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오리산업의 문제점

문서에서 오리산업 현황과 관측기법 연구 (페이지 34-41)

6.1. 생산단계

6.1.1. 국내 원종오리(GPS) 미보유

○ HPAI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종오리 수출국에서 질병이 발생할 경 우 수출이 중단되어 국내 오리고기 수급에 큰 차질이 예상된다6.

6.1.2. 생산농가 관리 미비

○ 국내에서 3차에 걸쳐 발생한 HPAI는 닭 농장은 물론이고 오리 농장에서도 발생하였다. 오리 산업에 종사하는 농가들은 육계보다 규모화가 덜 진전되 어 있고 사육시설이 영세한 농가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농가 관리가 상대적 으로 취약한 편이다.

6.2. 유통 및 소비단계

6.2.1. 오리고기 소비의 외식 편중 심화

○ 오리고기 유통경로를 살펴보면 소매단계에서는 가든, 오리 전문점의 소비가

5 우병준 외, 「오리, 꿀벌, 산양, 사슴 산업의 현황과 발전 방안」, 2008을 중심으로 인 용·보완함.

6 실제로 2005년 유럽 전역에 HPAI가 발생하면서 우리나라에 산란 종계(PS) 수입이 예정보다 지연된 사례가 있음.

전체의 88%를 차지하여 소비의 외식편중 현상이 심하다7. 이와 같이 가정

지수 54.3 55.8 74.0 88.2 106.4 122.8 130.8 121.6 119.2 105.0 101.2 120.6 100.0

비고 초복

6.3. 오리 관련 통계 부족

○ 오리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였으나 관련 통계가 부족한 실정이다. 사육마 리수와 생산량은 농림수산식품부에서 발표되고 있으나, 주기가 1년 단위로 공표되어 적시에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 외의 자료들은 한국오리 협회에서 발표하고 있지만, 수집기간이 짧거나 불확실한 자료가 다수이다.

특히, 배합사료 생산량 자료는 품목별 정의가 확실하지 않아 오리 농가조차 도 혼돈을 겪고 있다.

○ 오리 사육마리수 및 농가수는 농림수산식품부에서「기타가축통계」를 통 해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각 연도의 12월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 계절성을 고려한 사육규모를 파악하기 힘들며, 그 또한 2년 늦게 발표되고 있어 활용 측면에서 제약이 크다.

○ 한국오리협회를 통해 F1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F1 부화가 금지 되는 축산법의 시행으로 농가들이 F1 사육규모에 대한 공개를 꺼려하고 있 어 조사 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전체 종오리수와 생산될 오리의 정확한 전망이 어렵다.

○ 국내 오리고기 총공급량을 알기 위해서는 생산량, 수입, 재고량에 대한 파악 이 필요하나 재고량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국내 총공급량을 예측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정확한 공급량 파악을 위해 계열업체 등 오리산 업에 종사하는 업체들을 대상으로 재고량 조사가 필요하다.

3

관측기법 연구

1. 분기보 발간 과정

1.1. 분기보 발간 과정

○ 분기보의 발간 일정은 기존 다른 축산 관측 품목(한육우, 돼지, 젖소, 육계, 산란계)과 동일하게 적용할 방침이다.

표 3-1. 축산 월보 및 분기보 발간 일정

매월 업무 세부 내용 비고

1일 편집회의 분기보 수록 내용 논의 팀별

2일 조사표 작성 웹조사 시스템 이용 품목별

3~10일 설문 조사 지역 모니터 및 농가 대상 품목별

6~9일 현지 조사 지역자문회의 및 농가방문 품목별

12~15일 조사 결과 분석 엑셀 파일 분석 정리 품목별

16~18일 중앙자문회의 원고 작성 1단 편집 팀별

21일 중앙자문회의 실시 품목별 자문위원 참석 팀별

22~23일 최종 검토 회의 중앙자문회의 의견 반영 팀별

24일 최종 교정 및 인쇄 2단 편집 팀별

25일 분기보 발간 및 확산 분기보, 문자메시지, 푸쉬메일 팀별

1.1.1. 편집회의

○ 분기보에 수록할 내용을 팀 내에서 검토한다. 발간일자를 전후하여 특이 사 항이 있는지 논의하여 분기보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1.1.2. 조사표 작성 및 발송(모니터/표본농가)

○ 웹조사시스템(outlook.krei.re.kr) 접속 → 화면 하단의 ‘연구원 모드’ 클릭 후 지정된 ID와 비밀번호로 로그인 → 화면 좌측 상단의 ‘모니터’ 클릭 후 ‘조 사표관리’ 선택 → 화면 상단의 ‘조사표 복사’를 클릭하여 전년 동월 조사표 를 복사 → 화면 상단의 ‘수정’을 클릭한 뒤 조사표 내용을 금년 조사 내용 에 맞게 수정한다(제목, 문항, 응답대상, 조사기간, 참고할 조사표 등).

○ ‘참고할 조사표’는 응답자가 문항 답변 시 참고할 수 있도록 전월 조사표 또 는 전년 동월 조사표로 설정한다.

○ 조사표 작성이 완료되면, 화면 상단의 ‘메일발송’과 ‘FAX발송’을 각각 선택 하여 응답대상자에게 메일 및 FAX 두가지 방법으로 조사표를 발송한다. 아 울러, 필요시에는 ‘SMS발송’을 이용하여 조사표 발송 사실을 알리거나 응 답을 독촉할 수 있다.

○ 표본농가 조사표는 화면 촤측 상단의 ‘표본농가’를 클릭한 뒤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작성할 수 있다(단, 조사표 발송은 하지 않음).

○ 표본농가 조사표의 내용은 조사를 담당하는 전화조사 업체 직원을 대상으 로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하여 품목담당자가 원하는 내용이 정확히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구 분 직 책

모니터

(지역자문위원)

· 각 지역 농업기술센터 축산 담당 지도사

· 지역별 축협 축종별 담당자 및 협회 지역본부 회장

· 축산물 품질평가원 및 축산연구소 연구원, 사료회사 표본농가 사육 농가 중에서 사육규모 및 지역별로 표본을 선정

주: 모니터 및 표본농가 변경 시에는 관측기획팀에 그 사항을 통보하여 웹조사 시스템 에 반영되도록 함.

표 3-2. 표본농가 및 지역자문위원

1.1.3. 설문조사 실시

○ 발송된 조사표는 조사 개시 후 약 일주일 뒤 회수가 완료될 수 있도록 한다.

○ 응답률은 90% 이상을 유지하며, 특히 주산지 모니터는 반드시 응답하도록 하여 조사 내용의 신뢰성을 높여야 한다.

1.1.4. 현지 조사 및 지역자문회의

○ 지역자문회의: 각 지역 모니터 요원이 지역자문위원으로 참석한다. 해당 지 역의 사육 동향 및 질병, 출하 계획, 수출입 동향 등 해당 품목의 전반적인 동향에 대한 정보를 교환한다(지역자문 위원 명단 별첨 참조).

○ 현지 조사

- 농가 방문: 사육 동향 출하 계획 등을 조사한다.

- 유관 기관 방문: 각 농업기술센터, 축협, 종축개량소 등을 방문하여 조사 한다.

1.1.5. 조사 결과 분석

○ 웹조사 시스템에서 작성한 조사표를 클릭한 뒤, 상단 메뉴 중 ‘집계’ → ‘엑 셀 저장’을 선택하여, 모니터 및 표본농가의 응답 내용을 엑셀 파일로 저장 한다.

○ 조사된 내용을 분석할 때에는 지역별 재배면적에 따른 가중치를 부과한 뒤 취합한다.

1.1.6. 중앙자문회의

○ 원고 작성: 관측 분기보 발간을 위한 최종 전문가 회의이므로 분기보에 수 록될 내용을 모두 정리하여 원고에 포함되도록 한다. 분기보에는 지면 제약 상 포함되지 못하는 내용이더라도 자문위원들에게 검토를 받고자 하는 사 항은 두루 포함하여 분기보의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다(중앙자문위 원 명단은 부록 2 참조).

1.1.7. 최종 검토 회의

○ 중앙자문회의에서 지적된 사항들을 수정, 보완하여 관측 분기보 최종 원고 를 작성한다(인쇄용 2단 편집).

○ 작성된 최종 원고를 농식품부 담당 부서(축산경영팀, 정책통계담당관)에 발 송하여 검토를 받는다.

1.1.8. 최종 교정 및 인쇄

○ 인쇄소에 최종 파일을 보내 인쇄 작업을 진행한다. 이 때 오탈자가 없도록

마지막까지 검토한다.

1.1.9. 관측 분기보 발행 및 확산

○ 매월 25일 인쇄된 관측 분기보를 전국에 배포한다.

○ 연구원 홈페이지에 분기보 내용을 게재하고, 문자메시지 발송, 푸쉬메일 전 송 등을 한다(관측기획팀 담당).

문서에서 오리산업 현황과 관측기법 연구 (페이지 34-4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