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체인 인간이 경험하는데 필수적인 영화장면의 구성요소로 볼 수 있다. 스토리는 파블라의 연쇄로써, 파블라의 성분들이 ‘특정한 방식으로 구조화되는 양상’이다.

스토리는 연쇄적 배치, 리듬, 빈도, 장소에서 공간으로, 초점화 등의 양상으로 나 타난다. 이는 영화공간에 제시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결합방법’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공간연출로 나타나는 ‘의미화’라고 할 수 있다. 텍스트는 언어 기호로 구 조화된 전체를 의미한다. 이는 묘사와 서술을 통해 공간의 주제가 구조화된 것이 라 할 수 있다.

둘째, 서사이론을 바탕으로 세 편의 SF 영화의 주제가 드러난 공간을 분석한 결과, 미래공간에 적용 가능한 공간 연출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었다.

‘형태‘는 미래사회에서 발전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련되고 매끄러운 형태를 가진 공간들로 주로 연출되었다. 또한, 공간이 가지고 있는 기능을 중시하여 디 자인되었으며, 공간에서 주로 행해지는 행동의 성격에 따라 공간의 분위기를 강 조하고 있는 형태들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조명‘은 세 영화 모두 실내공간의 조명은 자연조명보다는 인공조명이 주로 사 용되었다. 특히, 조명들이 직접 노출되어 사용되기보다는 광원을 드러내지 않고 간접적으로 사용하는 공간이 많았다. 자연조명은 공간에서 나타내고 싶은 요소를 강조하고 싶을 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색채‘는 세 영화 모두 공통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미래사회에서 다양한 정보 전달을 위한 기능을 하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정보나 데이터를 강조하기 위해서 배경이 되는 색채를 복잡하지 않은 저채도의 단색을 많이 사용 하고 있다.

이상의 결론을 통해 서사이론을 통한 SF 영화의 분석은 영화의 의미 분석과 더불어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공간의 연출 경향을 파악할 수 있게 하였으며, 이 러한 연출 경향은 미래의 공간디자인을 위한 방법론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 다.

위의 연구를 진행하면서 미래지향적인 공간 연출을 위한 서사적 분석과 조형 적 형태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으며, 향후 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 성을 느끼게 되었다. 아울러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미래의 공간 디자인을 선도하는 후속 연구들이 계속 이루어지길 희망한다.

【참고문헌】

1. 국내·외 단행본

김남효 저(2004). 『실내건축 디자인 총론』, 서우

박진배(2001). 『영화 디자인으로 보기 1』, 디자인하우스 박진배(2003). 『영화 디자인으로 보기 2』, 디자인하우스 조재현 저(2009). 『공간에게 말을 걸다』, 멘토프레스 최산호 저(2005). 『실내건축조명』, 기문당

한용환(2002). 『서사이론과 그 쟁점들』, 문예출판사

EDWARD T.WHITE 저, 조철희 역(2014). 『건축개념과 형태어휘』, 시공문화사 Maurice Merleau-Ponty 저, 서우석·임양혁 역(1992).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 디자인하우스 Mieke Bal 저, 성충훈 역(1997). 『소설이란 무엇인가』, 울산대학교출판부

Mieke Bal 저, 한용환 역(1999). 『서사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Pile, John F. 저(2002). 『Interior Design』, Harry N. Abrams Rudolf Arnheim 저, 김춘일 역(2003). 『미술과 시지각』, 미진사 S. Chatman 저, 한용환 역(2003). 『이야기와 담론』, 푸른사상 TERENCE HAWKG 저(1986). 『은유』, 서울대학교출판부

Vivian Sobchack 저(1997). 『Screening Space: The American Science Fiction Film』, RutgersUniversityPress

2. 학위논문

강승완(2010). 「복합상업공간의 서사적 테마성 분석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강혁진(2002). 「서사이론을 통한 건축디자인 접근에 관한 연구

: 서사이론에서 나타나는 시간과 공간의 표현체계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학수(2011). 「식음공간의 조명 연출 기법을 통한 공간 표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백은진(2003). 「현대패션에 나타난 로맨틱오리엔탈리즘의 서사적 해석」,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손명환(2012). 「건축가의 빛의 특성을 적용한 식음공간 조명디자인에 관한 연구 : 천장, 벽, 바닥, 외피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상명(2009). 「한국팩션영화 공간의 구조주의적 의미 연구」,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엄희란(2006). 「현대 상업공간에서 재료와 공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나라(2008). 「장이모우 영화에서 나타나는 상징적 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민아(2008). 「화장품 전문점의 색채연출에 관한 연구

: 공간 연출요소로서 벽의 시각적 기능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은화(1998). 「개구부의 환경심리적 요소를 적용한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정신건강센터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건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희나(2010). 「브랜드 커피 전문점의 공간디자인 구성요소와 마케팅과의 관계분석 연구」,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원종(2015). 「디스토피아적 장르 SF영화에 나타난 공간 연출 표현특성에 관한 연 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철우(1996). 「국내 레스토랑 실내마감재의 사용현황과 색채표현 분석에 관한 연구 : 1980년 이후 서울지역 서양식레스토랑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현창용(2010). 「건축공간의 은유적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 카즈요 세지마의 작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연속간행물

김광현, 건축사 8908

김기우(2001). 「세 가지 범주로 서사 구조 이론의 새 가능성 제시 : 미케 발의 『서사란 무엇인가』」,

한국서사학회

박길룡(1990). 「건축의 재료 조형」, 월간플러스

서정연(2012). 「실내디자인에서 Object의 비일상성 연구 : Nigel Coates의 초기 상업공간작품을 중심으로」, 한국가구학회지

최병근(2010). 「SF장르에서 공간 표현의 새로운 가능성 : <디스트릭트 9을 중심으로>」, 한국영화학회

5. 웹사이트

http://kircher.stanford.edu/

http://koreancontent.kr/97

https://steemit.com/kr-newbie/@baekfilms/79y3qd

국문초록

본 논문은 SF영화 속에 나타나는 공간을 서사적 구성으로 이해하고 SF영 화에 구현된 공간의 특성을 서사적 요소에 따라 도출하고 공간에 담긴 서사 적 의미를 파악한 후 이러한 의미가 SF 영화 속에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영화공간은 다른 예술 작품보다 시간과 공간의 표현을 훨씬 더 직접적으 로 전달할 수 있으며 다양한 공간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체험 감도를 높일 수 있는 매체이다. SF영화는 시간과 공간을 직접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면서 미래 에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이미지를 강한 시각효과로 전달하는 영화장르이 다.

SF영화의 공간구성과 표현방식을 서사적 틀을 가지고 분석하는 것이 의미 를 가지는 이유는 영화의 뼈대는 서사적 구조이며 이를 통해 관객들에게 스 토리를 더 잘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사이론을 통해 SF공간의 분석틀을 도출하고 도출된 분 석틀을 가지고 공간의 의미를 파악하고 서사적 의미가 공간에 표현되는 방식 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교적 최근에 개봉된 SF영화 세 편을 선정 하고 서사분석 틀을 사용해 의미 있는 장면을 선정하고 장면 구성을 위한 공 간 연출 방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서사적 구성요소를 미케 발의 삼원론적 구조주의 서 사이론을 통해 SF 영화공간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는 인식 틀의 가능성을 탐 색할 수 있었다. 둘째, 서사이론을 바탕으로 세 편의 SF영화를 분석하여 공간 연출 전략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론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서사이론을 통한 SF영화공 간에 나타난 서사구조와 공간 연출 전략 분석은 미래의 공간디자인을 위한 방법론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성공적으로 미래지향적인 공간을 연출 하기 위해서는,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공간 디자인의 흐름 속에서 앞서 열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