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서울형 도시계획체계의 필요성과 개념

1. 왜 서울형 도시계획체계인가?

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세계도시로서 2,500만 인구를 가진 서울 대도시권의 중핵도시이며, 1,000만 인구와 25개의 자치구를 가진 거대도시이다.

 서울의 도시계획에는 항상 두 가지 요구가 상존하고 있는데, 하나는 서울 및 대도 시권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중심지를 육성하고 인프라를 확충하는 등 공간구 조를 새롭게 구축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생활밀 착형 도시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 이러한 두 가지 계획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서울의 특성과 시민들의 계획 수 요를 담아낼 수 있는 새로운 도시계획체계가 필요하다.

<그림 2-1> 서울형 도시계획체계의 필요성

6 Working Paper

 그러나 우리나라의 도시계획체계는 전국이 동일하게 도시기본계획과 도시관리계 획으로 이원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두 계획 간 연계성 또한 미흡한 실정이 다.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도시기본계획을 구체화하 고, 도시관리계획에 대해 지침을 제시하는 중간단계 계획이 요구된다.

 서울은 서울이 가진 특성과 다양한 계획수요를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계획체계가 필요하다. 급변하는 대내외 여건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다양하고 복잡한 계획 수요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도시계획체계의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다.

2. 현행 서울 도시계획체계의 한계

 서울을 비롯한 우리나라의 도시계획체계는 도시기본계획과 도시관리계획으로 운 영되고 있으나, 도시의 장래 비전과 정책방향 등을 제시하는 최상위계획인 도시 기본계획과 이를 구체화하는 도시관리계획과의 연계성이 미흡한 실정이다.

 이를 극복하기 위해 권역 차원의 계획이 수립되었으나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다.

또한 두 계획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공간범위의 비 법정계획들이 수립되었으 나, 특정지역에 대해서만 한시적으로 운영되어 상․하위계획 및 다른 계획들과 연계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도시기본계획

<그림 2-2> 현행 서울의 도시계획체계

서울형 도시계획체계 실행방안 연구 7

 현행 서울 도시계획체계의 한계와 문제점은 1) 도시기본계획 실현을 위한 중간단 계 계획의 부재, 2) 중심지 육성을 위한 체계적인 전략과 계획 부재, 3) 서울의 변화와 계획의 실현 여부를 진단하는 모니터링체계 부재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 도시기본계획 실현을 위한 중간단계 계획의 부재

 도시기본계획의 실현을 위해서 기존의 권역계획은 생활밀착형 계획수요에 대응하 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권역(대생활권)보다 작은 공간단위의 생활권계획이 필요하다.

 인구 1,000만의 거대도시 서울은 지역별로 특성이 다르고 직면한 문제들도 다르 기 때문에 일률적인 계획이나 정책만으로는 지역발전을 도모하는 데 한계가 있 다. 따라서 인구, 고용, 산업, 공간구조, 토지이용, 생활환경 등 권역별로 다양한 지역여건을 반영한 특성화된 발전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 도시기본계획에서 제시한 내용을 권역ㆍ자치구 등으로 구체화하는 생활권계획을 수립함으로써, 보다 짜임새있는 계획체계를 구축하도록 한다.

<그림 2-3> 서울 도시기본계획과 권역계획, 도시관리계획

8 Working Paper

○ 중심지 육성을 위한 체계적인 전략과 계획 부재

 서울의 경우 도시기본계획상 도심, 부도심 등 일부 중심지에 대한 육성계획은 수 립되어 있으나, 서울의 중심지 전체에 대한 체계적인 육성계획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특히, 중심지별로 수립되는 육성계획은 그 내용과 수립시점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일관성 있는 관리가 필요하다.

 체계적인 중심지 육성과 관리를 위해서는 서울의 중심지 육성에 필요한 체계적인 전략과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으며, 중심지별 육성계획에서도 중심지별 특성에 따른 육성전략을 마련하되, 내용적 일관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그림 2-4> 서울의 중심지계획 수립현황

○ 서울의 변화와 계획실현 여부를 진단하는 모니터링체계 부재

 현행 서울의 도시계획은 각종 도시계획이 수립된 이후, 계획된 내용과 정책들이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 없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변 화하는 서울·수도권의 인구, 주택, 산업, 환경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등과 같은 이 슈에 체계적으로 대응하면서 일관성 있는 정책을 추진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 또한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할 때마다 서울의 현황과 변화를 진단하는데 상당한 시 간이 소요되어 계획수립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서울형 도시계획체계 실행방안 연구 9

<그림 2-5> 도시기본계획 수립기간

3. 서울형 도시계획체계의 기본틀

 서울형 도시계획체계의 기본틀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기본계획과 도시관리계획 사이에 생활권계획을 수립하여 중간단계계 획을 보강함으로써, 지역의 생활밀착형 계획이슈에 대응하도록 한다.

둘째, 서울의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심지 육성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중심지 별 특성에 맞는 육성전략을 서울시 차원에서 마련하도록 한다.

셋째, 도시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서울의 도시 변화 및 계획의 실현 여부를 지속적으로 진단함으로써, 후속계획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림 2-6> 서울형 도시계획체계의 기본틀

서울형 도시계획체계 실행방안 연구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