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환경자원 관리를 위한 양분수지지표 산출

문서에서 축산업 선진화 방안 연구 (페이지 127-131)

2. 14.지역단위 양분총량제 세부시행 방안

2.3. 농업환경자원 관리를 위한 양분수지지표 산출

○ 농경지의 양분투입과 산출량(작물의 양분흡수량과 해양배출량)

-시나리오별 양분수지지표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2005년에 개발한 지역양분산정시스템(RegionalNutrientsAccountingSystem,ReNAS)을 이용하여 산정하였음.각 시군의 최근 자료를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국가 통계자료를 기초로 이용한 것이므로 개략적인 양분수지지표로 볼 수 있음.보다 정확한 지표산출을 위해서는 가축분뇨처리비중(퇴비화,액 비화,정화처리,해양배출량),성분별 화학비료 및 유기질비료 사용량,경 지이용률 등의 세부자료가 필요함.

○ 2009년 기준 농경지의 양분수지 분석 결과

-농경지 186만ha에 투입되는 양분량(질소성분량 기준)은 화학비료로부터 26만 톤이 투입되고,가축분뇨로부터 11만 톤이 투입됨.이중 작물재배

표 5-12. 우리나라의 양분수지 구조(2009)

단위:%

구 분 질 소 인 산 계/평균

화학비료 투입량(톤) 262,000 102,000 364,000 가축분뇨 양분실제이용량(톤) 111,321 61,964 173,285 양분투입량(A) 373,321 163,964 537,285 양분반출량(B),톤 224,888 111,987 336,875 양분초과량(A-B),톤 148,433 51,977 200,410 단위면적당 양분반출량(C),kg/ha 120.3 59.9 180.2 단위면적당 화학비료 투입량,kg/ha 140.2 54.6 194.7 단위면적당 가축분뇨 양분실제이용량,kg/ha 59.6 33.2 92.7 단위면적당 양분투입량(D) 199.7 87.7 287.5 단위면적당 양분초과량(D-C),kg/ha 79.4 27.8 107.2 단위면적당 양분초과율(D-C)/C,% 66 46 59 주:특별시,광역시를 제외한 분석결과임.

를 통해 흡수되는 양은 22만 톤이고,나머지 15만 톤은 과잉양분으로 지 하수나 지표수를 오염시키는 엔트로피로 볼 수 있음.

-화학비료를 통해 투입되는 양이 이미 작물의 요구량 수준을 초과하고 있 어,농경지의 양분수지 측면에서 보면 화학비료 감축이 전제되지 않으면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통한 양분투입에 어려움이 있다고 볼 수 있음.

-농업생태계의 물질수지 측면에서 보면 축산부분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 4,370만톤 가운데 퇴비화와 액비화를 통한 자원화량 3,740만 톤이 농경 지에 살포되나,분뇨발생량의 대부분이 수입사료에 의존하는 농후사료를 기초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가축분뇨의 배출량을 국외로 수출(또는 북한의 농경지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안임.

축 산

감축하는 경우 양분초과율은 약 33% 정도로 추정됨.

표 5-14. 정화처리 10% 증가 시 질소 양분수지 산출 결과

단위:톤,kg/ha,%

작물양분 요구량(톤)

(A)

총양분 투입량(톤)

양분초과량 (B-A),(톤)

양분수지 (kg/ha)

양분초과율(%) (B-A)/A×100 (B) 화학비료

투입량

가축분뇨 투입량

베이스라인 224,888 377,408 262,000 115,408 152,520 81.6 68 정 화 처 리

10% 증가 224,888 365,867 262,000 103,867 140,979 75.4 63

○ 정화처리 10% 증가 시 질소 양분수지 산출결과

-정화처리 10% 증가 시 질소 양분 수지는 63%로 베이스라인 대비 약 5% 감축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됨.

문서에서 축산업 선진화 방안 연구 (페이지 127-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