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완주군의 특성과 지역공동체의 당면과제

2.1. 완주군은? 2.2. 완주 지역공동체의 당면과제 3. 완주군의 농업․농촌 활성화 전략

3.1. 농업농촌발전 중장기 전략

3.2. 커뮤니티비즈니스 방식에 의한 지역재생 4. 추진조직 정비 및 주체역량의 강화

4.1. 중간지원조직의 육성 4.2. 행정조직의 합리적인 재편 4.3. 읍‧면 장기발전계획의 수립

5. 커뮤니티비즈니스 추진사례

5.1. 완주형 커뮤니티비즈니스 육성 5.2. 두레농장 5.3. 로컬푸드

6. 기대효과 및 성과

6.1. 기대효과 6.2. 성과 7. 나가며

7.1. 통합적인 지역경영을 위한 필요충분조건 4가지

7.2. 주민커뮤니티가 주도하는 공동체사업 활성화가 지역발전의 요체

강평석 (전북 완주군청 농촌활력과)

1. 들어가며

통합적인 지역경영과 커뮤니티비즈니스(Community Business) 방식

○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을 담보하자면 두 가지 과제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 하 나는 통합적인 지역경영전략을 세워 현장에 적용하는 것이다. 통합적이라 함은 지역발전의 요체를 찾아 만드는 일이자, 지역주민의 삶의 질이 높아질 수 있는 종합적인 정책과 예산, 실행프로세스를 만드는 일이다.

○ 다른 하나는 주민 스스로 지역을 바꾸어 나갈 수 있는 안목과 역량을 키우 는 문제다. 다시 말해 전방위적인 커뮤니티비즈니스(Community Business) 방 식의 적용과 실현이다.

○ 우리가 커뮤니티비즈니스에 주목하는 것은 이것이 갈수록 황폐해져가는 농 촌지역을 살릴 수 있는 실질적이고 건강한 대안이기 때문이다. 갈수록 지역 에 투입되는 돈은 줄고, 그나마 지역이 어렵게 확보한 부가가치조차 타 지 역, 대도시로 빠져나가는 현실에서 지역 스스로 경제를 순환시키며 새로운 발전 동력을 찾는 커뮤니티비즈니스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론이다.

지역 활성화의 화두,‘소득’,‘일자리’,‘공동체’

○ 완주군은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다양한 실험적 실천을 진행 중이다.

○ 정책과 예산을 새로운 관점에서 수립하고, 민관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중간 지원조직을 육성하는 한편, 읍‧면단위 중장기발전계획 수립을 리더와 주민 스스로 만드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오늘 우리가 고민하는 지역발전의 세 가지 화두는 ‘소득’, ‘일자리’, ‘공동 체’이다.

○ 이 글에서는 완주군이 이 세 가지 화두로 풀어가는 농촌활성화 프로그램과 계획을 소개하고자 한다. 새로운 관점으로 지역을 바라보고 주민의 힘으로 지역을 재생시키는 노력들이 널리 퍼져나가길 기대한다.

2. 완주군의 특성과 지역공동체의 당면과제

2.1. 완주군은?

2.1.1. 인구 8만 5천의 도농복합도시

○ 65만 명 인구를 가진 전주의 배후도시/ 예산 연 5천억 원, 재정자립도 23.5%

○ 전북 지역 중 인구 증가 지자체 ('06년 말 83,199명→ '10년 10월 85,119명)

2.1.2. 노령산맥과 호남평야 접경, 만경강 발원 청정지역

○ 만경강 상류에 위치하고, 산, 계곡, 하천, 평야가 다양하게 분포

○ 대둔산, 모악산, 대아저수지, 대아수목원, 고산휴양림

○ 만경강 발원지 생태관광자원화 : 무궁화테마식물원, 다목적캠핑장, 만경강 생태문화탐방로, 생태숲, 자생식물단지조성 등 11개 사업 370억원 규모 투자

2.1.3. 산업단지 및 미래 신산업인 첨단소재산업의 발달

○ 완주산업단지 : 자동차, 기계, 전기전자, 화학, 영상통신장비 등 77개 기업

○ 전북과학산업단지 : 신재생에너지, 전자 및 기계부품, 바이오 관련 200여 개 기업

○ 테크노밸리산업단지 조성 : 40만평 조성(1,500억원, ’08년~’12년)

○ 미래 신성장동력산업 유치/조성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전북분원 조성

­ 고온플라즈마 응용연구센터 조성

※ 지역 총생산액 : 2조 6,585억원 (전라북도의 17%)

2.2. 완주 지역공동체의 당면과제

2.2.1. 지속가능한 농업환경을 어떻게 만들어 갈 것인가?

○ 완주군 지역농업 현황은 농가호수 1만(3만여 명), 전업농 58.4%, 1ha미만 농 가 63.6%, 친환경 면적과 규모는 592ha(752호), 다품목 소량생산구조가 기본

○ 다품목 소량생산의 특징을 살린 지속가능한 농업환경 조성

2.2.2. 농산촌지역의 인구감소 및 고령화(활력 저하),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15,136명으로 전체 인구수 대비 18%

○ 농산촌지역의 급속한 인구감소(경천면 476세대 1,027명/ 동상면 555세대 1,184명)

○ 지역 내 귀농‧귀촌인구 유치 및 인구감소지역의 사회적서비스 필요성 증대

○ 인구는 2007년을 기점으로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있음

구분 2005. 12 2006. 12 2007. 12 2008. 11 2010. 12

인구수(명) 84,561 83,199 82,972 83,851 85,119

○ 고령화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읍‧면별 편차가 심함.

구분 2005. 12 2006. 12 2007. 12 2008. 11 2010. 12 고령화비율(%) 15.82 16.37 17.67 17.83 18.11

※ 우리나라 고령화 비율 : 11% (2010. 7월)

○ 주민이 수립하고, 주민의 힘으로 완성해가는 지역발전계획 수립

○ 읍‧면단위 종합발전을 기초로 군 정책과 예산 수립 (포괄보조금 제도 활용)

2.2.4. 산적해 있는 농촌 및 지역공동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 지역커뮤니티의 육성 - 일자리 발굴 - 공동체보육프로그램 - 사회적 기업

○ 특히 교육, 복지, 문화, 보건, 경관 등 다양한 분야의 과제 해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