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현장조사는 랜덤포인트를 이용한 정확도 검증 시 육안판독으로 인한 오류를 보완하기 위해 수행하였음.

- 4차례에 걸쳐 생성한 랜덤포인트 가운데 논의 정확도가 중간정도로 나온 2차 결과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그 중 오분류 된 40개 포인트와 그 외 육안판독이 어려운 부분을 포함하여 총 65개 지점, 72개 포인트에 대해서 현장조사를 수행하였음.

그림 4-9. 현장조사 결과

현장조사를 통해 육안판독 시 오분류였던 랜덤포인트 중 4개가 정분류로 바뀜.

- 즉, 현장조사를 통해 육안판독 시 오분류로 지정되었던 포인트 중 4개 포인트에서 분류결과의 오류가 아닌 육안판독의 오류였음을 확인함.

- 그 외 36개 포인트는 육안판독과 현장조사 결과가 일치하였으며, 따라서 실제로 육안판독과 현장조사 결과가 크게 다르지 않음을 확인하였음.

- 현장조사 이후 랜덤포인트의 정확도는 약 2.9% 높아짐.

단위: 개, %

구분 전체 정분류 오분류 정확도

육안판독 138 98 40 71.0

현장조사 138 102 36 73.9

표 4-7. 랜덤포인트의 육안판독 및 현장조사 결과 비교

5

향후 추진 방향

1. 농업관측 활용 가능분야 및 한계

1.1. 농업관측 활용 가능분야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국내 농업통계생산의 가장 큰 취약점은 표본조사에서 오는 정확도의 문제임. 통계청 경지총조사와 농업관측정보센터의 표본설계 이용기간은 5년이므로 농촌지역의 사회 경제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어려움. 또한 표본조사시 다양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

실례로 통계청의 2009년 쌀 단수는 10월 6일 예상단수 발표시 508kg로 전년 (520kg)대비 감소하는 것으로 발표하였으나 1달 후인 11월 12일 최종단수는 534kg으로 변화하였음. 한달 만에 쌀 생산량 전망치가 10a당 26kg이상의 오 차가 발생하면서 총 생산량도 23만여톤이나 차이가 났음.

원격탐사기술을 농업통계에 접목시킬 때의 가장 큰 장점은 조사지역에 대한 전수조사이며, 통계의 정밀도·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과학적인 방법이라는 것임. 또한 시군단위 뿐만 아니라 면리 행정단위의 통계값도 산출할 수 있음.

전세계적으로 농업부분에 원격탐사기술의 응용을 위해 연구되고 있거나 실제

농업관측에 활용가능 분야는 원격탐사기술의 농업통계부문 도입단계에서 2 단계 주요작물 재배면적 조사, 3단계 주요작물 작황조사 및 수확량 예측, 4 단계 농업재해 및 농가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정리할 수 있음.

그림 5-1. 농업관측 활용 가능 분야

1.2. 활용의 한계

최근 우주개발 기술과 더불어 원격탐사의 활용분야도 다양화·전문화되고 있음. 특히 농업분야에서는 토지피목 분류 및 변화조사, 농작물작황, 산림 현황, 식생·생태계분포 조사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음. 하지만 위성영상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음.

위성영상을 통해 현재까지 논, 밭, 과수원, 임야 등은 분류할 수 있으나 밭작 물의 품목은 아직 구분하지 못함. 본 연구인 “인공위성을 이용한 벼 재배면

적 조사 시범연구(당진군)” 수행 시 가장 큰 문제점은 필요한 시기의 깨끗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