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자료처리는 통계분석 SPSS 24.0 프로그램을 이 용하며, 다음과 같은 분석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첫째, 빈도분석을 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실증 분석에 앞서 복합지수로 구성된 변수의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을 실시 하였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크 론바하 알파(Cronbach's Alpha)분석을 하였다.

셋째, 측정 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측정 도구에 대해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을 사용한 요인분석을 적용하였고, 요인은 고 유치(eigen value)와 관계없이 추출할 고정된 요인 수를 기준으로 추출하였으며, 항목의 축소와 각 요인 간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배리맥스(varimax) 방법으로 요인회전을 실시하였다. 도구의 신뢰도 확인을 위해 Cronbach's α 값을 검증하였 다. 기초연구에서는 보편적으로 Cronbach's α 값이 0.70 이상이면 측정도구의 요 인 간 내적 일관성이 있고 0.80 이상이면 일치한다.

넷째, 가설검증을 위한 선행단계로 연구변수들의 평균과 표준편차 그리고 상관관 계 분석을 하였으며, 연구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 검토를 위해 분산팽창요인(VIF:

variance inflation factor)을 조사하였다.

다섯째, 각 가설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하였다.

여섯째, 연구모형으로부터 매개 관계가 존재하는 변수들 간의 매개효과에 대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 해 설시한 분석내용과 분석방법은 <표 42>와 같다.

분석 내용 분석 방법

인구 통계적 특성 빈도분석

변수의 요인추출, 타당성 요인분석 변수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 분석

변수 간의 상관관계 상관관계분석

가설의 검증 단일/다중/위계적 회기분석

<표 42> 연구의 분석방법

제5장 실증분석 및 결과

제1절 기초통계분석 1. 기초통계분석

분석대상인 표본의 특성은 <표 43>과 같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성별 은 남성 95.8%, 여성 4.2%이었으며, 연령은 20대 이하가 8.0%, 30대가 16.9%, 40대가 20.4%, 50대가 37.2%, 60대 이상이 17.5%이었고, 학력은 고졸 이하 55.6%, 전문대졸 14.5%, 대졸 27.5%, 대학원졸 이상이 2.4%였다. 그리고 업종은 제조업이 6.0%, 건설업이 69.1%, 서비스업이 8.8%, 기타가 16.2%였고, 규모는 5 인 미만 2.7%, 5-49인 37.1%, 50-99인 13.7%, 100-299인 28.4%, 300인 이 상이 5.1%였다. 또한, 직책은 사원/대리가 74.7%, 과장/차장이 14.2%, 부장이 6.1%, 임원 이상이 5.0%였고, 직위는 사업주/경영층 1.0%, 안전보건관리자 4.8%, 관리감독자가 13.4%, 안전보건관리담당자가 1.3, 근로자가 77.2%, 기타가 2.3%

를, 재직 기간은 5년 미만이 37.9%, 5-10년 미만이 26.1%, 10-15년 미만이 13.2%, 15년 이상이 22.8%를 차지했다.

구분 집단 빈도수 비율(%)

성별 남성 917 95.8

여성 40 4.2

연령

20대 이하 77 8.0

30대 162 16.9

40대 195 20.4

50대 356 37.2

60대 이상 167 17.5

학력

고졸 이하 532 55.6

전문대졸 139 14.5

대졸 263 27.5

대학원졸 이상 23 2.4

업종

제조업 57 6.0

건설업 661 69.1

서비스업 84 8.8

기타 155 16.2

<표 43> 표본의 일반적 특성(N = 957)

규모

5인 미만 26 2.7

5 – 49인 355 37.1

50 – 99인 131 13.7

100 – 299인 173 28.4

300인 이상 272 5.1

직책

사원/대리 715 74.7

과장/차장 136 14.2

부장 58 6.1

임원 이상 48 5.0

직위

사업주/경영층 10 1.0

안전보건관리자 46 4.8

관리감독자 128 13.4

안전보건관리담당자 12 1.3

근로자 739 77.2

기타 22 2.3

재직

5년 미만 363 37.9

5 – 10년 미만 250 26.1

10 – 15년 미만 126 13.2

15년 이상 218 22.8

업종 구분 제조업/기타 355 37.1

건설업 602 62.9

제2절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1.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실증 분석에 앞서 복합지수로 구성된 변수의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 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크론바 하 알파(Cronbach's Alpha)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측정항목들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타당성이 확보된 항목을 중심으로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요인추출방법은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이용 하였고, 요인은 고유치(eigen value)와 관계없이 추출할 고정된 요인 수를 기준으

로 추출하였으며, 항목의 축소와 각 요인 간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배리맥스 (varimax) 방법으로 요인회전을 실시하였다. 요인의 평가기준으로는 요인 부하량 (factor loading) 0.5 이상, 총 분산에 대한 설명력은 50%이상으로 하였다(Bagozzi

& Yi, 1988).

먼저 독립변수에 해당하는 VR활용 안전체험교육에 대한 주성분분석을 실시한 결 과는 <표 44>와 같다. 요인분석결과, 교육적 체험 5개 문항, 일탈적 체험 2개 문항 (3개 문항 제거), 심미적 체험 4개 문항(1개 문항 제거), 그리고 오락적 체험 3개 문항(2개 문항 제거)이 각각 단일변수로 묶였고, 누적분산비율이 84.639%로 나타 났다. 따라서 요인들의 타당성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크론바하 알파 신뢰계수는 교육적 체험(0.947), 일탈적 체험(0.881), 심미 적 체험(0.931) 그리고 오락적 체험(0.914) 등으로 모두 0.7 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측정도구의 신뢰성은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Nunnally, 1978).

독립변수

요인1 요인2 요인3 요인4

변수 요인 문항

VR활용 안전체험

교육

교육적 체험

VR활용 체험은 산업현장의 사고위험을 이

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0.842

VR활용 체험은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이

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0.838

VR활용 체험은 현장 상황에 잘 부합하고

배울만한 요소가 있었다. 0.811

VR활용 체험은 산업현장 안전사고예방에

관한 좋은 교육이었다. 0.807

VR활용 체험은 내게 산업현장의 안전지식

을 습득하게 해주었다. 0.776

심미적 체험

VR활용 체험은 산업현장 환경과 조화롭게

잘 꾸며져 있었다. 0.803

VR활용 체험은 산업현장 환경에 맞게 생

동감을 느낄 수 있었다. 0.755

VR활용 체험은 산업현장 환경과 사실적이

며 매력 있게 느껴졌다. 0.750

VR활용 체험은 산업현장의 끼임, 떨어짐

등 사고와 잘 어울렸다. 0.724

<표 44> VR활용 안전체험교육(독립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결과

오락적 체험

VR활용 체험으로 유쾌한 마음이다. 0.833

VR활용 체험으로 기분이 상쾌하고 행복했다. 0.826 VR활용 체험은 흥미로웠고 매력적이었다. 0.721

일탈적 체험

VR활용 체험 동안 현실에서 벗어난 느낌

이 들었다 0.896

VR활용 체험 동안 다른 세계에 있는 것 같았다.

0.867

아이겐값 8.715 1.441 0.985 0.709

누적 분산비율 62.247 72.538 79.574 84.639

신뢰계수 0.947 0.931 0.914 0.881

다음으로 매개변수 및 종속변수에 해당하는 안전의식, 안전행동, 안전사고 예방에 대한 주성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45>와 같다. 요인분석결과, 안전의식 5개 문 항, 안전행동 5개 문항, 안전사고예방 5개 문항이 각각 단일변수로 묶였고, 누적분 산비율이 83.936%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인들의 타당성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크론바하 알파 신뢰계수는 안전의식(0.941), 안전행동(0.954), 안전사고예 방(0.958) 등으로 모두 0.7 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측정도구의 신뢰성은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Nunnally, 1978).

매개변수 및 종속변수

요인1 요인2 요인3

변수 요인 문항

안전사고 예방

안전사고 예방

VR활용 체험은 현장 재해예방 활동에 도움이

된다. 0.800

VR활용 체험은 사전 안전효과가 있다. 0.797

VR활용 체험은 안전사고 대처 능력에 도움이

된다. 0.791

VR활용 체험은 안전사고 예방 대처에 도움이

된다. 0.789

VR활용 체험 후 안전의식이 바뀌었다. 0.768

<표 45> 안전의식/안전행동(매개변수) 및 안전사고예방(종속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결과

안전의식 안전의식

VR활용 체험으로 안전수칙 등이 사고를 예방

해 준다고 생각한다. 0.794

VR활용 체험으로 안전교육의 투자는 필요하

다고 생각한다. 0.781

VR활용 체험으로 작업능률이 떨어져도 주의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0.780

VR활용 체험으로 안전사고에 대한 교육이 필

요하다고 생각하다. 0.766

VR활용 체험으로 급한 일이어도 안전을 지켜

야 한다고 생각한다. 0.723

안전행동 안전행동

VR활용 체험 후 동료가 안전하게 작업하도록

도와줄 것이다. 0.755

VR활용 체험 후 작업 전 불안전 상태를 확인

하고 작업할 것이다. 0.754

VR활용 체험 후 작업절차 준수 및 안전한 방

법으로 작업할 것이다. 0.752

VR활용 체험 후 안전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다. 0.707

VR활용 체험 후 안전교육에 긍정적인 생각을

갖게 되었다. 0.705

아이겐값 10.875 1.012 0.704

누적 분산비율 72.498 79.246 83.936

신뢰계수 0.958 0.941 0.954

이어서 독립변수에 해당하는 VR 프레즌스에 대한 주성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46>과 같다. 요인분석결과, 몰입감 5개 문항, 현실감 3개 문항(2개 문항 제 거), 상호작용성 3개 문항(2개 문항 제거)이 각각 단일변수로 묶였고, 누적분산비 율이 84.138%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인들의 타당성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된다.

또한 크론바하 알파 신뢰계수는 몰입감(0.952), 현실감(0.910), 상호작용성 (0.889) 등으로 모두 0.7 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측정도구의 신뢰성은 문 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Nunnally, 1978).

독립변수

요인1 요인2 요인3

변수 요인 문항

VR 프레전스

몰입감

VR활용 체험을 하는 동안 VR 영상에 완전

히 빠져들었다. 0.832

VR활용 체험을 하는 동안 VR 영상에 깊이

몰두했다. 0.829

VR활용 체험은 다양한 경험 제공으로 더욱

몰입을 하게 한다. 0.800

VR활용 체험을 하는 동안 시간이 생각보다

빨리 지나갔다. 0.771

VR활용 체험을 하는 동안 다른 일들은 전혀

생각나지 않았다. 0.758

상호 작용성

VR활용 체험 시스템의 사용에 있어 문제(버

퍼링, 느림)가 없었다. 0.796

VR활용 체험 시스템의 사용 절차가 간단하여

사용하기 쉬웠다. 0.777

VR활용 체험 동안 초점 조정 명령은 빠르게

응답하였다. 0.746

현실감

VR활용 체험 동안 들려오는 소리는 실제로

들리는 듯 했다. 0.770

VR활용 체험 동안 상황이 실제 내 상황처럼

느껴졌다. 0.743

VR활용 체험 동안 실제 있을 수 있는 현실이

라고 생각한다. 0.725

아이겐값 7.923 0.836 0.496

누적 분산비율 72.031 79.633 84.138

신뢰계수 0.952 0.910 0.889

<표 46> VR 프레전스(독립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결과

끝으로 매개변수 및 종속변수에 해당하는 VR 콘텐츠 만족도, 교육만족도, 현업적 용의도, 그리고 추천의도에 대한 주성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47>과 같다. 요 인분석결과, VR 콘텐츠 만족도 4개 문항(1개 문항 제거), 교육만족도 3개 문항(2 개 문항 제거), 현업적용의도 3개 문항(2개 문항 제거), 그리고 추천의도 3개 문항 (2개 문항 제거)이 각각 단일변수로 묶였고, 누적분산비율이 87.503%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인들의 타당성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크론바하 알파 신뢰계수는 VR 콘텐츠 만족도(0.919), 교육만족도(0.932), 현업적용의도(0.944), 그리고 추천의도(0.951) 등으로 모두 0.7 이상으로 매우 높

게 나타났으며, 측정도구의 신뢰성은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Nunnally, 1978).

매개변수 및 종속변수

요인1 요인2 요인3 요인4

변수 요인 문항

VR콘텐츠 만족도

VR콘텐츠 만족도

VR활용 체험 콘텐츠의 영상 또는 그래픽

품질은 만족감을 주었다. 0.840

VR활용 체험 콘텐츠의 사운드는 만족감을

주었다. 0.805

VR활용 체험 동안 HMD 착용은 불편함으 로 만족감을 주지 못했다. 0.749 VR활용 체험 콘텐츠는 전체적으로 만족감

을 주었다. 0.655

추천의도 추천의도

VR활용 체험을 앞으로도 다시 하고 싶다. 0.790 VR활용 체험을 향후에도 반복하고 싶다. 0.773

VR활용 체험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체험

할 의향이 있다. 0.695

현업적용 의도

현업적용 의도

VR활용 체험은 현장 교육 자료로 적절하

다고 생각한다. 0.746

VR활용 체험은 현장 교육 방법으로 효과

적이라고 생각한다. 0.727

VR활용 체험한 내용을 실제 교육에 반영

할 생각이 있다. 0.705

교육 만족도

교육 만족도

VR활용 체험과 같은 다른 교육 기회가 있

다면 기꺼이 하고 싶다. 0.693

VR활용 체험 교육은 기존 강의식 교육보

다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0.679

VR활용 체험은 전반적으로 안전 교육에

만족하였다. 0.648

아이겐값 9.669 0.893 0.443 0.371

누적 분산비율 74.375 81.241 84.651 87.503

신뢰계수 0.919 0.951 0.944 0.932

<표 47> VR 콘텐츠 만족도/교육만족도(매개변수) 및 현업적용의도/추천의도(종속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결과

제3절 상관관계 분석

<표 48>은 가설검증을 위한 선행단계로 연구변수들과 통제변수들의 평균과 표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