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妊娠每至五月하야 肢體倦怠하고 飲食無味10)

하며 先兩足腫하야 漸至遍身하야 後及頭面俱 腫11)하니人以為犯濕而然也誰知是脾肺之氣 虛乎夫妊娠雖有按月養胎之分12)이나其實不 可拘於月數하야總以健脾補肺為主蓋脾統血 而肺通氣13)하니 胎非血不蔭14)하고 兒非氣不 生하니 脾健則血旺而蔭胎하고 肺清則氣壯而生 子苟肺衰則氣餒15)하야即不能運氣於皮膚矣

라脾虛則血少하야即不能運化於肢体矣氣血 兩衰하면 脾肺失令하야 飲食難消하고 精微不化

하니 勢必氣血下陷하야 不能升舉 而濕邪即乘 其所虛之處하면聚濕而浮腫矣治法當補其脾 肺之虛하니不必以去濕為事方用補中益氣湯 加減으로治之

10) 飮食無味(음식무미) : 음식맛을 전혀 느끼지 못하 고 식욕을 잃게 됨을 말한다.

11) 後及頭面俱腫(후급두면구종) : 등과 머리, 얼굴이 다 붓게 되는 것을 말한다.

12) 按月養胎之分(안월양태지분) : 임신 달 수에 따라 서 태아를 기르는 구분이 있다는 의미이다.

13) 肺通氣(폐통기) : 肺主氣의 다른 표현이다. 肺는 呼氣와 吸氣를 통해 體內外의 氣를 교환하는 기능 을 하며, 동시에 全身의 氣를 주관한다는 의미이 다.

14) 胎非血不蔭(태비혈불음) : 蔭은 草木이 무성하여 그늘을 드리움을 말한다. 태아는 血의 도움으로 자 란다는 의미이다.

15) 肺衰則氣餒(폐쇠즉기뇌) : 餒는 굶주린다는 의미.

肺가 衰하면 氣가 약해짐을 말한다.

人參五錢  白朮五錢  當歸三錢  黃芪三 錢  陳皮三分  甘草一分  柴胡一錢  升麻 三分  茯苓一兩  水煎服이라 一劑少脹하고 二劑即寬하며 三劑漸消하야 四劑即愈十劑不 再犯也

補中益氣湯原是升提脾肺之藥이니 似益氣 而不益血也不知血非氣不生하고況濕氣相犯

하면 未便補血하니 故補氣而助之利濕之味하면 則氣升而水尤易散耳 然則少用利水之味可 也何重用茯苓至一兩하야不幾以利水為君乎

아 夫重用茯苓於補氣之中하니 雖是利水이나 仍 是健脾清肺凡利水之藥多耗氣血하나茯苓 與白朮補多於利하니 所以重用以分濕邪하야 即 所以補氣血耳

用土金雙培湯하니亦效甚이라

人參  蘇子  茯苓  穀芽  巴戟天  菟絲 子  白芍各三錢  白朮  薏仁各五錢  山藥 五錢  神麯二錢  砂仁一粒  甘草二分  柴 胡五分 水煎服이라四劑全消

임신한지 다섯 달이 되어 팔 다리가 권태 롭고 음식 맛이 없고 먼저 양 발이 붓고 점 점 몸 전체가 부어 등 뒤와 머리, 얼굴이 다 부으니 사람들이 濕이 침범하여 그러한 것 으로 여기나 이것은 脾肺의 氣가 虛한 것임 을 누가 알겠는가? 임신시에는 비록 달 수 에 따라 태아를 기르는 구분이 있으나 실제 로는 달 수에 구애받지 않고 총체적으로 脾 를 건강하게 하고 肺를 補하는 것을 위주로 한다. 대개 脾는 血을 통섭하고 肺는 氣를 通하게 하니, 태아는 血이 아니면 무성하게 크지 못하고 태아는 氣가 아니면 생성하지 못하니 脾가 건강하면 血이 왕성하여 태아 를 크게 돕고 肺가 맑으면 기운이 씩씩하여 아이를 生한다. 만일 肺가 衰하면 氣가 굶주 려 피부에 氣를 운행할 수 없고, 脾가 虛하 면 血이 적어져 팔다리에 運化할 수 없다.

氣血이 모두 衰하여 脾와 肺가 통제력을 잃 으면 음식을 소화하기 어렵고 精微가 化하 지 못하여 氣血이 아래로 가라앉아 위로 들 어올릴 수 없다. 濕邪가 그 虛한 곳을 틈타

濕이 모여 부종이 된다. 치료법은 마땅히 脾 와 肺의 虛함을 補하여야 하니 濕을 제거하 는 것을 일삼을 필요는 없다. 처방으로 보중 익기탕가감을 사용하여 치료한다.

인삼 5돈 백출 5돈 당귀 3돈 황기 3돈 진 피 3푼 감초 1푼 시호 1돈 승마 3푼 복령 1 냥을 물에 달여 복용한다. 한 제에 조금 창 만하고, 두 제에 곧 느긋해지며, 세 제에 점 점 사라져, 네 제에 낫는다. 열 제에 다시 침범하지 않는다.

보중익기탕은 원래 脾와 肺의 기운을 끌 어올리는 약이니 氣를 더하나 血을 더하지 는 않는 듯 보인다. 血은 氣가 아니면 生하 지 못함을 알지 못해서이니, 하물며 濕氣가 서로 침범하면 바로 血을 補하지 못하므로 氣를 補하고 濕을 이뇨시키는 약으로 도우 면 氣가 오르고 水氣는 더욱 쉽게 흩어진다.

그러나 利水하는 약을 조금 사용하는 것은 可하나 어찌 복령을 한 냥까지 중요하게 사 용하여 利水하는 약을 君藥으로 삼는 것은 위태롭지 아니한가? 氣를 補하는 약 가운데 복령을 중요하게 사용함은 비록 利水하는 것이나 또한 脾를 건강하게 하고 肺를 맑게 하는 것이다. 무릇 利水하는 약은 氣血을 많 이 소모하지만 복령과 백출은 이뇨함보다 補함이 더 많으니 濕邪를 분리 배출하는데 중요하게 사용하는 까닭은 곧 氣血을 補하 기 때문이다. 토금쌍배탕을 사용하니 또한 매우 효과 있다.

인삼 소자 복령 곡아 파극천 토사자 백작 약 각 3돈 백출 의이인 각 5돈 산약 5돈 신 곡 2돈 사인 한 알 감초 2푼 시호 5푼을 물 에 달여 복용한다. 네 제에 완전히 사라진 다.

【考察】

惡阻는 임신초기에 惡心, 嘔吐하거나 음 식을 가려먹거나, 혹은 음식을 먹으면 吐하 고 심하면 쓴물 혹은 혈액성을 띤 토출물이 나오는 경우를 말한다. 原因으로는 胃弱, 胃

熱, 胃寒, 痰滯, 肝熱 등이 있다.1)

흔히 말하는 입덧(morning sickness)은 불 쾌감은 있지만 식성이나 체중은 영향을 받 지 않으며 惡心과 嘔吐도 그 정도가 심하지 않고 일시적으로 임신 3개월이 지나면 대부 분 소실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소수의 산 모에서는 嘔吐가 아침 뿐만 아니라 하루종 일 있고 심지어 밤까지도 계속되므로 수분, 전해질, 영양 및 신진대사의 불균형을 초래 할만큼 심한 정도에 이르는데, 이것을 姙娠 惡阻(hyperemesis)라 한다. 姙娠惡阻 (hyperemesis)의 원인은 단백질 대사변화에 의한 비타민 B6의 결핍, 부신 피질의 기능 장애, 갑상선기능 항진증, hCG의 과다분비, 정서적 요인, 위장관의 생리적 변화, 과민 반응, 불량한 영양상태 등이 있다.2)

姙娠惡阻와 감별할 질환으로는 위염, 탈 장, 간염, 충수염, 장폐색, 췌장염, 갑상선기 능 항진증, 신우신염, 뇌종양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포상기태가 임신 중의 구토를 유 발한다.3)

『金匱要略』에서는 “姙娠嘔吐不止”하는 증상에 “乾薑人蔘半夏丸”4)을 사용한다고 하 였다.

『丹溪心法』에서는 “惡阻란 임신 중에 속이 메슥거려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인데 대개 痰으로 보고 치료한다. 살찐 사람은 痰 이 있고 여윈 사람은 熱이 있다”, “임신 때 어떤 한 가지만을 먹기 좋아하는 것은 한 장기가 허약하기 때문이다. 가령 氣血이 약 하여 肝을 영양하지 못한다면 肝이 허약해 졌기 때문에 신 것을 먹기 좋아하게 된다.”5) 고 하였다.

『婦人良方大全』에서는 “본래 체질이 1) 傳統醫學硏究所 ; 東洋醫學大辭典, 成輔社, 서울,

2000, p.1584.

2) 한의부인과학편찬위원회 ; 한의부인과학(하), 정담, 서울, 2002, p.151~152.

3) 한의부인과학편찬위원회 ; 한의부인과학(하), 정담, 서울, 2002, p.152.

4) 上揭書, p.151.

5) 許浚 ; 東醫寶鑑, 법인문화사, 서울, 1999, p.1596.

약한 사람이 임신을 했을 때는 惡阻증이 생 기는데, 그 증상으로는 얼굴빛은 변함없고 脈도 순조로운데 다만 몸과 팔다리가 무거 우며 머리가 어지럽고 눈앞이 아찔하며 음 식을 가려 먹는다. 그리고 밥냄새를 싫어하 고 짜고 신 것을 즐겨 먹으며 심하면 惡寒 과 身熱이 나기도 하고, 가슴이 답답하며 痰 水를 토하고 정신이 황홀하여 어쩔 바를 모 른다.”6)고 하였다.

『醫學入門』에서는 “惡阻는 몹시 吐하 기도 하고, 때로 멀건 물을 吐하기도 하며 밥냄새를 싫어한다. 이것은 子宮經絡이 胃 口로 연락되었기 때문에 음식 냄새를 맡으 면 精氣를 발동시켜 위로 치밀어서 반드시 먹은 것을 다 吐하는데, 다 吐한 다음에는 곧 精氣가 안정된다. 또 성생활을 잘못해서 자궁에 나쁜 기가 盛하여 생기는 惡阻도 있 는데, 이러한 것은 백 일이 지나면 낫는다 .”7)고 하였다.

陳士鐸은 惡阻의 원인을 肝血의 太燥와 脾肺의 氣虛로 인식하였다. 肝血 부족에 의 한 惡阻를 치료하는 방법으로 平肝補血하는 약을 사용면서 반드시 健脾開胃하는 약을 병용하였다. 血을 補할 때 補血하는 약만을 위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氣를 補하여 陽氣를 生하게 하여 氣能生血하는 방법을 중용하였다. 脾肺의 虛를 補하는 치료법을 구사할 때도 益氣하여 益血하는 방법을 사 용하였다. 임상에서 일반적으로 쉽게 접할 수 있는 姙娠惡阻 증상을 서술한 것은 陳士 鐸이 肝血太燥를 원인으로 언급한 부분이 다. 腎水가 肝木을 分潤할 여유가 없어 肝血 이 부족하고 肝氣가 太燥하여 발생하는 惡 心과 嘔吐 증상이다. 그러나 脾胃가 虛弱하 고 痰滯하여 발생하는 惡阻와는 脈과 舌診 등을 통해 감별 진단하여 정확하게 투약할 필요가 있다. 脾胃가 虛弱하고 痰滯하여 발 생하는 일반적인 姙娠惡阻 증상에 肝血太燥

6) 上揭書, p.1595.

7) 上揭書, p.1595.

로 변증된 환자에게 투여할 처방으로 陳士 鐸이 언급한 順肝益氣湯은 적절치 않다. 熟 地黃이 5돈 君藥으로 처방된 약을 脾胃가 虛하고 痰滯한 환자에게 투여하면 부작용이 발생할 것이다. 脾胃가 虛하고 痰滯한 환자 는 방약합편의 保生湯8)처럼 순하게 理氣祛 痰하는 약재와 補脾胃하는 약재로 구성한

로 변증된 환자에게 투여할 처방으로 陳士 鐸이 언급한 順肝益氣湯은 적절치 않다. 熟 地黃이 5돈 君藥으로 처방된 약을 脾胃가 虛하고 痰滯한 환자에게 투여하면 부작용이 발생할 것이다. 脾胃가 虛하고 痰滯한 환자 는 방약합편의 保生湯8)처럼 순하게 理氣祛 痰하는 약재와 補脾胃하는 약재로 구성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