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통합교육 개선방안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5-51)

<표 Ⅳ-7> 학교 관련 운영 어려움에 대한 집단 간 차이 검증 결과

학교 관련 운영 어려움

성별

남자 2.60 0.90

-0.370 0.712 여자 2.67 0.86

교직경력

10년 미만 2.75 0.99

1.115 0.268 10년 이상 2.54 0.74

통합수업 경험

있음 2.57 0.83

-2.016 0.047 없음 3.07 1.03

특수교육 관련 연수 경험

있음 2.53 0.87

-2.302 0.024 없음 3.00 0.80

어려움 정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특수교육 연수 경험 유무의 t값 과 유의확률이 –2.302(p<0.05) 으로 나타나 특수교육 연수 경험이 없는 교사가 특 수교육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보다 학교 관련 운영 어려움 정도가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표 Ⅳ-8> 고등학교 장애학생 통합교육 내실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사항

항목 빈도 %

행정적 지원 12 13.0

시설적 지원(교육환경 개선 등) 22 23.9 원활한 수업진행을 위한 보조 교사의 지원 38 41.3 일반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연수 강화 13 14.1

일반학급 학생들의 인식 개선 49 53.3

교사들 간의 협력 25 27.2

재정적 지원 3 3.3

기타 2 2.2

하는 것은 일반학급 학생들의 인식 개선이라고 응답한 교사들이 49명(53.3%)으로 가장 많았으며, 원활한 수업진행을 위한 보조 교사의 지원 38명(41.3%), 교사들 간 의 협력 25명(27.2%), 시설적 지원 22명(23.9%), 일반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연수 강 화 13명(14.1%), 행정적 지원 12명(13.0%), 재정적 지원 3명(3.3%), 기타 2명(2.2%) 순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통합교육 개선 방안에 대한 차이 가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 라 장애학생을 일반학급에서 지도하기 위하여 교사 자신에게 가장 필요하다고 생 각하는 연수 내용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 며, 교차분석 결과는 <표 Ⅳ-9>와 같다. 구체적으로 성별, 장애학생 지도 경험, 특 수교육 연수 경험에 따라 장애학생을 일반학급에서 지도하기 위하여 교사 자신에 게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연수 내용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p>0.05), 교직경력의 χ2,값과 유의확률이 10.81, p<0.05 으로 나타나 교직경력에 따 라 장애학생을 일반학급에서 지도하기 위하여 교사 자신에게 가장 필요하다고 생 각하는 연수 내용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Ⅳ-9> 장애학생 지도를 위해 필요한 연수 내용

변수

성별 교직경력 장애학생

지도 경험

특수교육 연수 경험 남자 여자 10년

미만

10년

이상 있음 없음 있음 없음 최근의 특수교육

이론 및 연구 동향 2 4 5 1 4 2 6 0

학습 지도 방법 9 15 11 13 18 6 14 10 특수학급의 운영

방법 7 8 12 3 11 4 11 4

개별화 교육 방법 및

내용 17 25 16 26 40 2 34 8

기타 2 3 2 3 5 0 4 1

χ2 (p-value)

0.45 (0.978)

10.81 (0.029)

9.29 (0.054)

6.44 (0.169)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앞으로 통합교육을 위해 우선적으 로 필요한 행정 및 재정적 지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교차분석 결과는 <표 Ⅳ-10>과 같다. 분석 결과 성별, 교직경력, 장애학생 지도 경험, 특수교육 연수 경험에 따라 통합교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행정 및 재정적 지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표 Ⅳ-10> 통합교육을 위해 필요한 행정 및 재정적 지원

변수

성별 교직경력 장애학생

지도 경험

특수교육 연수 경험 남자 여자 10년

미만

10년

이상 있음 없음 있음 없음 통합학급 가산점

부여 3 3 2 4 6 0 6 0

통합학급 담당 수당

지급 3 4 2 5 7 0 6 1

통합학급 당

일반학생 수 경감 7 22 18 11 25 4 20 9 학교 내 담당 사무

경감 11 7 9 9 14 4 15 3

보조 인력의 지원 12 17 14 15 23 6 20 9

기타 1 2 1 2 3 0 2 1

χ2 (p-value)

6.72 (0.242)

4.01 (0.548)

4.28 (0.511)

4.33 (0.503)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통합교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 한 시설이나 도구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 석을 실시하였으며, 교차분석 결과는 <표 Ⅳ-11>과 같다. 분석 결과 성별, 교직경 력, 장애학생 지도 경험, 특수교육 연수 경험에 따라 통합교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시설이나 도구에 대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표 Ⅳ-11> 통합교육을 위해 필요한 시설이나 도구

변수

성별 교직경력 장애학생

지도 경험

특수교육 연수 경험 남자 여자 10년

미만

10년

이상 있음 없음 있음 없음

편의시설 보완 8 13 9 12 17 4 15 6

안전설비 보완 11 12 10 13 22 1 16 7

보조도구 구비 9 8 9 8 15 2 15 2

교실 공간을 열린

교실 형태로 구성 6 11 12 5 11 6 13 4

기타 2 9 4 7 11 0 8 3

무응답 1 2 2 1 2 1 2 1

χ2 (p-value)

4.19 (0.522)

4.91 (0.427)

10.55 (0.061)

2.25 (0.813)

끝으로,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어떤 형태로 통합교육을 발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교차분석 결과는 <표 Ⅳ-12>와 같다. 구 체적으로 성별, 교직경력, 장애학생 지도 경험에 따라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어떤 형태로 통합교육을 발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특수교육 연수 경험의 χ2,값과 유의확률이 9.74, p<0.05 으로 나타나 특수교육 연수 경험에 따라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어떤 형태로 통합교육을 발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차이가 있다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Ⅳ-12> 성공적인 통합교육 운영 형태

변수

성별 교직경력 장애학생 지도 경험

특수교육 연수 경험 남자 여자 10년

미만 10년 이상

있 음

없 음

있 음

없 음 특수학급과 통합학급과

완전 분리하여 별도 운영·지도

5 7 5 7 10 2 5 7

특수학급에 학생을 두고 예체능, 전문교고에 대해서만 원적학급에서

통합지도

12 18 15 15 26 4 26 4

원적학급에 학생을 두고 일부 지체된 교과목에 대해서만 특수학급에서

별도로 지도

9 22 16 15 26 5 23 8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을 하여 완전

통합교육 실시

9 7 8 8 14 2 13 3

기타 2 1 2 1 2 1 2 1

χ2 (p-value)

4.21 (0.379)

0.70 (0.951)

0.98 (0.913)

9.74 (0.045)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5-5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