , UNIMARC .

기술은 ISBD에 준거하여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매체별로 제정한 한국문헌자동 화목록법 기술규칙을 따르고 있으며, KORMARC 서지정보용으로 단행본용을 비롯하여 연속간행물용 비도서자료용 고서용이 단계적으로 개발되었다 또한, , . 전거통제용과 소장정보용도 개발되어 모두 KS로 제정되었다 그 후. 2003년

의 발간을 계기로 우리나라의 서지기술법이 통일됨으로써

KCR4 KORMARC

형식에도 KCR4를 그대로 수용하였으며 그동안 별도로 되어있던 서지정보용, 도 하나로 통합하게 되었다. KORMARC의 개발과정을 시대별로 요약하면 다 음과 같다.

단행본 실험용포맷 개발 1980. 2. KORMARC

연속간행물 실험용포맷 개발 1983.12. KORMARC

비도서자료용 안 포맷개발 1991.12. KORMARC ( )

형식 단행본용이 로 제정

1993. 1. KORMARC KS (KS C 5867 - 1993) 형식 연속간행물용이 로 제정

1994.12. KORMARC KS (KS C 5795 - 1994) 형식 비도서자료용이 로 제정

1996.12. KORMARC KS (KS C 5969-1996) 형식 전거통제용이 로 제정

1999.12. KORMARC KS (KS X 6006-4) 형식 소장정보용이 로 제정

1999.12. KORMARC KS (KS X 6006-5) 형식 고서용이 로 제정

2000.11. KORMARC KS (KS X 6006-6) 형식 안 통합서지용 개발

2004. 2. KORMARC ( ):

형식 안 통합서지용 공청회 2004.10. KORMARC ( ):

형식 통합서지용이 로 제정

2005.12. KORMARC : KS (KS X 6006-0) 형식 통합서지용 간략판 발간

2006. 1. KORMARC : ( )

형식 통합서지용의 특성과 내용분석 3. KORMARC

설계원칙 3.1

형식 통합서지용은 각종 자료에 대한 서지정보의 교환을 목적 KORMARC

으로 도서관시스템들 사이의 레코드 교환에 필요한 명세를 제공한다 그리고. 을 모델로 하여 개발된 것이나 일부 독자적으로 처리한 부분이 있으 MARC 21

며 기본적으로 한 번 입력한 데이터는 재입력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우선하고,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