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함수 가 를 원소로 갖는 구간

에서 정의되어 있다고 하자.  → 일 때 가 에 수렴한다는 것은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성립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  일 때     이 자명하게 성립하므로, 위 정의에서

     를    로 바꾸어도 된다.

정의 1.

가 공집합이 아닌 구간이고  

→ ℝ가 함수이며 ∈

라고 하자. 만약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양수 가 존재하여    인 임의의  ∈

에 대하여   이 성립하 면, “함수 가 에서 연속이다.”라고 말한다.

참고 위 정의에서

가 길이가 양수인 구간일 때뿐만 아니라

가 원소가 하나인 집합일 때도 정의된다.

 라면,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  일 때29)

    ⇒    ⇒     

이므로 함수 가 점 에서 연속이다. □

보기 1. 다음과 같이 정의된 함수   ℝ → ℝ를 살펴보자.

   

  if  ∈ ℚif  ∉ ℚ

이 함수가 에서 연속임을 증명해 보자.

양수 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  이라고 하면 는 양수이다.

이제    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가 유리수일 때는

          이고, 가 무리수일 때는

            이다. 두 경우 모두   이라는 결과를 얻는다.

따라서 는 에서 연속이다.

29) 여기서 가 이 아닌 다른 양수여도 된다.

연속의 정의를 사용하여 함수 가 점 에서 불연속임을 서술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1단계. 적당한 양수 을 정의한다.

2단계. 양수 가 임의로 주어졌다고 가정한다.

3단계.    이지만  ≥ 인 정의역의 원소 가 존재함을 설명한다.

보기 2.  ≠ 일 때, 보기 1의 함수 가 점 에서 불연속임을 증명해 보자.

  라고 하자. 그러면 은 양수이다.

양수 가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점 가 유리수인 경우, 무리수의 조밀성에 의하여    와    을 모두 만족시키는 무 리수 가 존재한다. 이때 와 의 부호가 같으므로

               ≥   이다.

점 가 무리수인 경우, 유리수의 조밀성에 의하여    와    을 모두 만족시키는 유 리수 가 존재한다. 이때 와 의 부호가 같으므로

           ≥   이다.

두 경우 모두    이면서  ≥ 인 가 의 정의역에 존재한다.

그러므로 함수 는 점 에서 연속이 아니다.

함수 가 길이가 양수인 구간

에서 정의되어 있고 가

의 점이라고 하자. 극한을 사용하여 의 연속 성을 정의할 때 가 에 다가간다는 개념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가 에 다가간다는 개념을 수열의 극한으로 바꾸어 생각할 수 있다. 즉 함수의 연속을 정의할 때 수열의 극한을 사용할 수 있다.

정리 2.

가 길이가 양수인 구간이고  

→ ℝ가 함수이며 ∈

라고 하자.

(1) 함수 가 에서 연속이라고 하자. 그러면 모든 항이

에 속하고 에 수렴하는 ‘임의의’ 수열

에 대하여, 수열



이 에 수렴한다.

(2) 함수 가 에서 연속이 아니라고 하자. 그러면 모든 항이

에 속하고 에 수렴하는 수열

이 존재하여, 수열



이 에 수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수열을 사용하여 정의한 연속성을 점열연속(sequentially continuous)이라고 부른다.

증명 (1)

이 에 수렴하고 모든 항이

에 속하는 수열이라고 하자. 그리고 양수 이 임의로 주어 졌다고 하자. 가 에서 연속이므로, 양수 가 존재하여    인 임의의 ∈

에 대하여

       이 성립한다. 가 양수이고

이 에 수렴하므로, 자연수

이 존재하여

 

인 임의의 항번호 에 대하여

 

 가 성립한다. 이때

 

 

  ⇒

   

 

이다. 그러므로 수열



이 에 수렴한다.

(2) 함수 가 에서 연속이 아니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양수 이 존재하여 다음을 만족시킨다.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

가 존재하여    이면서  ≥ 이다.”

  이라고 하자. 이 자연수일 때 이 양수이므로,

 

 인 ∈

가 존재하여

   

≥ 을 만족시킨다. 이때 임의의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이므로

은 에 수렴하지만,

   

≥ 이므로



은 에 수렴하지 않는다. ■ 정리 2를 사용하면 보기 2의 문제를 더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보기 3.  ≠ 일 때 보기 1의 함수 가 점 에서 불연속임을 정리 2를 사용하여 증명해 보자.

결론과는 반대로 함수 가 점 에서 연속이라고 가정하자.

에 수렴하는 유리수열

과 에 수렴하는 무리수열

을 생각하자.30)

가 에서 연속라고 가정했으므로

   

lim

 → ∞

lim

 → ∞

 ,

   

lim

 → ∞

lim

 → ∞

 

 

이다. 그런데  ≠ 이므로 두 등식은 서로 모순이다.

그러므로 함수 는 점 에서 연속이 아니다.

보기 4. 두 함수  

와  

에 대하여, 가

의 점이고   라고 하자. 또한

가 에서 연속이고 가 에서 연속이라고 하자. 이때 합성함수  ∘ 가 에서 연속임을 증명해 보자.

양수 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가 에서 연속이므로, 양수 이 존재하여

의 임의의 원소 에 대하여

    ⇒     

이 성립한다. 여기서 이 양수이고 가 에서 연속이므로, 양수 가 존재하여

의 임의의 원소

에 대하여

    ⇒         이 성립한다.

그러므로

의 임의의 원소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성립한다. 따라서  ∘ 는 에서 연속이다.

30) 그러한 수열 이 왜 존재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