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책공법 검토결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3-89)

3.3 붕괴사면 안정화 대책

3.3.3 대책공법 검토결과

구 분 제 1안 게비온 옹벽

제 2안 보강토 옹벽

제 3안 철근 콘크리트 옹벽

개 요 도

장점

- 공법이 단순하여 시공성 이 좋음

- 중력식설계로 토압에 효 과적이어서 구조성이 뛰 어남

- 자연 배수, 지지력, 강성 이 양호

- 탄성방식처리된 철망 및 채움석이용하여 내구성 을 증진시켜 수충부저항 력 양호구조체로 안전성 이 좋음

- 공기단축

- 부등침하에 대한 저항 성이 큼

- 경제적임

- 형태나 치수의 융통성이 큼

- 보편적인 공법으로 인력 및 경험 풍부

- 차수에 대한 효과 확실

단점

- 보수가 어려운편임 - 자연적인 경관성이 떨어

- 철저한 시공관리가 요 구됨

- 시공높이에 대한 제한 - 동절기시공 어려움 - 부등침하에 대한 대책필

요 검토

의견

과업대상인 토사사면의 토석류를 보호하기 위해 시공과 유지관리측면에서 유리하 며, 경제성도 양호한 게비온 옹벽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적용

안 ◎

표 3.22 옹벽 비교표

3.3.3 대책공법 검토결과

이나 사면보호, 흙막이 가시설, 영구벽체 등에 적용되며 토사 및 풍화가 심한 절토사면 의 보호가 목적이다.

붕괴사면 보강공법 2안의 경우 대단위 파괴가 우려되는 암반 사면 및 암반의 상태는 양호하나, 불연속면의 연속성으로 사면안정이 필요한 경우 필요하며, 절취사면의 보강 및 장기적인 측면에서의 안정성이 확보가 요구되는 경우 적합하다.

따라서 본 현장조사결과 붕괴사면의 경우 평면파괴(Plane Failure)가 일어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1안에 해당하는 쏘일네일링 + 녹생토 공법을 선택하여 검토하였고, 자연사면의 경우 상부구간은 쏘일네일링, 하부구간은 게비온 옹벽을 선택하여 검토하 였다.

나. 붕괴사면 보강공법 검토결과

길이 7m의 쏘일네일링을 사면의 수직면에 20°로 시공하였다고 가정(SD40, 지름 25mm, 허용인장강도 9.7ton, L=7m)하여 검토하였으며 기준안전율과 해석안전율을 비 교하여 쏘일네일링의 설치간격을 최적화 하였다.

안정해석결과 그림 3.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기시와 우기시 안전율이 각각 1.743과 1.283으로서 국토해양부(2012)의 “비탈면 설계기준”상의 기준안전율인 1.5와 1.2를 만족 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안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 보강 건기시 Fs=1.743 > 1.5 O.K (b) 보강 우기시 Fs=1.283 > 1.2

O.K

제 4 장 결 론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사례에 대한 토사사면의 특성을 분석하고 적절한 대책공법을 확 립하여 앞으로 이와 유사한 현장에서 발생하는 토사사면 붕괴에 관하여 안정성을 확보 하는데 활용될 수 있도록 보강대책방안을 수립, 제시하였으며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 과 같다.

1. 외관조사 결과 상당히 급경사로 이루어진 사면으로서 붕괴사면의 경우 폭 5∼10m , 수직고 68m, 깊이 0.5m의 토사량이 유실되었으며 유실된 총 토사량은 약 175m2 이고, 집중호우로 인해 느슨한 표토층이 유실되었고 붕괴사면의 경우 보수, 보강 이 필요한 상태이고, 자연사면의 경우 집중호우 및 지속적인 강우시 느슨한 표토 층의 유실 가능성이 있으며 토석류가 발생할 수 있는 사면 하부에 막사가 있으므 로 토석류 방지공법이 필요한 상태로 나타났다.

2. 조사 결과를 근거로 결정한 상태평가 등급은 붕괴사면의 경우 사면손상상태지수 + 사면파괴요인지수는 붕괴사면의 경우 F=0.67로 상태평가 “D등급”으로 평가되어 손상, 결함이 진전되고 파괴된 부분이 존재함으로 긴급한 보수, 보강이 필요한 것 으로 나타나고, 자연사면의 경우 F=0.39로 상태평가 “C등급”으로 나타났으며, 이 는 보통의 손상, 결함이 발생하였으나, 안전성에 지장은 없으며, 내구성, 기능저하 방지를 위하여 보수가 필요하거나 간단한 보강이 필요한 상태로 나타났다.

3. 사면보강 및 표면보호를 위한 보강방법으로 붕괴사면의 면을 정리하고 쏘일네일링 + 녹화공법을 통해 토사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자연사면 상부구간은 쏘일네 일링으로 보강하고 하부구간은 게비온 3단 옹벽을 설치하여 사면 붕괴시 토사가 막 사를 덮치는 것을 방지하는 방안이 시공성, 경제성, 안정성을 만족시키며 건기와 우 기 모두 기준안전율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현장사례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이와 유사한 토사사면 붕괴 현장에서 시 공성, 경제성, 안정성을 만족시키는 대책방안을 선정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참고문헌

1. OO사단 수색대대 정밀안전진단보고서 2. 국토해양부(2012), “도로설계편람”

3. 국토해양부(2012) “도로설계기준”

4. 국토해양부(2012) “비탈면 설계기준”

5. 김경석, 장현익, 유병옥(2007). “고속도로 토석류 조사와 특성분석” 대한토목학회 학술대 회, pp.759-762.

6. 김동현, 전계원, 전병희, 장창덕(2013). “수목식재 방법을 활용한 토석류 저감 공법 도입 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 pp.225-225

7. 김석우. 전근우, 김진학, 김민식, 김민석(2012). “2011년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발생특 성 분석”, 한국임학회지, Vol. 101. No.. 1. pp. 28-35

8. 김원영. 등(2000), “산사태 예측 및 방지기술연구”, 한국자원연구소., KR-00(T)-09.

9. 노세곤(2008), “대절토된 토취장 사면의 안정대책공법 사례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10. 시설관리공단(2012)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

11. 민경남, 유병옥, 홍정표, 전종헌, 이태선(2006), “무한사면에서의 사면붕괴와 보강대책 사례연구”, Tunnel & Underground Space, Vol. 16, pp.146-155.

12. 박남선(2008), 강원도 토석류 산사태의 특성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박상용(2010), “붕적토 절토사면의 보강대책 사례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14. 박종민, 마호섭, 강원석, 오경원, 박성학, 이성재(2010), “전라북도 지역의 산사태발생 특 성분석”, 농업생명과학연구, 44(4) : pp. 9-22.

15. 박철숙, 최우경, 윤제호, 진창훈(2010), “토사와 암석이 혼재된 복합사면의 안정대책 설 계 및 시공사례”, 대한지질공학회 봄학술대회, pp.51-57.

16. 백용, 김부생, 박경부, 김학준(2006), “토사재해 저감 대책방안을 위한 사례”, 한국지반 환경공학회 학술 발표논문, pp. 115-127

17. 서용석, 채병곤, 김원영, 송영석(2005).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사태물질 이동거리 산정”, 대한지질공학회, 15(2), pp.145-154.

18. 선준형(2012), “사면 파괴 형태에 따른 안정화”,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4): 435-445

20. 안종필, 김일구, 허홍균(2009). “토사사면의 안정성 평가방법에 관한 비교연구”, 대한토 목학회 학술대회, pp.890-893.

21. 양형열(2013), “붕적층 대절도사면의 설계 및 시공 사례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2. 유병옥, 송평현, 정찬규(2006), “강원 인제, 양양, 평창지역의 토석류 발생사례분석”, 한 국지반공학회 가을 학술발표회, pp.615-625.

23. 이수곤, 박지호, 김민성(2004). “토사와 암석 경계면의 산사태에 대한 지형특성 연구”, 한국임학회 학술발표회, pp.335-337.

24. 이창우, 윤호중, 김경하(2011), “우리나라 산사태 발생기준 우량 및 개선 방안검토”, 한 국임학학회지, pp. 604-606

25. 전계원, 장창덕, 김동현, 정욱교, 전병희(2014), “수목 뿌리모사모형을 이용한 토석류 재 해저감방법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 pp.250-250

26. 전근우, 송동근, 이진호, 김민식(2009), 2006년 강원도 평창지역 산사태지에 있어서 강 우, 식생 및 모암 특성과 산사태 발생, 한국임학회지, pp. 342-347

27. 정길철(2010), “산사태로 붕괴된 사면의 보강대책 사례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8. 정규원(2009), “경상북도 산사태의 발생특성 및 위험예측도 작성에 관한 연구”, 경북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9. 차두송, 지병윤, 전근우(2009), “집중호우에 의한 산사태와 임도의 관계 분석”, 한국임학 회지, pp. 343-344.

30. 최경(1986), “한국의 산사태 발생요인과 예지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 논문

31. 최경(2001), “한국의 산사태 발생현황과 발생원인”, 한국도시방재학회지 제1권 제3호, pp. 7-14.

32. 최두영, 백중철(2012). “한국 토석류의 이동거리 특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32(3B), pp.193-201.

33. Bieniawski, Z.T.(1989), “Engineering Rock Mass Classifications”, Wiley -Interscience, pp.100∼152.

34. Bishop, A.W.(1955), “The Use of the Slip Circle in the Stability Analysis of Slopes”, Geotechnique, Vol.5, No.1, pp.7∼17.

Edition, pp.150∼154, pp.199∼205, pp.343∼350.

36. Kim, D, Lee, S.H., Combalicer, E.A., Hong, Y. and SIm(2010), “Estimating soil reinforcement by tree rootsusing the perpendicular root reinforcement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Erosion Control Engineering 3(1): 80-84.

37. Lumb, P.(1975), “Slope failures in Hong Kong”, Quarterly Joumal of Engineering Geology & Hydrgeolgy 8 : 31-65

38. Markland, J.T.(1972), "A Useful Technique for Estimating the Stability of Rock Slopes When the Rigid Wedge Sliding Type of Failure is Expected", Imperial College Rock Mechanics Research Report, No.19, p.10.

39. Terzaghi, K.(1951), “Mechanism of Landslides, Harvard University“, Department of Engineering, pp.1∼41.

40. Van Dine, D, F(1985), “Debris Flows and Torrents in the Southern Canadian Cordillera”,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 Vol 22, No. 1, pp. 44-68

41. Varnes, D.J.(1978), “Slope Movement Types and Processes”, Transportation and Road Research Board, National Academy of Science, Washington D. C., pp.11∼33.

42. Yagi, N., and Yatabe, R.(1987), “Prediction model of slope failure in sandy soil due to rainfall, Proc”, 8th Asian Regional Conf.,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1, 217-220.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3-8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