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1절 노동력의 감소와 경제성장

1. 서울의 노동력 변화 1) 생산가능인구 규모

통계청에 따르면 서울시 인구는 상주인구 기준으로 1988년 천만 명대를 넘어섰고 1990년 1천 47만 여명으로 최고점에 도달한 이후 점차 감소하면서 2000년대 들어서 거의 정체상태를 보이고 있다. 장래인구 추계자료에 따르면 서울의 인구는 2010년 1천 39만 명을 정점으로 이후 감소추세로 돌아서 2016년에 1천만 명 미만인 999만 명으로 떨어지고 2030년에는 941만 명까 지 감소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절대인구수와 함께 생산가능한 젊은 계층 또한 감소하고 있다. 인구고령화는 고령인구의 증 가와 출산율의 감소에 의해 결정되는데 특히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는 출산율 감소가 주원인이

된다. 15~64세의 생산가능인구는 1995년 768만 명으로 최대 규모를 보인 이후 2009년까지 증 가와 감소를 반복하면서 761~765만 명 사이의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2009년 765만 명으로 정 점에 달한 후 2030년 627만 명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추계되었다. 생산가능인구 중 학령기로 볼 수 있는 15~24세를 제외하면 실제 노동시장에 투입이 가능한 25~64세 인구는 2010년 636만 명에서 2030년 542만 명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반면에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980년 20만 명에서 2010년 94만 명, 그리고 2030년에는 21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된다.

자료: 통계청, 시도별 장래인구추계

<그림 3-1> 서울시 인구구조 변화

자료: 통계청, 시도별 장래인구추계

<그림 3-2> 생산가능인구 구성비(단위:%)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절대 규모뿐 아니라 구성비에서도 1980년 66.2%에서 점차 증가하 다가 2007년 76.3%로 최고점에 달한 이후 점차 감소하여 2030년에는 66.6%로 약 10%포인트 감소할 전망이다. 서울의 생산가능인구 비중이 전국 평균에 비해 높은 편이지만, 그리 큰 차이 를 보이지는 않는다.

2) 노동력의 고령화

인구구조가 고령화되면서 노동에 참여하는 인구의 연령 또한 높아지고 있다. 장래인구 추계 자료를 토대로 서울의 생산가능인구의 평균연령을 계산한 결과 1980년 31.6세에서 2030년 42.3세로 10세가량 높아질 전망이다. 이는 전국 평균에 비해서는 낮은 편이지만 그 격차가 점 차 감소하여 2010년 이후 0.2~0.3세 차이로 좁혀질 것이다.

<그림 3-3> 생산가능인구 평균연령

실제로 취업자의 연령구성도 고령화되었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취업자의 연령구성이 점차 중고령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표 3-1>에 나타난 바와 같이 1990년 이래 전체 취업자 중 20~30대 젊은 계층 비율은 감소하고, 40대 이상 비율은 증가하였다. 특히 15~29세 비율은 1990년 34.8%에서 2009년 20%로 73.8% 감소한 반면, 60세 이상 취업자는 1990년 3.1%에서 2009년 8.5%로 64% 증가하였다. 대한상공회의소가 2005년 서울시 소재 제 조업체 220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도 생산직 근로자의 평균연령이 1999년 35.5세에서 2004년 37.5세로 2.0세 상승하였다(대한상공회의소, 2005).

구성비 증가율

(1990~2009)

1990 1995 2000 2005 2009

15~29세 34.8 31.8 27.7 23.0 20.0 -73.

30~39세 28.9 29.4 28.1 27.5 26.0 -11.0

40~49세 22.0 21.6 24.5 26.5 27.2 19.1

50~59세 11.3 12.9 13.8 15.6 18.3 38.3

60세 이상 3.1 4.3 5.8 7.4 8.5 64.0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표 3-1> 서울 취업자 연령구성

(단위: %)

그러나 전국의 취업 연령구조와 비교하면 서울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편이다. 2009년 현재 전체 취업자 중 5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서울이 26.8%로 전국평균인 30.6%에 비해 노동 력의 고령화 정도가 낮은 편이다.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그림 3-4> 취업자 중 50대 이상 비중

2. 노동력의 수요·공급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