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관측에 위성영상 활용 기본방향

있음. 따라서 위성기술의 발전속도에 맞춰 적합한 활용효과 창출을 위해서 는 위성영상 판독·분석 시스템 구축, 다시점 영상DB의 축적,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

위성영상을 농업분야에 활용하고 있는 기관들은 독자적으로 연구를 수행하 고 있어 중복적인 연구를 수행 및 계획하는 경우도 있음. 위성활용의 효율성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해, 그리고 각 기관의 고유 업무 성격을 고려하여 농업 분야 위성활용 협의체 구축 등을 통해 관련 정보 및 인적 교류를 위한 네트 워크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4.2. 유관기관 네트워크 구축방향

최근 각 정부 부처에서 원격탐사를 활용한 경지면적 및 생산량 추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하는 추세이며,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유사한 방법론 을 바탕으로 연구가 진행 중임.

그러나 부처 간의 연계가 이루어 지지 않아 사용 자료 및 업무의 중복이 되 고 있음. 업무의 효율성 및 연구의 다양성 확보를 위해 유관기관과의 연계가 필요함. 관측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경지 혹은 토지의 피복을 판독 및 분류 하는 업무를 수행 및 추진 중에 있는 기관은 환경부, 농촌진흥청, 통계청, 한 국농촌경제연구원임.

그림 5-4. 유관 기관과의 연계

환경부에서 고해상도인 KOMPSAT-2(아리랑2호)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3차 년에 걸쳐 전 국토를 논, 밭, 하우스, 과수원, 기타로 분류하는 사업을 추진 중임. 기본경지에 대한 정보는 환경부 자료를 이용하는 방향이 효율적일 것 으로 판단됨.

기술응용 측면에서 현재 기술수준은 밭작물의 정확한 판독은 어렵지만 우주 개발계획에 따른 원활한 고해상도 영상수급 및 영상판독기술 개발에 따라 밭작물 판독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됨. 따라서 작물판독 기술기법 습득 및 기 술축적을 할 필요성이 있음.

통계청에서는 현 재배면적조사 기법을 보완하기 위해 위성영상을 이용한 면

6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선진국과 수산업 분야에 비해 실제적인 원격탐사 기술이 도입이 이루어지지 못한 농업관측 분야에 원격탐사 기술을 도입하기 위한 시범 연 구임.

농업관측 업무에 원격탐사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선행 연구를 통해 비교적 원격탐사 기술 적용이 용이한 것으로 파악된 벼 재배지역에 대해 위성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벼 재배면적을 산출하고자 하였음.

이를 위해 벼 재배면적이 넓은 당진군을 연구 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 무상 또는 저렴한 가격에 자료 확보가 가능한 아리랑 2호 위성영상을 사용하여 시범 연구를 추진하였음.

연구수행을 위해 항공우주연구원으로부터 보안지역처리가 완료된 1m 해상도 의 KOMSPAT-2 1R 자료를 입수하였고, 정사보정 처리를 위해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참조자료 및 DEM 자료를 구축하였음.

입수한 위성영상은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 포맷으로의 변환 및 데이터 융합, 보정 등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 후 기존에 구축한 참조자료와 DEM을 활용하

여 정사보정 과정을 수행하였음.

그러나, 고해상도 위성영상만을 활용하여 관측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영상 수급의 문제 및 고가의 처리비용 등으로 사전관측 및 예측 등의 업무를 수행 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됨.

이를 위해 향후에는 영상처리비용이 적고, Scene 당 활용 면적이 넓어 영상 수급이 비교적 용이한 중해상도 영상의 도입이 검토되어야 함.

다양한 중해상도 영상 도입으로 작물생육시기를 고려한 영상 획득 시기를 조절하고, 주산지 규모에 따른 해상도 선정으로 비용적인 측면에서의 고려 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관측 시기에 적합한 효율적인 영상 선정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물론, 중해상도 영상을 활용하는 경우 고해상도 영상을 활용하는 경우와 같 이 해상도 제약 등의 문제로 밭작물의 판독은 불가능함.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해외사례분석을 통해 유사한 연구를 시행하고 있는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 농업 현실에 맞는 분석 모형을 수립해야함.

본 연구를 시작으로 현재 농업관측센터에서 담당하고 있는 다른 관측품목에 도 원격탐사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기술적인 기반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동시에 우리나라 농업 현실에 적합한 위성영상 처리 기술과 판독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향후에는 원격탐사 기술을 통해 우리나라 전역에 대해 빠르고 정확한 농업관측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부록 1

현장조사 대장

부록 2

발사 일자 2006. 7

발사체 ROCKOT

발사 장소 러시아 플레세츠크 공군기지

고도 685 km

경사 98.1°

속도 4 mile / 7 km

적도 통과시간 10:50 AM

궤도 주기 98 분

중량 765 kg

본 등 위성 선진국만이 보유하고 있는 초정밀 카메라임. 2005년 7월 프랑스 스팟이미지(Spot Image)사와 체결한 3년간 최대 2,700만달러의 영상 판매 계 약에 따라 프랑스에도 제공됨.

<KOMPSAT-2 위성의 제원>

<KOMPSAT-2 위성>

센서 MSC (Multi-Spectral Camera)

MSC(Multi Spectral Camera)는 Electro-Optic System(EOS), Payload Management Unit(PMU), Payload Data Transmission Subsystem(PDTS)로 구성되어 있음.

PMU는 Single Board Computer(SBC), Thermal and Telemetry Module(THTM), Antenna Pointing and Driving Electronics Board(APED), Power Supply Model(PSM), Non-Uniformity Correction board (NUC)으로 구성되어 있음.

<KOMPSAT-2 위성의 센서 특성>

PDTS 는 Data Compression and Storage Unit(DCSU), Channel Coding Unit(CCU), QPSK Transmitter (QTX), Antenna Pointing Mechanism(APM), Antenna로 구성되어 있음.

참고 문헌

결과 보고서

환경부. 2002. 인공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지도 구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Definiens Developer 7 User Guide, Definiens Understanding Images

DPRK Bulletins

EC-JRC. IPSC Institute. Agriculture Unit. 2008. FOODSEC action. Italy Ftp://mars.jrc.ec.europa.eu/bulletin

http://www.dangjin.go.kr

ISR_Using_Remote_Sensing_Agristats

Jensen J.R.. 2005. “원격탐사와 디지털 영상처리”. 시그마프레스 LUCAS_2006_ICAS

등 록 제6-0007호(1979. 5. 25) 인 쇄 2010. 1.

발 행 2010. 1.

발행인 오 세 익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0-710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동 4-102 02-3299-4000 http://www.krei.re.kr 인 쇄 크리커뮤니케이션

02-2273-1775 cree1775@hanmail.net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공식 견해와 반드시 일치하 는 것은 아닙니다.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