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일본의 텃밭농원 보급사례

3.1. 도시농업 진흥방향

○ 일본의 도시농업에 대한 관심은 두 가지 방향으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생업 농업을 보전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시민농원, 즉 텃밭농원에 대해 시민 들이 용이하게 접근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정책과제를 현재 검토 중에 있다.5

○ 생업농업의 보전을 위해서는 도시농지의 보전과 직결되는 문제이다. 농지를 농지로서 보전하되, 상속 등으로 세분화되지 않도록 장기적으로 보전하는 것을 전제로 농업경영의 유지를 보장하는 것이 과제이다.

5 농림수산성은 ‘도시농업진흥검토회’를 설치하여 도시농업을 보전하고 지속가능한 진 흥을 도모하는 과제를 검토하고 있음. 긴급하게 착수해야 할 정책과제로 ① 도시농 업과 도시농지에 대한 국민적인 이해 증진, ② 지자체의 도시농업에 대한 역할이나 활용 등에 관한 기본방침 제시 등이 있음. 이를 위해 ‘도시농업진흥기본법’의 제정을 제안하고 있음(농림수산성. 2012.8).

○ 텃밭농원에 대해서는 이용자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어떻게 늘려나가느냐와 시민들에게 이용의 편의를 제공하느냐가 과제이다. 현재는 지자체와 농협 등에 의한 텃밭농원 공급이 대부분이나 최근 일반 농가나 토지소유자에 의 한 공급이 확대되고 있다.

○ 특히 텃밭농원 보급에 대해서는 ‘(주) 마이팜’ 사례를 소개한다. 마이팜은 유휴농지를 직접 임차하여 텃밭농원으로 개설하여 이용자에게 임대를 하거 나 농지소유자가 개설하여 임대하는 것을 지원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농가 나 토지소유자가 주도하여 민간에 텃밭농원을 공급 사례로서 경영개요를 살펴본다.

3.2. 마이팜의 경영전략

3.2.1. 기업이념

○ 마이팜은 교토시에 소재하며, 도시근교 유휴농지를 채소밭으로 재생하여 시 민에게 공급하는 것을 주업무로 하고 있다. 대표는 니시츠지 가즈마(西辻 一真, 1982년생)이며, 2007년 9월, 25세 나이로 마이팜을 창업하였다.

○ 기업의 이념은 ‘자산자소(自産自消)의 실현’과 ‘유휴농지의 재활용’에 두고 있다. 자산자소는 “자신이 생산하여 가족과 함께 먹는다”는 의미로서 농업 체험을 통하여 농업에 대한 지식, 자연의 순리, 농업인의 고충, 수확한 농산 물의 맛, 수확하기까지의 경험이나 노력, 인내심 등을 배운다는 취지이다.

유휴농지 해소는 일반 농업의 활성화에 기여한다. 그리고 양자를 추진하는 것은 식량자급률 향상에도 기여한다는 것을 기대한다.

3.2.2. 실현전략

○ ‘자산자소의 사회’를 실현하고 ‘유휴농지의 재활용’을 실현하기 위한 전략 은 현재 발생하는 유휴농지를 개간하여 취미농이나 주말농 등에게 공급하 는 것이다.

○ 유휴농지는 지방, 산간, 도시 등의 순으로 발생하고, 농업 희망자는 취미농, 주말농, 귀농인 등의 순이다. 양자간의 불균형은 있지만 이를 연결하여 자 산자소의 사회를 실현하고 유휴농지를 해소하게 되면 자급률이 향상되는 동시에 농업인력 부족문제도 해결된다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

그림 3-2. 마이팜 경영 개요

[본사] 교토 [지사] 도쿄 (주) 마이팜

ƒ 自産自消사회 구축

ƒ 유휴농지 재활용

ƒ 농업인력

ƒ 유휴농지

1단계(2008년) 체험농원개설사업

2단계(2010년) 농업아카데미사업

3단계(2012년) 귀농인력양성사업

식량자급률 1% 향상

미래 농업인력 육성

3.3. 3단계 사업전개

3.3.1. 사업전개 방향

○ 일본의 농업에 대한 관심은 도시에서 채소 등을 재배하는 취미농, 채소재배 등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 농업에 신규 취농하는 사람 등의 순으로 많다. 반 면에 유휴농지는 지방, 중산간지역, 도시지역 순으로 많이 분포한다. 마이팜 은 두 가지를 연결하는 사업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 구체적인 사업은 ① 1단계(2008년~) 체험농원사업, ② 2단계(2010년~) 농 업아카데미사업, ③ 3단계(2012년~) 귀농인력양성사업 등 3단계로 추진하 고 있다.

3.3.2. 3단계 사업

⑴ 1단계(2008년~):체험농원사업

○ 이 단계는 주로 30대의 자녀 키우는 세대를 대상으로 한 체험농원 사업이 다. 이 사업을 통하여 채소재배의 초심자도 작물을 재배하는 즐거움을 인식 하게 되고, 유휴농지에 관한 정보를 습득하게 된다.

○ 체험농원을 확대하는 것으로 ‘자신이 생산하여 자산이 소비하는’ 자산자소 는 어느 정도 가능하다. 문제는 유휴농지의 재활용에 있다. 전국 각지의 유 휴농지를 효율적으로 체험농원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 체험농원사업에 적합한 것은 도시지역 농지에 한정되어 있다. 우선 도시지 역에서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체험농원을 개설하여 임대하는 사업을 전개한다.

⑵ 2단계(2010년~):농업아카데미사업

○ 체험농원에서 채소재배의 재미를 가진 사람이나 취농을 희망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행하는 교육사업이다. 유기농업에 대해 보다 전문적인 교육을 담 당하는 전문학교를 상정한다.

○ 교육 장소는 반드시 도시지역으로 할 필요는 없다. 유휴농지를 활용할 수 있는 장소가 적합하다. 아카데미사업을 운영하는 가운데 귀농희망자의 니 즈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 개설 이유는 ① 농업을 경영하는 프로농가 육성, ② 귀농희망자의 고용창출 에 있다. 귀농자는 귀농이후 소득확보가 어려운 귀농 ‘1년째 벽’을 넘어야 한다. 이 기간 동안 수료자에게 코디나 강사 등 기회를 제공하여 소득을 보 장한다.

○ 취농지원을 위한 아카데미는 2가지 코스가 있다.

- 하나는 주말취농준비코스(반년과정)이다. 사회인에게 직업을 계속하면서 농업에 관한 학습기회 제공, 도전리스크에 대한 심리적인 부담을 낮추는 것이 목적이다. 현재 농업인에게 채소재배 등 고도의 기술습득을 희망하 는 자도 대상으로 한다. 강의내용은 토양개량, 퇴비만들기에서 수확까지 전과정을 실천하는 농장실습(3시간×12회)과 유기재배와 무농약재배의 차이, 작물의 병해충 종류, 농약 등에 대한 실내강의(3시간×12회) 등이 있다.

- 다른 하나는 유기프로농가양성코스(1년과정)이다. 유기프로농가로서 독 립하는 것이 목표이며, 관행농법이 가지는 문제(석유가격 상승에 따른 비료가격 고등, 수출제한, 소비자의 안전성 고조 등)를 공유한다. 전일제 로서, 1인당 50~100평 정도의 노지·시설을 할당하여 기술 체험을 제공 한다. 관수설비, 기계설비, 출하설비 등 재배계획 수립에서 생산·수확·판

매까지 전 과정을 실천하며, 농업경영을 비롯하여 농지법, 판매·마케팅 등 필요한 지식의 습득 기회를 제공한다.

⑶ 3단계(2012년~):귀농인력양성사업

○ 귀농 희망자를 대상으로 전문농업인을 육성하는 사업이다. 대상자는 농작물 재배는 물론, 체험농원 운영, 아카데미 강사 등 농업에 관한 다양한 업무로 서 유휴농지를 이용하는 사람을 상정한다.

○ 구체적으로는 취농을 희망하는 아카데미 수료생에게 지방의 유휴농지를 코 디네이트하여 그것을 사용하여 일자리를 만들어가는 것이다.

그림 3-3. 마이팜의 사업 전개방향

[농업인구] [유휴농지]

제1단계(2008) : 체험농원개설사업

ƒ [도시지역] × [소비자]

ƒ 유휴농지에 관한 정보수집

ƒ 미래의 농산물 소비자 확보 제2단계(2010) : 농업아카데미사업

ƒ [중산간지역] × [학교]

ƒ 미래의 농업인 양성 창구

ƒ 대규모 면적의 성공모델 개발 제3단계(2012) : 귀농인력양성사업

ƒ [지방] × [농업]

ƒ 미래의 농업인 양성

ƒ 유휴농지의 포괄적 해결 귀농인

주말농

취미농

지방

산간

도시

자료:西村一真. 2012.

3.4. 경영성과와 운영방식

○ 마이팜은 2010년 8월 현재 전국 50개소(50ha), 회원 2,500가구를 대상으로 유휴농지를 지주에게 운영위탁을 받아 채소생산을 희망하는 개인이나 기업 에게 소구획으로 임차하고 있다. 1구획(15㎡) 당 이용료는 5,250엔/월이다.

○ 텃밭농원은 향후 전국 1,000개소, 이용자 50,000가구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 를 통하여 자급률 1% 향상을 목표로 한다.

○ 텃밭농원의 운영방법으로 개설자(농지소유자)는 밭 관리(경운, 구획정리, 공 유지제초 등), 농기구·종자·모종 등 비치, 채소재배 지도, 기타 이용자의 니 즈에 대응하며, 이 중에서 스스로 하기 어려운 것은 마이팜에 위탁한다.

○ 마이팜은 지도원이라는 스탶을 두고, 주 수차례 농장을 방문하여 이용자를 지도한다. 지도원은 유기농업 등에 지식이 있는 자 등에게 자원봉사자로서 역할을 담당하거나 개설자가 겸직하는 경우와 채소재배의 경험이 있는 일 반인을 채용하는 경우 등이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