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직무수행 역량모델 타당성 검증 결과

가. 역량요인의 타당성 검증 결과(직무수행 역량군)

직무수행 역량요인은 내담자파악, 중재(치료)계획, 중재(치료)활동, 중재(치료)평가, 행정/관리 등 5개의 역량요인으로 구성되었고, 델파이조사 결과로 나타난 역량요인의 타당성 검증 결과는 <표 4-8>과 같다.

<표 4-8> 직무수행 역량요인의 타당성 검증 결과

역량군 역량요인 조작적 정의 평균 표준편차 CVR 최빈값

직무 수행

내담자파악 미술치료 전 내담자의 특성을 파악

하는 능력 4.67 0.49 1.00 5

중재(치료) 계획

내담자의 특성에 적합한 목표를 설

정하고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능력 4.50 0.52 1.00 4, 5 중재(치료)

활동

상담과 미술매체를 활용하여 내담자

를 치료하는 능력 4.50 0.52 1.00 4, 5 중재(치료)

평가

미술치료 후 내담자의 상태를 평가

하는 능력 4.42 0.67 0.83 5

행정/관리 내담자 치료와 관련된 행정업무능력 3.92 0.79 0.33 4

<표 4-8>에 의하면, 직무수행 역량군의 역량요인 5개 중 내담자파악, 중재계획, 중재 활동, 중재평가 요인들은 모두 평균이 4.0을 초과하였고, CVR 값도 기준값인 0.56을 초과하여 직무수행 역량군의 구성 요인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행정/관 리 역량요인은 평균 3.92로 4.0 미만이었고, CVR 값도 0.33으로 기준 0.56보다 낮아 직 무수행 역량군으로 구성되는 것이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행정/관리 요 인의 삭제를 고려하였다.

나. 내담자파악 세부항목의 타당성 검증 결과

내담자파악은 내담자수용, 내담자관찰, 내담자정보파악, 내담자특성분석/판단, 치료 부적합내담자대처, 부모상담 등 6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델파이조사 결과로 나타난 내담자파악 세부항목들의 타당성 검증 결과는 <표 4-9>와 같다.

<표 4-9> 내담자파악 세부항목의 타당성 검증 결과 역량

요인 세부항목 조작적 정의 평균 표준

편차 CVR 최빈값

내담 자파 악

내담자 수용

내담자의 주호소, 욕구, 심각정도를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고 내담자에 게 신뢰를 주는 능력

4.50 0.67 0.93 5

내담자 관찰

치료과정에서 내담자의 반응을 지 속적으로 관찰하여 내담자의 특성 을 통찰력 있게 파악하는 능력

4.58 0.67 0.83 5

내담자 정보파악

내담자의 배경과 사전검사 결과를 통해 내담자의 정보를 파악하고 적 절한 매체를 선택하는 능력

4.58 0.51 1.00 5 내담자

특성 분석/판단

내담자의 전반적인 특성에 대해 분 석하여 구체적으로 치료목표와 방 법을 설정하는 능력

4.50 0.67 0.83 5

치료부적합 내담자대처

내담자와 공감 형성이 어려워 치료 가 어려운 특성을 가진 내담자를 거절하고 타 치료사로의 연계를 결 정하는 능력

4.25 0.87 0.50 5

부모상담 내담자의 부모와 신뢰 관계를 형성

하는 상담능력 4.42 0.67 0.83 4, 5

<표 4-9>에 의하면, 직무수행 역량군의 내담자파악 요인의 세부항목들 중 치료부적 합내담자대처 항목을 제외한 5개 항목의 평균은 모두 4.0을 초과하였고, CVR 값도 기 준값 0.56을 초과하여 내담자파악 역량요인의 구성 항목으로 타당하였다. 하지만, 치료 부적합내담자대처 항목은 평균이 4.25로 4.0 이상이었지만 CVR 값이 0.50으로 기준값 보다 낮아 내담자파악 요인으로 적합한 구성 항목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치료 부적합내담자대처 세부항목의 삭제를 고려하였다.

다. 중재(치료)계획 세부항목의 타당성 검증 결과

중재(치료)계획은 목표설정, 계획수립의 2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델파이조사 결과 로 나타난 중재(치료)계획 세부항목들의 타당성 검증 결과는 <표 4-10>과 같다.

<표 4-10> 중재(치료)계획 세부항목의 타당성 검증 결과 역량

요인 세부항목 조작적 정의 평균 표준

편차 CVR 최빈값 중재

(치료) 계획

목표설정 내담자의 특성에 맞게 치료의 목표

를 설정하는 능력 4.58 0.51 1.00 5 계획수립 내담자의 치료 목표를 위해 치료 방

법 및 내용의 계획을 수립하는 능력 4.42 0.67 0.83 5

<표 4-10>에 의하면, 직무수행 역량군의 중재(치료)계획 요인의 목표설정과 계획수 립 항목들은 모두 평균 4.0을 초과하였고, CVR 값도 1.00, 0.83으로 기준값 0.56을 초 과하여 중재(치료)계획 역량요인의 구성 항목으로 타당하였다.

라. 중재(치료)활동 세부항목의 타당성 검증 결과

중재(치료)활동 요인은 상담활용, 대화, 표현, 듣기, 맞춤형상담, 공감(상호작용), 위 기개입, 미술매체활용, 그림해석 등 9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델파이조사 결과로 나타 난 중재(치료)활동 세부항목들의 타당성 검증 결과는 <표 4-11>과 같다.

<표 4-11> 중재(치료)활동 세부항목의 타당성 검증 결과 역량

요인 세부항목 조작적 정의 평균

표준

편차 CVR 최빈값

중재 (치료)

활동

상담활용 다양한 상담기법을 적절하게 활용하

여 내담자를 치료하는 능력 4.42 0.67 0.83 5 대화 내담자가 친밀감을 갖도록 대화하는

능력 4.67 0.49 1.00 5

표현 내담자의 마음을 이끌어 내도록 진솔

하게 표현하여 상담하는 능력 4.67 0.49 1.00 5

<표 4-11>에 의하면, 직무수행 역량군의 중재(치료)활동 요인의 세부항목들은 모두 평균 4.0을 초과하였고, CVR 값도 기준값 0.56을 초과하여 중재(치료)활동 역량요인의 구성 항목으로 타당하였다.

마. 중재(치료)평가 세부항목의 타당성 검증 결과

중재(치료)평가 요인은 심리검사이해, 심리검사작성/활용, 심리검사분석 등 3개 항목 으로 구성되었다. 델파이조사 결과로 나타난 중재(치료)평가 세부항목들의 타당성 검증 결과는 <표 4-12>와 같다.

<표 4-12> 중재(치료)평가 세부항목의 타당성 검증 결과 역량

요인 세부항목 조작적 정의 평균 표준

편차 CVR 최빈 값

중재 (치료)

평가

심리검사

이해 심리검사 관련 전문지식 4.42 0.67 0.83 5 심리검사

작성/활용

심리검사를 개발하거나 기존 심리검

사를 수정하여 활용하는 능력 4.17 0.72 0.83 4 심리검사

분석

심리검사 결과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능력 4.50 0.67 0.83 5

역량

요인 세부항목 조작적 정의 평균

표준

편차 CVR 최빈값 듣기 내담자가 편안한 상태로 자신의 이야

기를 하도록 들어주는 능력 4.58 0.51 1.00 5 맞춤형

상담

내담자만의 고유한 특성과 상황에 대

해 맞춤형으로 상담을 하는 능력 4.58 0.67 0.83 5 공감

내담자가 내면의 이야기를 할 때까지 내담자를 기다려주고 도와주면서 인 간적인 신뢰감을 갖도록 하는 능력

4.83 0.39 1.00 5

위기개입 내담자의 위기 상황을 인식하여 적절

한 개입을 하는 능력 4.67 0.65 0.83 5 미술매체

활용

다양한 미술매체를 능숙하게 활용할 줄 알고, 내담자에 적절한 미술매체 를 자연스럽게 적용할 수 있는 능력

4.58 0.67 0.83 5

그림해석

내담자의 그림 분석을 통해 내담자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치료활동의 내용에 대한 정보를 얻는 능력

4.50 0.67 0.83 5

<표 4-12>에 의하면, 직무수행 역량군의 중재(치료)평가 요인의 세부항목들은 모두 평균 4.0을 초과하였고, CVR 값도 기준값 0.56을 초과하여 중재(치료)평가 역량요인의 구성 항목으로 타당하였다.

바. 행정/관리 세부항목의 타당성 검증 결과

행정/관리 요인은 보고서작성, 미술치료실관리의 2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델파이 조사 결과로 나타난 행정/관리 세부항목들의 타당성 검증 결과는 <표 4-13>과 같다.

<표 4-13> 행정/관리 세부항목의 타당성 검증 결과 역량

요인 세부항목 조작적 정의 평균 표준

편차 CVR 최빈 값

행정/

관리

보고서작성 관찰일지나 치료일지를 효율적이

고 체계적으로 작성하는 능력 4.00 0.95 0.83 4, 5 미술치료실

관리

미술매체 구입과 관리, 미술작품의

보관 능력 4.00 1.04 0.33 5

<표 4-13>에 의하면, 직무수행 역량군의 행정/관리 요인의 보고서작성과 미술치료실 관리 항목은 평균이 4.00으로 기준을 만족하였고, CVR 값은 0.83, 0.33으로 보고서작성 항목만 기준을 통과하였다. 미술치료실관리 항목은 2점부터 5점까지 측정되어 변산도 가 크게 나타났고, CVR 값이 기준 0.56에 크게 미치지 못하여 삭제를 고려하였다. 미 술치료실관리 항목이 삭제될 경우 보고서작성 항목 하나만으로 행정/관리 요인을 구성 하는 것은 적절치 않으므로 보고서작성 항목을 중재(치료)활동 요인에 포함하는 것을 고려하였다.

직무수행 역량요인과 세부항목의 타당성에 대한 전문가패널들의 개방형 의견으로 내 담자파악 요인에 환경탐색 및 파악 항목 추가, 중재활동 요인에 격려 항목 추가 등의 의견이 있었다. 전문가의 개방형 의견은 기존 도출된 역량요인과 세부항목과 유사하여 도출된 내용의 수정을 고려하지는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