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초점화에 대한 공간적 해석

제2절 서사이론의 영화공간적 해석

4) 초점화에 대한 공간적 해석

수 있는 것처럼 영화공간에서도 다시점에 따른 공간 인식의 차이는 다양한 경험 을 유도한다. 나아가 선택적 지각을 통해 다양한 해석과 의미를 생성해냄으로써 공간의 스토리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단일시점 – 정적인 공간표현 다시점 – 동적인 공간표현

움직임 위치 고정 움직임 위치의 유동적인 변화

대상과 주체의 관계가 고정적인 절대적 공간 대상과 주체가 변화하는 상대적 공간

송민정, 다시점 결절공간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8, p.11참조

<표 3-18> 시점체계에 따른 공간 체험 특성

관객 스스로가 시지각을 움직여 상황마다 다르게 장면 속 공간을 인식하게 한 다. 독립적인 한 장면 장면들이 움직이는 시지각에 따라 변화하며 다양한 공간의 시퀀스를 만들게 된다. 바닥, 벽, 천장, 기둥, 램프, 색채 등을 통해 시지각의 움 직임을 유동적으로 변화시키며 통합시킨다.

이러한 다양한 선택적 움직임에 의해 그 공간은 다양한 이미지들로 가득 차며 비일상적인 공간으로 인지된다. 이런 과정 속에서 우리가 인지하지 못했던 수많 은 사건들과 이미지들로 인해 일상의 고정적이고 무료했던 공간은 새롭고 낯선 공간으로 다가오게 된다. 다양한 선택적 지각에 의해 일상적 풍경은 다시점적 공 간으로 다양한 모습으로 인지된다.

단일시점 – 정적인 공간표현 다시점 – 동적인 공간표현

움직임 위치 고정 움직임 위치의 유동적인 변화

대상과 주체의 관계가 고정적인 절대적 공간 대상과 주체가 변화하는 상대적 공간

<표 3-19> 시점체계에 따른 영화공간 체험 특성

② 관계에 의한 대상과 주체의 관계 변화 - 시각에 입각한 관계성

영화공간이나 관객의 움직임이 정지된 상태에서 대상과 주체의 관계가 변화할 수 있다. 대상과 주체의 관계가 변화하는 상대주의적 공간의 의미를 보여줌으로써 공간 을 경험하는데 역동성을 부여한다. 이러한 역동성은 관객이 장면 안으로 들어가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되기도 한다. 영화공간 내부의 장치들-바닥, 벽, 기둥, 조명, 색채-의 디자인과 배치에 따라 이곳에서 바라보는 내가 주체가 되기도 하고 바라보이는 객체가 되기도 한다. 배우들의 동선과 선후관계가 만들어내는 스토리와 플롯, 공간 의 시각적 장치들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장면은 새로운 의미의 공간을 만들어낸다.

내부 장치들을 통한 관계의 변화 스토리와 플롯을 통한 관계의 변화

카모메식당(2006), 오기가미 나오코 죽은 시인의 사회(1989), 피터 위어

<표 3-20> 관계에 따른 영화공간의 표현

③ 인식에 나타난 불확정적 경계 - 인식성

공간 구성 기법에 나타난 공간의 불확정적 경계에 따른 다시점 표현이 있을 수 있다. 공간을 구성함에 있어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구분하는 관계는 획일성을 거부하는 경향에 따라 내 · 외부 경계의 불확정적 상태를 추구하게 된다.

영화 장면 구성에 있어 물리적 요소에 한정되는 절대론적 공간과는 달리 공간 의 상호작용, 확장들을 통해 내 · 외부 공간을 구성하는데 물질적 · 비물질적 요 소를 도입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확정적인 공간의 성격들과 의미들이 관 객의 시지각에 의해서 다양화됨으로써 명확했던 영화 속 공간과 배경요소들의 관계성이 모호해지게 된다.

영화 인셉션에서는 기억을 따라 시간이 중첩된다. 지금 마주한 상황이 현실인 지 꿈인지 구분하는 방법 중 하나가 꿈에서는 돌아가는 팽이가 멈추지 않는다는 것이다. 지금 돌고 있는 팽이가 현실인지 꿈인지 구분이 모호한 장면이다.

공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물질적 요소 도입에 의한

인터스텔라(2014), 크리스토퍼 놀란 인셉션(2010), 크리스토퍼 놀란

<표 3-21> 인식에 따른 불확정적 경계의 표현

따라서 장면(scene)에서의 공간의 의미가 기존의 절대론적이고 획일적인 것에 서 탈피하여 공간이 하나의 배경이 되고 배경이 하나의 공간이 되는 중첩적이고 절충적인 공간화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영화공간의 다양성과 의미는 더욱 풍부 해질 것이다.

4. 텍스트의 공간적 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