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상의 연구결과 및 결론을 토대로 추후 개발되는 교과서 및 교사용지도서의 개발 방향 수립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의 수업목표는 학교급과 상 관없이 지식 차원은 사실적 지식과 개념적 지식, 인지과정 차원으로는 ‘이해하 다’와 ‘기억하다’에 편중되어 있는데 대안교육과정으로써 기본교육과정을 적용 해야 하는 중도․중복 장애 학생들 측면에서 본다면 바람직할 수도 있으나 다양 한 사고의 획득을 위해 학생들의 발달 수준과 학교급을 고려하여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의 수업목표를 다양하고 적절하게 분배해야 하는 후속 연구가 필 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의 수업목표를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분석한 연구이다. 후속연구로 평가의

기준이 되는 성취 기준을 동일한 도구로 분석하여 수업목표와 성취기준 간에 일치성이 어느 정도 되는지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의 수업목표를 분석한 연구들이 많 지 않다. 다른 교과목들의 수업목표를 분석하여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의 수업 목표들의 진술경향을 알아보는 연구도 필요하다.

넷째,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와 2015 개정 공통교육과정 사회과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를 해 볼 필요가 있다.

다섯째, 2015개정 교육과정은 2017년에 초등학교 1학년부터 적용되어 2020 년에는 전 학년에 적용이 되었다. 이에 사회과 교사용지도서의 내용과 활용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해 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참 고 문 헌

교육부 (2015a).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7).호 [별책 교육부 (2015b).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81

호(별책1).

교육부 (2015c).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해설서.

교육부 (2015d).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길라잡이.

교육부 (2015e).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81호(별책3).

교육부 (2018a). 중학교 사회 ㉮ 교사용 지도서. 서울: 미래엔.

교육부 (2018b). 고등학교 사회 ㉮ 교사용 지도서. 서울: 미래엔.

교육부 (2018c). 초등학교 3-4학년군 사회 ㉮ 교사용 지도서. 서울: 미래엔.

교육부 (2018d). 초등학교 3-4학년군 사회 ㉯ 교사용 지도서. 서울: 미래엔.

교육부 (2019a). 초등학교 5-6학년군 사회 ㉮ 교사용 지도서. 서울: 미래엔.

교육부 (2019b). 초등학교 5-6학년군 사회 ㉯ 교사용 지도서. 서울: 미래엔.

국립특수교육원 (2015).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기본교육과정 해설자료.

강현석, 정재임, 최윤경 (2005a).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 탐구: 일선 교사들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 53(1), 51-84.

강현석, 강이철, 권대훈, 박영무, 이원희, 조영남, 주동범, 최호성 공역 (2005b).

신교육목표 분류학의 설계.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강현석, 강이철, 권대훈, 박영무 공역 (2005c). 교육과정 수업평가를 위한 새로 운 분류학:Bloom의 교육목표 분류학의 개정.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권요한, 김수진, 김요섭, 박중휘, 이상훈, 이순복, 정은희, 정진자, 정희섭 공저 (2010). 특수교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김명옥, 강현석 (2012).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저학 년 국어과 수업 목표분석. 교육과정, 30(1), 27-58.

김수화, 박병도 (2017).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초등학교 체육과 수업 목표 분 석-Bloom의 개정된 교육목표 분류학을 중심으로.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5(1), 95-108.

김영신, 이혜숙, 신애경 (2007).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과학과 수업목표분석. 초등과학교육, 26(5), 570-579.

김지아 (2016).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의 인권에 나타난 인권교육 내용. 조선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진희 (2013).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한 고등학교 문법 수업목표

분석. 중등교육연구, 61(4), 987-1013.

도성화 (2014). 2011년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중학교 ‘진로와 직업’교과 서 수업목표 분석-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를 중심으로. 특수교육 저 널: 이론과 실천, 15(3), 471-492.

박기범 (2016).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사회과 성취기준 분석 -2015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한국 초등교육, 27(4), 135-152.

박남수 (2007). 특수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의 적절성 탐색-사회과 기본교유과정을 중심으로. 사회과 교육연구, 14(3), 53-72.

박남수 (2017).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초등사회과의 성취기준과 교사용 지도 서의 단원목표 분석.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18(4), 183-201.

박남수 (2018).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에서의 시민성 교육 : 2015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를 중심으로.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19(2), 209-233.

백정애 (2012).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초등 사회교과의 내용체계 분석. 경상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손수경 (2010). 2008 개정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환경교육관련 교육내용 분 석 : 사회, 과학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송민정 (2012). 2011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초․중학교 사회과 성취기준의 적 절성 분석.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신진걸, 조철기 (2008).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한 지리수업목표의 진술과 평가의 실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6(2), 129-144.

심혜령, 최상배 (2018). 특수교육 교육과정 사회과 변천과정 연구 : 구성방식과 핵심요소를 중심으로. 특수교육 교과교육연구, 11(4), 1-21.

안상현 (2019).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성취기준 분석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중심으로.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 논문.

오성환, 송현순 (2013).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학에 근거한 실과 교과의 인 지적 목표 분석. 실과교육연구, 19(2), 1-12.

옥수관, 김자경, 장성욱 (2016). 2011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중․고등학교 사 회과 역사영역에 대한 특수교사의 지도 경험과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 장애교육학회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9(3), 163-183.

우이구, 김규일, 김선희, 김정연, 박경옥, 윤광보, 이영숙, 이인, 전병운 (2014). 2015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개정 연구. 충남: 국립특수교 육원.

우지영 (2011). 2008 개정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교사용지도서 영역 별 교수․학습 방법 분석.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원민정 (2003). 교사용 지도서 활용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위대현 (2019).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초등사회과 수업목표 분 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육경민, 조현주 (2011).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서 수 업목표 분석. 중등 교육연구, 59(4), 913-938.

윤인재 (2013).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와 공통교육과정 사회과의 연계성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명숙, 김명희, 전병운 (2015). 2011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수업목표 분석-Bloom의 개정된 교육목표 분류학을 중심으로. 특수교육 저널: 이 론과 실천, 16(1), 237-260.

이민아 (2016).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화학Ⅰ 교과서 수업목표와 평가문 항의 일치성 분석.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병기 (2010). 교육목표분류학에 의한 정보활용 과정모형의 재구조화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41(2), 107-126.

이혜숙 (2007).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생물영역의 수업목표 분 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장연주 (2011). 초등 사회과 수업목표 분석-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근 거하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전재원 (2019).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지리 영역 성취기준분석: Bloom 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19(1), 1061-1082.

전재원, 남상준 (2018)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초등 환경 교재 의 수업목표 분류 및 분석 연구. 환경교육, 31(3), 259-273.

정진홍 (2012). 특수학교 교사의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교과서의 활용에 대한 인 식.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정연 (2019) 초등 사회과 성취기준과 수업목표의 정합성 분석-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하소현, 곽대오 (2008).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학에 의한 초등 과학 영재교 육 자료의 수업목표 사례. 영재교육연구, 18(3), 591-612

한경근, 송만호 (2012).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사회과 교수․학습 방법 분석. 지 적장애연구, 14(1), 1-22.

한춘희, 조의호 (2019). 초등 사회과 지도서에 대한 현장 교사 인식 및 개선 방안. 사회과수업 연구, 7(1), 29-48.

한혜수, 전병운 (2017). 2011과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 비교.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논집, 22(1), 73-95.

Furst, E. J. (1994). Bloom's taxonomy: philosophical and educational issues. In L. W. Anderson & L. A. Sosniak (Eds.), Bloom's Taxonomy: A Forty-year Retrospective: Ninety-third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pp.28-40).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Krathwohl, D. R. (2002). A Revision Bloom’s Taxonomy: An Overview.

Theory into Practice, 41(4), 212-218.

기본교육과정 초등 3-4학년군 사회과 수업목표

책별 영역 수업목표 결과

나의 삶

손발을 씻는 이유와 씻어야 하는 상황을 안다. A2

손발을 씻는 순서와 방법을 안다. C1

얼굴을 깨끗이 해야 하는 이유를 안다. B2

이를 닦아야 하는 이유를 안다. B2

이를 바르게 닦는 방법을 안다. A1

목욕을 해야 하는 이유를 안다. B2

목욕하는 장소와 목욕을 올바르게 하는 방법을 안다. A1

목욕할 때 지켜야 할 일을 안다. A1

화장실을 이용하는 모습과 물건을 살펴본다. A1

여러 가지 화장실을 구별한다. A1

화장실에 가고 싶다는 표현의 필요성을 안다. A1

여러 가지 방법으로 화장실에 가고 싶다고 표현하다. A1

화장실을 이용하는 순서와 방법을 안다. C1

화장실 예절을 알고 바르게 이용한다. A1/A3

여러 가지 식사 도구를 안다. A1

음식에 알맞은 식사 도구를 안다. A1

식사하는 순서와 방법을 안다. C1

식사 예절을 알고 바르게 지킨다. A1

음식의 소중함을 알고 깨끗하게 먹는다. A1/A3

몸을 건강하게 해 주는 음식을 안다. A1

건강한 식습관을 알고 실천한다. A1/A2

상의를 바르게 입어야 하는 이유를 안다. B2

다양한 상의를 바르게 입고 벗는 방법을 안다. A1

놀이를 하며 다양한 상의를 입고 벗는다. B2

하의를 바르게 입어야 하는 이유를 안다. B2

다양한 하의를 바르게 입고 벗는 방법을 안다. A1

다양한 하의를 입고 벗는 놀이를 한다. B2

양말과 신발의 종류를 안다. A1

양말과 신발을 신고 벗는 방법을 안다. A1

놀이를 하며 다양한 양말과 신발을 신고 벗는다. B2

<부 록>

수업목표 분석지

기본교육과정 초등 3-4학년군 사회과 수업목표

책별 영역 수업목표 결과

관계의

우리 반 친구의 이름과 모습을 안다. A1

친구가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을 안다. A1

내 친구를 소개한다. A1

친구와 함께할 수 있는 일을 안다. A2

친구와 함께 교실을 청소한다. A3

친구와 함께 여러 가지 놀이를 한다. A1

친구 사이에 해야 할 바른 말과 행동을 실천한다. A2

친구와 도움을 주고받으며 고마운 마음을 표현하다. A2

가족의 구성원을 안다. A1

다양한 가족의 모습을 안다. B2

우리 가족이 하는 일을 안다. A1

가족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실천한다. A2

가족 간에 지켜야 할 예절을 안다. A1

가족에게 예절 바른 행동을 실천한다. B2

가족이 있어 좋은 점은 안다. A1

서로 돕는 가족의 모습을 안다. A2

가족에게 고마움을 표현한다. A3

인사의 필요성과 예절을 안다. B2

친구와 어른에게 인사를 한다. A1

대상에 알맞은 인사를 한다. A1

집에서 알맞은 인사말을 한다. A1

학교에서 알맞은 인사말을 한다. A1

장소에 알맞은 인사말을 한다. A1

말을 할 때와 들을 때의 예절을 안다. C1

친구와 바르게 대화한다. A1

어른과 바르게 대화한다. A1

역할놀이를 하며 바른 대화를 한다. A1

기본교육과정 초등 3-4학년군 사회과 수업목표

책별 영역 수업목표 결과

시민의

여러 이웃의 모습을 안다. A1

이웃 사이에 지켜야 할 예절을 안다. B2

이웃이 함께하는 모습을 안다. A2

나의 이웃을 소개한다. A1

건강을 지켜 주는 이웃의 모습과 하는 일을 안다. A2

놀이를 하며 건강을 지켜 주는 이웃이 하는 일을 경험한다. A1 안전을 지켜 주는 이웃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을 안다. A2

안전을 지켜 주는 이웃이 하는 일을 안다. A2

안전을 지켜 주는 이웃이 하는 일을 경험한다. A1

안전을 지켜 주는 이웃에게 고마운 마음을 표현한다. A3

기본교육과정 초등 3-4학년군 사회과 수업목표

책별 영역 수업목표 결과

나의

내가 좋아하는 물건을 스스로 선택한다. A1

내가 좋아하는 음식을 스스로 선택한다. A1

내가 좋아하는 동물과 꽃을 스스로 선택한다. A1

가정에서 필요한 물건을 스스로 선택한다. B1

수업 시간에 필요한 준비물을 스스로 선택한다. B1

계절과 상황에 필요한 옷차림을 스스로 선택한다. A1

내가 하고 싶은 실내 활동을 스스로 선택한다. A1

내가 하고 싶은 실외 활동을 스스로 선택한다. A1

내가 하고 싶은 역할 활동을 스스로 선택한다. A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