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장희나, 브랜드 커피 전문점의 공간디자인 구성요소와 마케팅과의 관계분석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p.52

제1절 영화의 공간 구성요소

34) 장희나, 브랜드 커피 전문점의 공간디자인 구성요소와 마케팅과의 관계분석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p.52

바닥의 넓이, 높낮이에 따라 만들어지는 공간의 성격이 달라지며, 바닥과 바닥 의 높이 차이가 커질수록 경계는 강해지고, 영역의 차별성이 커진다. 바닥이 높 아질수록 수평면 위의 영역은 우월성과 지배감이 커지며 그 주위와 위계질서가 생겨난다. 높아진 바닥은 위에서 끌어올리거나 아래에서 받쳐 올린 것을 연상시 켜, 종교적이거나 정치적인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위로 올라간다는 것은 성장, 발전 등을 의미하며 위에 있는 영역은 높은 지위나 힘을 상징할 수 있다. 즉, 높 은 위치의 바닥을 올려본다는 것은 그런 것들을 우러러보는 것이다. 반면, 상대 적으로 아래에 있는 바닥 또한 주위로부터 구별된 영역이 되지만, 상대적으로 하 위 영역이 된다. 기준이 되는 바닥보다 낮은 영역은 땅속, 휴식, 정체, 죽음 등을 상징할 수 있다.

아래의 <표 3-3>은 앞서 이야기한 바닥의 상대적인 높이에 따른 영향 및 효과 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유 형 영향 및 효과

높은 위치의 바닥 영역 우월성, 지배감, 성장, 발전, 등

낮은 위치의 바닥 영역 정체, 휴식, 죽음 등

<표 3-3 > 바닥의 상대적인 높이에 따른 영향 및 효과

그림 3-1 영화 야연의 장면속 공간 그림 3-2 영화 야연의 장면속 공간이미지

위의 이미지는 <그림 3-1>, <그림 3-2>는 펑샤오강 감독의 영화 ‘야연(The Night Banquet, 2006)‘의 한 장면과 해당 공간 이미지이다. 큰 공간의 중앙에 자

리한 빨간색의 높은 바닥과 네 개의 조명이 큰 공간 속에서 중심적인 영역을 구 축하고 있다. 네 개의 낮은 조명으로 영역을 만듦으로써, 무대 위의 사람들을

<그림 3-2>와 같은 큰 공간에서도 덜 왜소해 보이게 하고, 무대가 꽉 차 보이게 하여 등장인물을 보다 더욱 강조하는 기능을 한다.35)

2)

벽은 실내공간을 에워싸는 수직적인 요소로써 바닥과 함께 공간의 형태와 크 기를 결정하며 공간과 공간을 구분하는 기능을 한다.

벽은 공간의 대상에게서 가장 먼저 지각될 뿐만 아니라, 공간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 중에서도 많은 면적을 차지한다. 따라서, 벽의 재료, 패턴, 색채 등은 공 간의 분위기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사용된다. 또한, 벽은 그 높이에 따 라 시각적 특성을 달리하여 벽의 높이는 행위의 유형에 따라서 시각적 개방, 시 각적 차단, 상징적 경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벽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공 간의 용도와 목적에 따라 심리적인 면을 충분히 고려하여 결정한다.36)

또한, 벽은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벽의 변형은 공간의 의미를 더욱 부각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에 의한 벽의 특성은 다음 <표 3-4>와 같다.

벽의 형태 형태 의미

직선의 벽

대지와 밀착되어 안정된 수평성 하늘로 향하는 상승된 수직성 속도감과 방향성의 사선 곡면의 벽 연속된 곡면을 통하여 공간의

유연성과 운동감을 표현 오목한 벽 공간의 내부 지향성 볼록한 벽 공간의 외부 지향성 기울어진 벽 벽의 오브제화

박선라, 공간구축요소로서 벽의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p.18 참조

<표 3-4> 형태에 의한 벽의 의미

35) 조재현 저, 『공간에게 말을 걸다』, 멘토프레스, 2009, pp.73-74

36) 김남효 저, 『실내건축 디자인 총론』, 서우, 2004, p.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