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텍스트의 공간적 해석 1) 묘사의 공간적 해석

제2절 서사이론의 영화공간적 해석

4. 텍스트의 공간적 해석 1) 묘사의 공간적 해석

4. 텍스트의 공간적 해석

① 유형적 은유 - 현시적 직해

형태은유 중 가장 원초적이며 일차적인 방법은 공간의 형태를 직접 은유를 통 해 표현하는 것으로서, 공간형태를 공간 외적 개념과 동일시하는 일대일의 직해 적 방법을 의미한다. 언어학의 은유에서 치환이론은 다음과 같다고 할 수 있다.

다음 그림에서 이와 같이 유형적 은유를 엿볼 수 있다. 에로 사리넨의 TWA공 항터미널은 날아가는 새의 모양을 직접적으로 모방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사리 넨의 디자인 방법론은 공항을 비행기가 마치 새의 둥지와 같이 이륙과 착륙을 반복하는 곳으로 생각했기 때문에, 하늘을 나는 새의 형상을 유추하여 공항을 설 계한 것이다. ‘새’와 ‘비행기’ 사이에 ‘비상’이라는 유사성을 바탕으로 공항을 설 계한 것이다. 이는 바로 일대일 전의를 보여주고 있는 치환이론의 방법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은유의 치환이론은 은유가 고착화된 상징으로 머문다는 한계를 지니게 된다.

명사를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간주할 뿐 문장에서 술부가 지니는 역할과 문맥을 간과하게 되는 치환론의 한계는 예술에 적용되었을 때 재생산과 확장을 방해하 는 고정관념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유형적 은유는 현시적 직해에만 의존하 고 있어 창조적인 힘을 상실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② 무형적 은유 - 잠재적 직해

무형적 은유는 인간의 눈높이에서는 숨겨져 있는, 잠재된 직해성을 가지는 것 으로서 유형적 형태은유에 비해 발전된 사유라 할 수 있다. 이는 공간구성 원리 로서 숨겨진 이념과 논리를 수반하여 공간 전체를 하나의 질서로 통합하고 있는 유형으로서, 형태적 직유의 한계를 초월하고 있으나 비인간적 차원의 은유로서 의미의 고착화를 야기하는 은유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인간의 시점에서는 파악하기가 어렵게 은폐되어 있으며 공간의 외적 이념과 구성논리를 평·단면적 차원에서 반영하기에 치환이론과 유형의 은유를 벗어난 상호작용이론에 바탕을 둔 무형적 은유의 맥을 잇는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공간적 차원이며 영화공간의 관람자에게는 드러나지 않는 것이기에 현시적 직해의 유형과는 다른 차원의 은 유라 볼 수 있다.

③ 결합 은유 - 직해의 부재

결합은유는 공간조직과 내부 인간의 인식적, 감성적 요소들을 매체로 한다. 형 태 이면에 숨겨진 공간의 구조, 그것이 유발하는 인간의 체험적 감성의 조절을 통해 영화공간의 미적 체험을 유도함으로써 마치 시의 속성과도 같이 감각적 측 면의 새로운 세계와 해석을 생성시키는 공간들을 의미한다.60) 이는 상호작용이론 에 바탕을 둔 결합은유의 범주에 속하는 유형으로서 물리적 공간, 경험의 주체, 그리고 타인 관계를 매개로 능동적 의미의 생산이 가능한 은유의 방법이다.

이처럼 직해의 부재로서 공간조직에서 비롯되는 인간과 영화공간과의 관계를 매체로 하여 은유에서는 의미의 깊이가 상당히 다름을 알 수 있다. 문맥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지듯이 공간과의 관계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능동적으로 창조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낸다는 측면에서 결합은유는 다양한 의미해석이 가능한 진정한 영화공간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은유의 특성은 스토리의 ‘초점화’ 중 관계에 의한 대상과 주체 의 관계 변화와 인식의 불확정적 경계에 따른 다시점의 표현과 유사한 점이 있 다. ‘초점화’란 화자가 주변과의 관계에 따라 보는 시각과 보여 지고 지각되는 것 사이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이는 능동적 의미의 생산이 가능한 결합은 유와 같은 관점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점화의 특성으로 제시 한 ‘관계성’에 의한 주체와 객체의 변화에 따른 공간의 의미 변화와 불확정적인 공간에 대한 ‘인식성’을 ‘결합은유’의 방법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유형적 은유 - 현시적 직해 무형적 은유 – 잠재적 직해의 표현 결합 은유 – 직해의 부재 표현

라이프 오브 파이(2012), 이안 그랑블루(1988), 뤽 베송 매트릭스 2(2003), 릴리 워쇼스키, 라나 워쇼스키

<표 3-23> 묘사의 공간적 표현

60) 현창용, 건축공간의 은유적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제6권 1호, 2010. 4, p.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