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역별 해양환경위해도 도출 및 해상방제장비 배치량 산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2-86)

4.2 배치모델 설계방법

4.2.5 지역별 해양환경위해도 도출 및 해상방제장비 배치량 산정

각 항목에 대하여 지역별 기초자료 통계조사 및 정규화를 통하여 산정한

위해도 점수와 계층분석과정 기법을 이용한 각 항목에 대한 가중치 계산 결과를 종합하여 단일값으로 제시하는데, 이 값이 해당 지역의 권역내에서 의 최종적인 위해도를 의미한다. 계산된 위해도에 따라 권역내 지역별 해 상방제장비 배치량을 산정한다.

권역내 지역별 위해도를 계산하기 위해 7개의 위해도 항목에 관한 지역 별 통계자료와 AHP를 이용한 항목별 가중치를 이용하였고, 이용한 최종식 은 아래 식 (4.2)와 같다.



  

  





× 

× ……… (4.2)

단, H : 지역별 해상방제장비 배치량(위해도 기반) j : 1,2,…,m

n : 항목에 대한 지역의 점수치 i : 7개 항목(i=1,2,…,7)

a : 권역내 지역의 번호(a=1,2,…,m) m : 권역내 지역의 수

Ai : 항목의 가중치(AHP 설문을 이용하여 도출)

Q : 전국 또는 권역 소요량(본 논문에서는 7,500㎘ 적용)

본 연구에서 설계하는 지역별 해상방제장비 배치모델은 위해도 기반 배 치 모델(Hazard-Based Deployment Model)이므로 첫글자를 따서 “HBD Model”로 명명한다.

이상에서 설계된 HBD Modeling 과정을 종합적으로 설명하면 Fig. 4.4와 같다.

Fig. 4.4 Flow chart of HBD Model

HBD Model에서 변수는 총 4개로, 전국 또는 권역내 배치할 해상 기름회 수능력 총량, 위해도 항목의 종류 및 개수, 지역의 위해도 항목별 현황, 위 해도 항목별 가중치가 해당된다.

Step 1에서는 먼저 HBD Model의 적용을 위해 권역의 범위와 전국 또는 권 역에 배치시킬 해상방제장비의 해상기름회수 총량을 설정한다. 권역의 범위 및 배치량 결정시 권역별 배치량을 다른 값으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변경 된 값을 입력치로 사용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현행 기준인 7,500㎘를 그대 로 적용하였다.

Step 2에서는 모델 적용에 필요한 위해도 항목을 설정하는데, 위해도 항목 의 종류 및 개수의 설정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중요도 변화에 따라 변경하

여 설정할 수 있다.

Step 3에서는 각 항목의 지역별 현황을 조사하여 정규화한다. Step 2에서 설정된 위해도 항목에 따라 지역의 항목별 현황을 조사하기 때문에 지역 별 현황 자료도 항목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Step 4에서는 계층분석과정(AHP) 이용에 필요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항 목별 가중치를 도출한다. 위해도 항목별 가중치는 항목의 선택과 마찬가지 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전문가들의 의견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가중치 값은 달라질 수 있다.

Step 5에서는 Step 3에서 도출된 정규화 결과와 Step 4에서 도출된 항목별 가중치를 단일값으로 제시하여 이 값을 권역내 특정지역의 해양환경위해도 로 간주한다.

Step 6에서는 Step 5에서 도출된 지역별 해양환경위해도 값에 권역내에 배 치할 해상기름회수 총량을 곱하여 최종적인 지역 배치량을 산정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