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1. 삶의 질 관련 지수

가. 인간개발지수(HDI: Human Development Index): UNDP

○ UNDP에서는 길고 건강한 삶, 지식, 생활 수준의 세 차원에서 삶의 질을 평 가하는 인간개발지수를 매년 작성하여 발표하고 있다.

- 길고 건강한 삶 부문은 기대수명으로, 지식 부문은 성인 문해율과 취학 율을 합하여, 생활수준은 1인당 국내총생산으로 측정한다.

- 인간개발지수는 세 차원의 부문지수를 단순 산술평균하여 산출한다.

○ 인간개발지수는 1인당 국민소득으로만 평가하였던 한 사회의 행복 수준 측 정의 결함을 보완한 지수라는데 의의가 있다(황규선, 2012). 또한 대부분 문 화권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지표들로 구성되어 있어 서로 다른 국가나 문화권 간의 비교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 하지만 삶의 질을 평가하는 지수로서 사용하기에는 너무 지표의 수가 적고 단순하다는 지적도 있다.

부문 지표 부문지수 (a decent standard of생활수준

living)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이다.

○ WHOQOL은 100여 개의 세부 항목으로 구성된 다원적인 측정 도구이다.

하지만 주관적인 개인의 답변을 바탕으로 작성되기 때문에 객관적인 지표 로서의 활용도는 낮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삶의 질에서 중요한 부문이라 할 수 있는 경제적 요인이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는 지적 도 있다.

80

영역(Domains) 지표(Facets incorporated within domains) 신체적 건강 - 삶과 건강의 전반적인 질 - 체력과 피로

○ 2012년에는 주거비, 연간 개인 소득, 직장 안정성, 수질 등의 지표를 추가하 여 개선된 BLI를 발표하였다. 지수 구성의 큰 틀은 2011년과 동일하지만 행 복의 지속가능성을 지표 체계에 반영한 점은 개선된 점이다.

- 2012년에는 행복의 지속가능성을 반영하여 직장안정성, 기대교육연수 등이 지표로 추가 혹은 수정되었다.

범주 지표

주거환경 1인당 방수, 주거비, 최소주거기준 충족 주택 소득 가처분 소득, 가계 금융 소득

일자리 고용률, 장기실업률, 연간 개인 소득, 직장 안정성

공동체 생활 지원 네트워크의 질(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유무) 교육 고등학교 졸업률, 기대 교육 연수, 학생의 수학 독해 과학 역량 환경 공기 오염, 수질

정치 참여 투표율, 입법 과정 자문 공개 건강 기대 수명, 자기 보고 건강 삶의 만족도 삶의 만족도

치안 상해율, 살해율

일과 삶의 균형 과다 노동 고용자, 개인 여가 시간 자료: OECD 웹사이트(http://oecdbetterlifeindex.org).

표 4-3. OECD의 BLI

82

(Material wellbeing) 1인당 GDP 건강(Health) 기대수명 정치적 안정성

(Political stability and security) 정치적 안정성과 안전 비율 가족생활(Family life) 이혼율(인구 천 명당)

11 EIU(Economist Intelligence Unit): 영국의 시사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 계열사로 국가별 경제 전반에 대한 중장기 분석을 실시하고 있다.

구분 지표 구성

84

2.2. 지역발전지수(RDI: Regional Development Index)

12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는 시 군별 발전 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도구로서

‘지역발전지수’를 고안하여 발표하고 있다.

- 송미령 등(2007)에서는 지역발전지수를 개발하여 ‘살기 좋은 농촌’을 진 단하였다. 이 연구 이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는 매년 지역발전지수를 산출하여 발표하고 있다13.

- 지역발전지수는 시 군의 발전 정도 및 잠재 역량 등 지역 여건과 특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부문별로도 진단 평가가 가능한 실용적 지표를 지 향하고 있다.

■ 시‧군을 ʻ삶터ʼ, ʻ일터ʼ, ʻ쉼터ʼ, ʻ공동체의 터ʼ로서 개념화하고 각 영역의 발전정도에 따라 주민 삶의 질에 영향 미친다고 가정

■ 영역별 발전정도를 객관적 통계 자료를 토대로 지수를 구성해 측정, 지역 진단, 비교 시도

그림 4-2. 지역발전지수의 개념

12 송미령 등(2012). 2012 지역발전지수를 활용한 농어촌 실태 분석과 정책 개선방안 연구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 특히 2009년, 2010년, 2012년에는 동아일보를 통해 기획 기사화하여 발표하였다.

86

삶터0.359 일터0.246 쉼터0.179 공동체터0.217

그림 4-3. 2012년 지역발전지수의 구성

영역별 지수 부문 세부 지표

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