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강소영. 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 영향요인.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권오대, 김태완, 박미영, 이상도, 이현아, 이호원. 치매환자 가족 부양자의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치매학회지 2013;12:107­113.

권용철, 박종한.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의 표준화 연구. 신경정신의학 1989;28(1):125­135.

권중돈. 한국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 사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4.

김귀분, 성정민, 석소현. 입원노인 주 부양자의 건강상태, 소진감 및 부양 부담감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8;19(2):216­225.

김영임. 치매노인 주 부양자의 부양부담감과 치매지식 및 사회적 지지.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원 대학원, 2015.

김주성, 이해정, 김기련. 가족관계유형별 치매노인가족의 간호제공 상황평 가. 소진 및 대처유형. 한국노년학회 2004;24(4):39­51.

노유자. 서울지역 중년기 삶의 질에 관한 분석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 대학교 대학원, 1988.

박귀화. 치매노인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향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 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03.

박소영. 치매노인 부양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부양부담감에 미 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2009.

성미라, 김경아, 이동영. 치매노인 주 가족 간호제공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간호학회지 2012;14(3):200­208.

손계순. 치매환자 부양자의 스트레스와 소진경험. 한국농촌간호학회지 2006;1(1):40­48.

안은정, 이영숙. 말기암환자 가족원의 부담감과 소진. 종양간호학회지 2005;5(1):40­51.

오 희, 석소현. 치매노인 주 부양가족의 건강상태, 부양부담감 및 삶의 질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2009;18(2):158­159.

왕혜경. 노인전문병원 입원환자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논문, 꽃동네 현도사회복지대학교, 2009.

유용식. 치매노인가족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 인복지학회 2007;38:31­50.

이경미. 치매노인 부양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부담감. 석사학위논 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이준상, 박애선. 치매노인 가족보호제공자의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008;40:225­248.

정원근. 중산층 가정의 치매노인의 복지지원정책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민 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주경복, 김귀분. 노인 주 부양자의 부양부담감, 소진감 및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08;14(4):278­289.

주경복. 치매노인 가족의 소진 구조모형.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 원, 2009.

최성혜, 나덕렬, 이병화, 함동석, 정지향, 정용, 구은정, 하충건, 안성신, 치매연구회. 한국판 Global Deterioration Scale의 타당도. 대한신경 과학회지 2002;20:612­617.

최은숙, 김경숙.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0;21(2):210­219.

픽은희. 간호원의 소진경험정도와 업무만족도간의 상관연구. 석사학위논 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3.

Baruch­Feldman C, Brondolo E, Ben­Dayan D, Schwartz J. Sources of social support and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productivity.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2002;7(1):84­93.

Cobb S. Social support as a moderate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1976;38(5):300­314.

Folstein MF, Folstein SE, McHugh PR.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975;12(3):189­198.

Lyons KS, Sayer AG. Using multilevel modeling in caregiving research. Aging Ment Health 2005;9(3):189-19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Population statstics of senile dementia.

Seoul; Ministry of Health, Welfare 2nd Dementia Management Master Plan, 2012.

Oberst MT, Thomas SE, Gass KA, Ward SE. Caregiving demands and appraisal of stress among family caregivers. Cancer Nursing 1989;12(4):209­215.

Pines AM, Aronson ME, Kafry D. Burnout: From tedium to personal growth. New York; A Division of MacMillian Publishing Co. Inc.

202­222.

Sadik K, Wilcock G. The increasing burden of Alzheimer disease.

Alzheimer Dis Assoc Disord 2003;17(Suppl)3:S75­79.

Sherbourne CD, Stewart AL. The MOS social support survey.

Social Science & Medicine 1991;32(6):705­714.

Statistics Korea. Population Projection for Korea: 2010~2060 (Based on the 2010 Census), Daejeon; Statistics Korea, 2011.

Townsend A, Neolker L, Deimling G, Bass D. Longitudinal impact of interhousehold caregiving on adult children's mental health. Psychology and Aging 1989;4(4):393­40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