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상관관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9-73)

드라마/영화, 음악/공연, 패션/화장품 분야의 한류, 국가이미지, 한국제품 만족 도, 재구매의도 간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드라마/영화와 음악/공연(r=.664, p<.001), 드라마/영화와 패션/화장품 (r=.573, p<.001), 음악/공연과 패션/화장품(r=.603, p<.001) 한류 간에 유의한 정 (+)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국가이미지는 드라마/영화(r=.308, p<.001), 음악/공연 (r=.188, p<.05), 패션/화장품(r=.310, p<.001)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 고, 한국제품 만족도는 드라마/영화(r=.485, p<.001), 음악/공연(r=.426, p<.001), 패션/화장품(r=.438, p<.001)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재구매의도는 드라마/영화(r=.383, p<.001), 음악/공연(r=.443, p<.001), 패션/화장품(r=.454, p<.001), 국가이미지(r=.336, p<.001), 한국제품 만족도(r=.362, p<.001)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표 19 > 상관관계

변수 1 2 3 4 5 6

1. 드라마/영화 한류 1

2. 음악/공연 한류 .664*** 1

3. 패션/화장품 한류 .573*** .603*** 1

4. 국가이미지 .308*** .188* .310*** 1

5. 한국제품 만족도 .485*** .426*** .438*** .472*** 1

6. 재구매의도 .383*** .443*** .454*** .336*** .362*** 1

* p<.05, *** p<.001

제 4 절 연구 가설 검증

1. 한류가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류가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드라마/영화, 음악/공연, 패 션/화장품 분야의 한류를 독립변수로, 국가이미지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 을 실시하였다. 먼저 변수 간 다중공선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분산팽창지수 (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를 산출하였다. 일반적으로 분산팽창지수는 10 미

만이면 다중공선성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데(Kutner, Nachtsheim & Neter, 2004), 본 분석에서는 모든 분산팽창지수가 10 미만으로 나타났다.

한류가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R2이 .129로 한류가 국가브랜 드 이미지를 약 12.9%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F=7.923으로 유의하게 나타 나 회귀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Durbin-Watson 값은 2에 근사하면 잔 차의 독립성 가정을 만족하는 것으로 보는데 1.610으로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모형 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가설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설 1-1인 ‘한국 드라마/영화가 국가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분석 결과, 유의확률이 .015로 유의수준 5%에서 정(+)적으로 유의 한 결과를 보였다(β=.253, p<.05). 즉 가설 1-1은 채택되었다.

다음으로 가설 1-2인 ‘한국 음악/공연이 국가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 이다’에 대한 분석 결과, 유의확률이 .239로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하지 않은 결과 를 보였다. 즉 가설 1-2는 기각되었다.

그리고 가설 1-3인 ‘한국 패션/화장품이 국가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 이다’에 대한 분석 결과, 유의확률이 .014로 유의수준 5%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β=.240, p<.05). 즉 가설 1-3은 채택되었다.

< 표 20 > 한류가 국가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종속변수 독립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 오차

표준화

계수 t p VIF

국가 이미지

(상수) 2.537 .205   12.351*** .000

드라마/영화 0.196 .080 .253 2.458* .015 1.951 음악/공연 -0.076 .064 -.125 -1.181 .239 2.059 패션/화장품 0.144 .058 .240 2.491* .014 1.716 R2=.129, adj R2=.112, F=7.923 (p<.001), Durbin-Watson=1.610

* p<.05, *** p<.001

2. 한류가 한국제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류가 한국제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드라마/영화, 음악/공 연, 패션/화장품 분야의 한류를 독립변수로, 한국제품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변수 간 다중공선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분산팽 창지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를 산출하였다. 일반적으로 분산팽창지수는 10 미만이면 다중공선성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데, 본 분석에서는 모든 분산

팽창지수가 10 미만으로 나타났다.

한류가 한국제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R2이 .279로 한류가 한 국제품 만족도를 약 27.9%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F=20.739로 유의하게 나 타나 회귀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Durbin-Watson 값은 2에 근사하면 잔차의 독립성 가정을 만족하는 것으로 보는데 2.125로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모형 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가설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설 2-1인 ‘한국 드라마/영화가 한국제품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분석 결과, 유의확률이 .002로 유의수준 1%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β=.298, p<.01). 즉 가설 2-1은 채택되었다.

다음으로 가설 2-2인 ‘한국 음악/공연이 한국제품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 칠 것이다’에 대한 분석 결과, 유의확률이 .271로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즉 가설 2-2는 기각되었다.

그리고 가설 2-3인 ‘한국 패션/화장품이 한국제품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 칠 것이다’에 대한 분석 결과, 유의확률이 .022로 유의수준 5%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β=.203, p<.05). 즉 가설 2-3은 채택되었다.

< 표 21 > 한류가 한국제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종속변수 독립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 오차

표준화

계수 t p VIF

한국제품 만족도

(상수) 2.019 .173   11.683*** .000

드라마/영화 0.214 .067 .298 3.192** .002 1.951 음악/공연 0.060 .054 .106 1.105 .271 2.059 패션/화장품 0.112 .049 .203 2.310* .022 1.716 R2=.279, adj R2=.265, F=20.739 (p<.001), Durbin-Watson=2.125

* p<.05, ** p<.01, *** p<.001

3. 국가이미지와 한국제품 만족도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국가이미지와 한국제품 만족도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국 가이미지와 한국제품 만족도를 독립변수로, 재구매의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 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변수 간 다중공선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분산팽창지 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를 산출하였다. 일반적으로 분산팽창지수는 10 미만이면 다중공선성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데, 본 분석에서는 모든 분산팽

창지수가 10 미만으로 나타났다.

국가이미지와 한국제품 만족도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R2 이 .166으로 국가이미지와 한국제품 만족도가 재구매의도를 약 16.6% 설명하는 것 으로 나타났고, F=16.155로 유의하게 나타나 회귀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검증되었 다. Durbin-Watson 값은 2에 근사하면 잔차의 독립성 가정을 만족하는 것으로 보 는데 1.995로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모형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가설 검 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설 3인 ‘국가이미지가 재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분석 결과, 유의확률이 .010으로 유의수준 5%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결과 를 보였다(β=.212, p<.05). 즉 가설 3은 채택되었다.

다음으로 가설 4인 ‘한국제품 만족도가 재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 다’에 대한 분석 결과, 유의확률이 .002로 유의수준 1%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β=.262, p<.01). 즉 가설 4는 채택되었다.

< 표 22 > 국가브랜드 이미지와 한국제품 만족도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종속변수 독립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 오차

표준화

계수 t p VIF

재구매 의도

(상수) 1.380 .317   4.358*** .000

국가이미지 0.225 .086 .212 2.607* .010 1.286 한국제품 만족도 0.300 .093 .262 3.224** .002 1.286 R2=.166, adj R2=.156, F=16.155 (p<.001), Durbin-Watson=1.995

* p<.05, ** p<.01, *** p<.001

제 5 장 결론 및 시사점

제 1 절 결론

한류란 한국의 대중문화가 한국을 넘어서 해외로 뻗어나가 문화적 파급력을 미치 는 것을 통칭하는 말이며, 과거 일본, 베트남, 중국을 넘어 북미, 남미, 유럽에까지 영향력을 드러내고 있다. 2000년대 중반 심화기를 거쳐 K-drama, K-movie, K-pop, K-beauty라는 K 접두어를 붙여 한국의 문화가 세계로 뻗어나가며, 한류가 한국제품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만족도에까지 영향을 주며, 결국 재구매 의도로까지 연결되어 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류를 대표하는 문화 콘텐츠인 드라마와 영화, 음악과 공연, 패 션과 화장품이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제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국가이미지와 제품만족도가 재구매의도에 연결되어지는 현상을 알아보았 다. 본 연구 응답자는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한 류경험은 165명 응답자 중 133명(80.6%)가 한류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류 평균 소비기간은 4.64년으로 응답하였다. 한류인식에 관한 문항 세 문항인 한 국대중문화의 우수성, 다른 나라와의 교류에 도움, 긍정적인 역할에서 모두 보통 수준인 3점 이상의 평균을 보여 한류 인식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하 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한류소비에 관한 3개 문항인 한국 대중가요 듣는 빈도, 한국 드라마를 보는 빈 도, 한국 의류 구매 빈도에서 모두 다 3점 이상의 평균을 보여주어, 한류 소비를 전반적으로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류 경험 경로는 TV, 인터넷, 음악/공연 순으로 보여 지고, 선호하는 한류 콘텐츠는 드라마/영화, 음악/공연, 패션/뷰티 순으 로 나타났다. 구매한 한국 상품은 패션/뷰티가 63명(38.2%)로 가장 많았고, 드라마 /영화가 35명(21.2%), 음악/공연 29명(17.6%) 순으로 높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요약하면, 첫째, 한국 드라마/영화와 패션/화장품이 국가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음악/공연이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 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내 거주 중인 중국 유학생들에게 한국의 드라마/영 화와 패션/화장품이 한국의 국가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한국에 대한 호감도 가 증가하였다고 간주 할 수 있다.

둘째, 한국 드라마/영화와 패션/화장품이 한국제품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 치고 있는 반면 음악/공연이 한국 제품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는 드라마/영화와 패션/화장품은 한국제품 사용에 좋은 인식을 가지고 구매 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가설 결과 H1-1 한국 드라마/영화가 국가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H1-2 한국 음악/공연이 국가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각 H1-3 한국 패션/화장품이 국가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H2-1 한국 드라마/영화가 한국제품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H2-2 한국 음악/공연이 한국제품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각 H2-3 한국 패션/화장품이 한국제품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H3 국가이미지는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H4 한국제품 만족도는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셋째, 한국의 국가이미지는 소비자들의 재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 다.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 유학생들에게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좋을수록 한국 제품의 재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류 소비를 많이 하고 한국의 국가이미지가 좋을수록 한국제품의 재구매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제품의 만족도는 재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중국 한류 소비자가 한류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강할수록 한국제품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결국 한국제품의 재 구매로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표 23 〉 실증분석 결과 요약

제 2 절 시사점

끝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고 결론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 한계점을 지적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의 표본선정에 있어서 20대의 응답자가 89.1%로 집중되었고, 조 사대상 역시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가 작성되 어, 대학 재학 중이 75.2%와 석사 재학 중이 11.5%로 한정되어 있어 연구결과를 중국이라는 나라로 일반화 하는 데에 있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앞으로 중국의 다양한 지역의 응답표본을 통해 재확인 되어져야 할 부분이다. 둘째, 본 연구의 조 사 대상자는 대부분 학생이기 때문에 소득이 높지 않고, 중국내 거주지역이 중·소 도시 출신이 53.9%로 과반 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소득과 지역의 다양성이 확보 되어 있지 않았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9-7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