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장소에서 공간으로의 공간적 해석

제2절 서사이론의 영화공간적 해석

3) 장소에서 공간으로의 공간적 해석

술품의 설치, 공간에 건축적 설물 구성, 벽체를 사선으로 구축하는 방법 등을 통 해 시선을 강조하기도 한다. 또한 빛을 공간에 강조하는 공간 구성 기법들을 사 용함으로써 주목성이 표현되기도 한다. 아울러 건물 표면의 색채의 강조와 같은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조형물이나 건축적 설치물에 의한 시선의 강조

빛의 공간적 기법을 이용한

긴장감 유도와 시선 강조 색채를 통한 주목성 강조

반지의 제왕(2002), 피터 잭슨 반지의 제왕(2002), 피터 잭슨 명장(2002), 장이모

<표 3-15> 주목의 공간적 표현

④ 휴지의 공간적 표현

‘휴지’는 생략에 해당되는 요소이며, 리듬과 반복이 생략되어 정지와 휴식의 기 능을 나타낸다. 공간 구성 기법으로서 중심성의 강조로 공간을 경험하는 관객들 에게 시지각의 이동의 흐름을 잠시 멈추게 하거나, 고조된 긴장의 완화를 위한 적절한 배치 등으로 시지각의 이동을 잠시 정지하게 하여 관객들에게 편안함을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장면(scene)의 건물 외벽에 나타난 휴지의 표현 양상은 투 명성을 들 수 있다. 장면의 건물 주변으로 둘러싸여 있는 공간의 외벽을 채우지 않고 비워놓아 투명하게 함으로써 장면에서 일어나는 사건, 비일상적인 체험들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

소가 독특한 위치, 풍경, 커뮤니티보다는 특정한 환경에 대해 갖는 경험과 의지 에 의해 좌우되는 속성을 지님을 의미한다. 그는 장소 만들기(place making)를 ’ 세상을 질적으로 뚜렷한 중심으로 구별 짓고, 경험을 반영하며 이끌어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랄프는 장소의 시간적 의미와 관련해서 ‘장소는 과거의 체험과 현재의 사건, 그리고 미래의 희망의 현재적 재현’이라고 하였다.

서사 텍스트로서의 영화공간을 구성하는 성분인 장소의 표현 방법은 장소가 지니는 특성을 어떻게 해석하고 표현하는지의 문제로 귀결될 수 있다. 이것은 땅 의 해석 과정을 통해 의미를 회복하는 것과 건물을 통해 땅의 의미를 회복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전자를 ‘장소 드러내기(defining a place)'라 할 수 있으며, 후자는 ’장소 만들기(making a place, place making)'라고 할 수 있다.

① 장소 만들기(making a place, place making)

장소 만들기는 인간과 장소를 하나의 동일한 현상으로 보고 체험 주체로서의 인간과 그를 둘러싼 장소와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것이다. 즉, 영화공간에서의 사 건은 관객의 시지각적 경험을 통해 시간과 공간의 감각적이고 살아있는 상호작 용을 만들어 낸다.

영화의 공간에서 장소 만들기를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 에서는 세 가지 특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영화장면에서 자연과 인간의 유기적 관계에 초점을 두어 조성함으로써 장소화 시키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둘째, 대지와 공간의 상호 얽힘 속에서 생성되는 개념이 다시 시지각적이고 감 각적인 경험과 상호 얽힘의 관계를 통해 영화공간으로 구체화되는 방법이다. 빛, 색채, 물, 소리 등의 현상적 영역은 시지각적 현상의 상호 얽힘이며, 관객의 시지 각과 결합되어 현상적 공간으로 구체화되는 것이다.

셋째, 시지각적 체험을 통해 공간을 장소화하는 방법이다. 장면(scene)은 다양 한 사건이 일어나는 공간이다. 장면에서 사건의 체험은 시지각적 경험과 상호 얽 히면서 현상학적 공간을 연출함으로써 장소성이 강화되고 있다.

유기적 특성 현상학적 특성 체험적 공간 자연적 요소를 도입한

유기적 공간 공간의 현상학적 상호 얽힘 표현 공간에서 특정한 사건의 발생

반지의 제왕(2001), 피터 잭슨 영웅(2002), 장이모 미션(1986), 롤랑 조페

<표 3-16> 장소 만들기 표현 방법

② 장소 드러내기(규칙 발견/의미 해석하기)

장소성 표현은 장소 안에 내재되어 있는 요소와 규칙들을 발견해내고 이를 영화공 간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 장소의 자연적 · 역사적 · 문화적 환경이 가지는 특수성이 표출될 수 있는 모든 것이 장소성의 표현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영화공간에서 장소 드러내기를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있을 수 있지만, 본 연구 에서는 두 가지 방법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자연지형과 경관의 연속성을 통한 장소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것은 대 지나 경관의 자연이 지니는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는 방법이다.

둘째, 장소의 인문적 해석을 통해 장소의 역사와 사건들을 은유화함으로써 장 소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물리적(자연적) 특성 역사적 의미 문화적 의미

자연지형 및 경관의 연속성 역사적 기억을 재현 지역적 전통문화의 특성

아바타(2009), 제임스 카메론 레미제라블(2012), 톰 후퍼 글레디에이터(2000), 리들리 스콧

<표 3-17> 장소의 규칙이나 의미를 통한 장소 드러내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