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1. 지역경제 파급효과 추정방법

○ 안동시 농업복합단지 조성으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추정하였음. 사업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사업이 파생시키는 간접적 인 효과 및 환류효과(feed-back)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해 일반균형분석을 실시하였음.

○ 일반균형분석을 위해서는 다양한 모형이 활용되고 있으나, 가장 보편적인 모형으로 산업연관모형(Input-Output Model: IO)을 들 수 있음.

- 산업연관모형은 경제 내에서 발생하는 연(年)단위의 산업별 생산 및 처 분에 관련된 모든 거래내역을 당해의 화폐가치로 평가·정리한 산업연관 표에 기초하는데, 이는 중간수요, 부가가치, 최종수요, 수입 등의 관계를 통해서 경제전반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게 됨.

- 산업연관구조 분석을 통하여 한 산업의 생산이 증가할 경우 동 산업에 중간재를 공급하는 다른 산업의 생산을 유발하는 정도(후방연관효과)나, 한 산업의 생산증가가 그 산업에서 생산된 재화를 중간재로 사용하는 다 른 산업의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전방연관효과)도 파악할 수 있음.

- 산업연관표에서 제시되고 있는 기술구조 및 산업연관관계는 단기적으로는 안정되어 있으며, 중기적으로도 기술혁신이 급격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한 안정적일 수 있으므로 산업연관모형 분석은 단기·중기적인 경제적 기대효 과 분석에 주로 이용됨.

○ 안동시 농업복합단지 조성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다지역산업연관모형(Multi-Regional Input Output Model)임.

- 한 지역에서 수요변화가 발생할 경우 경제적 파급효과는 해당지역과 다 른 지역에 동시에 파급되며, 이 파급효과는 다시 수요가 발생한 지역으 로 환류되기 때문에 지역별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지 역산업연관모형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 이 연구에서는 2009년 한국은행에서 작성한 2005년 다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였음.

○ 다지역산업연관표 중 일반적인 투입산출표의 구조는 <그림 4-2>와 같음.

그림 4-2. 다지역산업연관표(투입산출표)의 기본구조

자료: 한국은행(2009), 2005년 지역산업연관표 해설.

■ 생산 유발효과

○ 다지역산업연관모형은 지역 간, 산업 간 재화의 흐름을 나타내는 다지역 투 입산출표를 바탕으로 지역 제품에 대한 최종수요의 변화가 해당 지역경제 를 포함한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제시해 줌.

○ 앞의 <그림 4-2>에 제시된 투입산출표에 나타난 재화의 배분을 식으로 나 타내면 다음과 같음.

 ………(1)

: 지역별 산업별 총산출액 행렬  × 

: 최종수요백터  × 

: 지역간 산업간 재화의 교역 계수행렬  × 

: 투입계수행렬  × 

: 지역수, : 산업수

○ 위의 식으로부터 지역별 산업별 산출액 및 각 산업 재화에 대한 최종수요와 의 관계는 식(2)과 같이 표현됨. 이를 이용하여 지역의 산업별 재화에 대한 최종수요의 변화가 지역 및 전국에 미치는 생산 유발효과를 구체적으로 추 정할 수 있음.

  ∙∆ ………(2)  



………(3)

∆   생산액 변화 ∆   최종수요의 변화



: 레온티에프 역행렬(지역 산업의 최종수요 한 단위 변화가 지역

산업 생산에 미치는 효과)

■ 부가가치 유발효과

○ 부가가치 유발효과란 각 산업제품에 대한 최종수요의 변화가 지역 및 국민 경제의 부가가치액에 미치는 효과를 말함.

○ 이러한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식(4)과 같이 최종수요 변화에 따른 생산유발 규모와 부가가치 계수 행렬의 곱으로 계산됨.

- 부가가치 계수행렬은 투입산출표의 산업별 부가가치액을 생산액으로 나 누어 준 값임.

∙ ∙∆ ………(4)   ………(5)

∆ : 부가가치 유발효과 : 부가가치 투입계수  : 산업별 부가가치

■ 취업 유발효과

○ 취업 유발효과란 각 산업제품에 대한 최종수요의 변화가 지역 및 국민경 제의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의미함.

○ 취업 유발효과는 식(6)과 같이 최종수요 변화에 따른 생산 유발규모와 취업 자 투입계수 행렬의 곱으로 계산됨.

○ 취업자 투입계수 행렬은 단위 생산액당 취업자의 투입규모를 의미함.

∙ ∙∆ ………(6)  

 ………(7)

∆ : 취업유발 효과

: 취업자 투입계수 행렬  : 산업별 취업자 규모

2.2. 지역경제 파급효과 추정

○ 안동시 농업복합단지 조성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은 폐열을 활용하는 S1시나리오를 대상으로 하였음.

○ 안동시 농업복합단지 조성에 따른 최종수요는 단지 조성에 따른 건설 투

자 지출, 농산물 생산 수요, 방문객에 의한 소비 지출 등이 있음. 단지 조 성의 간접적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을 위해 이를 산업연관표상 산업분류 에 따라 산업별로 분류하였음.

- 건설 투자 지출은 시설원예단지, 농업체험단지 조성을 위한 건설비 지출 을 의미함.

- 농산물 생산 수요는 농업복합단지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의 판매 금액을 의미함. 단지 조성 후 20년 간 농산물 생산액을 최종 수요로 산정하였음.

- 방문객에 의한 소비 지출은 농업 체험 단지에서 발생하는 입장료, 체험 프로그램, 직판 수익을 의미한. 단지 조성 후 20년 동안 발생하는 수익을 최종 수요로 산정하였음.

○ 안동시 농업복합단지 조성으로 인한 최종수요 증대액은 총 1,363억 원으로 추정됨. 산업별 지출 규모 추정액은 <표4-25>와 같음.

산업분류 금액 비중

건설 23,896 17.5%

농림수산품 62,082 45.5%

도소매 27,202 20.0%

사회 및 기타 서비스 22,960 16.8%

수송장비 55 0.0%

일반기계 150 0.1%

계 136,344 100.0%

표 4-25. 간접적 지역경제 파급효과 추정을 위한 투입 비용 산정

단위: 백만 원, %

- 농림수산품에서 가장 큰 최종수요 증대가 이루어져 총 621억 원의 최종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됨.

- 도소매에서 272억 원, 건설에서 239억 원, 사회 및 기타 서비스에서 230 억 원의 최종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됨.

- 다음으로 일반기계와 수송장비에서 각각 1.5억 원과 0.6억 원의 최종수 요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됨.

○ 안동시 농업복합단지 조성으로 총 2,460억 원의 생산 유발효과가 발생할 것 으로 추정됨. 이 중 경상북도 내에서 발생하는 생산 유발효과는 1,750억 원 가량임.

-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총 1,190억 원 가량임. 이 중 경상북도 내에서만 918억 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됨.

○ 안동시 농업복합단지 조성은 전국적으로 총 5,601명의 취업 유발효과를 발 생시킬 것으로 추정됨. 이중 경상북도 지역 내에서는 5,027명의 취업이 유 발될 것으로 추정됨.

최종수요 산업 생산 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 유발효과

경북 전국 경북 전국 경북 전국

농림수산품 767 1,073 433 545 2,919 3,203

일반기계 2 4 1 1 1 2

수송장비 1 1 0 0 0 1

건설 325 487 136 195 281 386

도소매 345 448 200 248 1,140 1,221

사회 및 기타 서비스 309 447 148 201 686 789 합계 1,750 2,460 918 1,190 5,027 5,601

표 4-26. 안동시 농업복합단지 조성의 경제적 파급효과 추정액

단위: 억 원, 명

산업분류 생산 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 유발효과

5

사업 추진전략 및 운영 방안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