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직무수행 예비 역량모델 완성

최종적으로 완성된 직무수행 역량모델은 <그림 5-3>과 같고, 역량요인과 정의는 <표 4-19>와 같다.

<그림 4-7> 완성된 직무수행 예비 역량모델

<표 4-19> 직무수행 역량모델의 역량요인 및 정의

역량 군 역량요인 조작적 정의

직무수행

내담자파악 미술치료 전 내담자의 특성을 파악하는 능력

중재(치료)계획 내담자의 특성에 적합한 목표를 설정하고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능력

중재(치료)활동 상담과 미술매체를 활용하여 내담자를 치료하는 능력 중재(치료)평가 미술치료 후 내담자의 상태를 평가하는 능력

<표 4-19>에 의하면, 타당성 평가기준을 모두 만족한 직무수행 역량모델의 역량요인 은 내담자파악, 중재(치료)계획, 중재(치료)활동, 중재(치료)평가의 4개로 나타났다. 이에 미술치료사의 직무수행 역량요인으로 내담자파악, 중재(치료)계획, 중재(치료)활동, 중 재(치료)평가의 4개를 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직무수행 역량요인별 세부항목과 정의는 <표 4-20>, <표 4-21>,

<표 4-22>, <표 4-23>과 같다.

<표 4-20> 내담자파악 역량요인의 세부항목 및 정의

역량요인 세부항목 조작적 정의

내담자파악

내담자수용 내담자의 주호소, 욕구, 심각정도를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고 내담자에게 신뢰를 주는 능력

내담자관찰 치료과정에서 내담자의 반응을 지속적으로 관찰하 여 내담자의 특성을 통찰력 있게 파악하는 능력

내담자정보파악 내담자의 배경과 사전검사 결과를 통해 내담자의 정보를 파악하고 적절한 매체를 선택하는 능력 내담자특성

분석/판단

내담자의 전반적인 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구체적으 로 치료목표와 방법을 설정하는 능력

치료부적합 내담자대처

내담자와 공감 형성이 어려워 치료가 어려운 특성 을 가진 내담자를 거절하고 타 치료사로의 연계를 결정하는 능력

부모상담 내담자의 부모와 신뢰 관계를 형성하는 상담능력

<표 4-20>에 의하면, 타당성 평가기준을 모두 만족한 직무수행 역량요인의 내담자파 악 세부항목은 내담자수용, 내담자관찰, 내담자정보파악, 내담자특성분석/판단, 부모상 담의 5개로 나타났다. 치료부적합내담자 고려 항목은 CVR 값이 0.50으로 기준을 만족 하지는 못하였지만 타당성 평균이 4.25로 높았고 전문가들의 개방질문에 대한 의견도 중요한 것으로 제시되어 유지를 결정하였다. 이에 미술치료사의 직무수행 역량의 내담 자파악 항목으로 내담자수용, 내담자관찰, 내담자정보파악, 내담자특성분석/판단, 부모 상담, 치료부적합내담자대처의 6개를 결정하였다.

<표 4-21> 중재(치료)계획 역량요인의 세부항목 및 정의

역량요인 세부항목 조작적 정의

중재(치료)계획

목표설정 내담자의 특성에 맞게 치료의 목표를 설정하는 능력

계획수립 내담자의 치료 목표를 위해 치료 방법 및 내용의 계 획을 수립하는 능력

<표 4-21>에 의하면, 직무수행 역량요인의 중재(치료)계획은 모두 타당성 평가기준 을 만족하였다. 이에 미술치료사의 직무수행 역량의 중재(치료)계획 요인의 세부항목으 로 목표설정과 계획수립의 2개를 결정하였다.

<표 4-22> 중재(치료)활동 역량요인의 세부항목 및 정의

역량요인 세부항목 조작적 정의

중재(치료) 활동

상담활용 다양한 상담기법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내담자를 치료하는 능력

대화 내담자가 친밀감을 갖도록 대화하는 능력

표현 내담자의 마음을 이끌어 내도록 진솔하게 표현하여 상담 하는 능력

듣기 내담자가 편안한 상태로 자신의 이야기를 하도록 들어주는 능력

맞춤형 상담

내담자만의 고유한 특성과 상황에 대해 맞춤형으로 상담 을 하는 능력

공감 내담자가 내면의 이야기를 할 때까지 내담자를 기다려주 고 도와주면서 인간적인 신뢰감을 갖도록 하는 능력 위기개입 내담자의 위기 상황을 인식하여 적절한 개입을 하는 능력 미술매체활용 다양한 미술매체를 능숙하게 활용할 줄 알고, 내담자에

적절한 미술매체를 자연스럽게 적용할 수 있는 능력 그림해석 내담자의 그림 분석을 통해 내담자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치료활동의 내용에 대한 정보를 얻는 능력

보고서작성 관찰일지나 치료일지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작성하는 능력

<표 4-22>에 의하면, 직무수행 역량요인의 중재(치료)활동 요인은 기존 9개 세부항 목 모두 타당성 평가기준을 만족하였다. 추가로 보고서작성 항목은 최초 역량모델 구 안 시 행정/관리 역량요인에 포함하였으나 행정/관리 요인이 타당성 기준 미달로 삭제 되어 중재(치료)활동 요인으로 이동하여 포함하였다. 이에 미술치료사의 직무수행 역량 의 중재(치료)활동 요인의 세부항목은 상담활용, 대화, 표현, 듣기, 맞춤형상담, 공감, 위기개입, 미술매체활용, 그림해석, 보고서작성의 10개로 결정하였다.

<표 4-23> 중재(치료)평가 역량요인의 세부항목 및 정의

역량요인 세부항목 조작적 정의

중재 (치료)평가

심리검사 이해 심리검사 관련 전문지식 심리검사

작성/활용

심리검사를 개발하거나 기존 심리검사를 수정하여 활용하 는 능력

심리검사분석 심리검사 결과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능력

<표 4-23>에 의하면, 직무수행 역량요인의 중재(치료)평가 요인은 세부항목 모두 타 당성 평가기준을 만족하였다. 이에 미술치료사의 직무수행 역량의 중재(치료)평가 요인 의 세부항목은 심리검사이해, 심리검사작성/활용, 심리검사분석의 3개로 결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