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축소도시 선정기준을 적용하기 위해 우선 특・광역시를 제외한 우리나라 77개 도시를 대상으로 어떠한 인구변화패턴을 보이는지를 유형화하였다. <표 3-8>을 보면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거의 절반 이상인 44개(57.1%) 도시가 지속적 성장・안정 패턴(유형 F)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많이 나타나는 유형은 지속적 축소 패턴(유형 A)으로 13개(16.9%) 도시가 여기에 속한다. 이 외에 일시적 축소 패 턴(유형 B, 유형 C)과 일시적 성장・안정 패턴(유형 D, 유형 E)을 보이는 도시가 각각
표 3-8 인구변화패턴별 해당도시
유형 해당도시 개수
축소
지속적
축소 A 동해시, 태백시, 공주시, 익산시, 정읍시, 남원시, 김제시, 여수시, 경주시, 영주시, 영천시, 상주시, 밀양시 13 일시적
축소
B 목포시 1
C 수도권 광명시, 과천시 2
지방 삼척시, 보령시, 논산시, 나주시, 김천시, 안동시, 문경시 7
성장
일시적 성장・안정
D 안양시, 구리시, 강릉시, 창원시 4
E 제천시, 군산시, 포항시, 통영시, 사천시, 서귀포시 6
지속적 성장・안정 F
수도권
수원시, 성남시, 의정부시, 부천시, 평택시, 동두천시, 안산시, 고양 시, 남양주시, 오산시, 시흥시, 군포시, 의왕시, 하남시, 용인시, 파주시, 이천시, 안성시, 김포시, 화성시, 광주시, 양주시, 포천시, 여주시
24
지방
춘천시, 원주시, 속초시, 충주시, 청주시, 천안시, 아산시, 서산시, 계룡시, 당진시, 전주시, 순천시, 광양시, 구미시, 경산시, 진주시, 김해시, 거제시, 양산시, 제주시
20
자료: 저자 작성.
그림 3-12 정점 지난 도시의 정점인구 대비 현재인구 감소비율 분포
자료: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국가통계포털(KOSIS). http://kosis.kr (검색일: 2016. 10. 1).
10개(13%)로 나타나고 있다. 다음으로, 특・광역시를 제외한 우리나라 77개 도시 중 에서 인구정점을 지난 이후 10년 이상 경과된 37개 도시만을 대상으로 정점인구 대비 현재인구(2015년)의 감소비율을 분석하였다(<그림 3-12> 참조). 가장 큰 비율로 감 소한 도시는 김제시로 약 61.9%가 감소하였다. 그 외에 태백시(약 59.0%), 삼척시 (약 50.4%), 정읍시(약 55.4%), 남원시(약 54.1%), 나주시(약 56.4%), 상주시 (약 56.4%), 문경시(약 55.4%)의 7개 도시가 정점인구에 비해 현재인구가 절반 이 상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두 가지 기준을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축소도시를 선정한 결과
<표 3-9>와 같이 20개의 도시가 추출되었다. 이 결과는 최근 20년 간 연평균 인구변화 율이 -0.15% 미만인 23개 도시 중에서 ‘일시적 축소 패턴이면서 정점인구 대비 감소 율이 25% 미만’인 3개 도시(광명시, 과천시, 목포시)가 제외된 것이다. 유형별로 보 면 ‘고착’형 축소도시는 태백시, 공주시, 정읍시, 남원시, 김제시, 영주시, 영천시, 상주시, 밀양시 등 9개 도시, ‘점진’형 축소도시는 동해시, 익산시, 여수시, 경주시 등 4개 도시, ‘급속’형 축소도시는 삼척시, 보령시, 논산시, 나주시, 김천시, 안동시, 문경시 등 7개 도시로 나타났다. 이들은 유형별로 어느 정도 유사한 특성을 보이고 있 어 각 유형에 대한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림 3-13>은 우리나라 20개 축소도시의 공간적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광역자치 단체별로는 강원도에 3개, 충청남도에 3개, 전라북도에 4개, 전라남도에 2개, 경상북 도에 7개, 경상남도에 1개 도시가 분포하고 있다. ‘고착’형 축소도시의 경우 전라북 도, 경상북도, 경상남도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외 ‘점진’형 축소 도시는 전 지역에 걸쳐 골고루 분포하고 있으며, ‘급속’형 축소도시는 충청남도와 경 상북도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3-9 우리나라의 축소도시 선정 결과
구분 축소도시
‘고착’형 태백시, 공주시, 정읍시, 남원시, 김제시, 영주시, 영천시, 상주시, 밀양시
‘점진’형 동해시, 익산시, 여수시, 경주시
‘급속’형 삼척시, 보령시, 논산시, 나주시, 김천시, 안동시, 문경시 자료: 저자 작성.
그림 3-13 축소도시의 공간적 분포
자료: 저자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