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간척농지의 개발은 최소 10년 이상 장기간에 걸쳐 발전시켜나가는 것으로 농업용지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총 3단계의 단계별 개발로 접근한다.

◦ 농업용지의 특성을 감안하여 총 3단계의 단계별 개발로 접근한다.

- 1단계는 2015년까지로 방수제 공사가 완료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방수제 완공 전에 이용이 가능한 구역을 중심으로 개발한다.

- 2단계는 2016~2020년까지의 기간으로 방수제 완공 후 본격적인 내부개발이 이루어 지는 시기이다. 제염작업과 동시에 토지의 물리적·지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개발한다.

- 3단계는 2021년 이후의 시기로 3단계 전반과 후반으로 구분한다. 3단계 전반은 2021~2025년까지의 기간이고, 3단계 후반은 2025년 이후의 시기이다.

15 경주마(더러브렛) 생산농가의 평균규모는 대략 21ha정도이고, 승용마(한라마/제주마) 생산농가의 평균규모는 12ha로 조사되었다.

128 새만금 농업용지 미래 수요 분석 및 토지이용 연구

5.1 1단계 개발

◦ 1단계로 5공구 중 원예단지를 제외한 대규모농업회사 700ha, 첨단농업시험단지 170ha 와 1공구에 위치한 묘목장 300ha를 우선 개발한다.

- 농어업회사 육성사업의 효율적인 추진 등을 위하여 농업용지 중 우선 착공이 가능 한 5공구 지역을 우선 내부개발한다.

- 그리고, 새만금 농업용지의 본격적인 내부개발에 착수하기 이전에 주요 지역에 대 한 방풍림을 먼저 조성하여야 하고, 또한 향후 토지이용계획에 따른 조경 및 녹지조 성 사업 등에 필요한 묘목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묘목장을 우선 조성·운영하여야 한 다.

◦ 1단계 개발지역은 이미 노출되어 제염도 어느 정도 진행되어 있으므로 바로 활용이 가 능하다.

5.2 2단계 개발

◦ 2단계는 본격적인 내부개발이 이루어지는 시기로, 새만금 농업용지 토지이용계획(안) 중 1단계에서 기개발된 1,170ha와 3단계에서 개발될 원예단지 800ha(Agro-medcial 생 산단지 100ha 포함)를 제외한 6,660ha의 농업용지가 개발된다.

- 2단계 기간(2015~2020년)동안 원예단지는 첨단수출원예단지 652ha와 일반원예단지 903ha를 개발한다. 원예단지 중 첨단수출원예단지는 일시에 개발할 경우 임대가 어 렵고 공급과잉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국내외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매년 150~200ha씩 단계적 개발한다. 다만, 원예단지 중 미개발지역은 식량생산단지로 활 용하여 농지의 활용도를 높인다.

5.3 3단계 개발(2021년 이후)

◦ 3단계는 2025년을 기준으로 크게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눈다.

- 3단계 전반기에는 2020~2025년까지의 기간으로 생산기반 조성이 완료된 후 본격적 인 내부 토지이용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제염작업과 동시에 토지의 물리적·지리 적 특성을 바탕으로 개발한다. 이 시기에는 나머지 원예단지 800ha(첨단수출원예단 지 700ha, 일반원예단지 100ha)의 생산기반 시설 설치가 완료된다. 그리고 농산업클

제6장 용도별 토지이용방안 구상 129

러스터 단지에는 지원시설 및 전후방 연관산업이 설치되기 때문에 새만금 농업용지 내 생산단지(식량생산단지, 원예단지, 자연순환형 유기농업단지 등)의 수요와 연계 하여 발전에 필요한 시설 및 지원·협력체계와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 3단계는 정착단계인 2025년 이후의 시기로 새만금 농업용지 토지이용계획(안)이 완 성되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새만금 농업용지 토지이용계획뿐만 아니라 새만금 주 변에 도시계획도 어느 정도 확정될 것이라고 보고, 기존의 새만금 농업용지 토지이 용계획(안)과 새만금 주변 도시계획, 전북 혁신도시 조성 계획과 연계하여 새만금 농업용지의 Agropark 범위를 확장하여 물류센터와 국가식품클러스터, 혁신도시를 연결하는 지능형 농산업 물류 네트워크 구축한다.

C O N T E N T S

1. Agropark 사례

2. Agropark 유사 개념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