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교육

문서에서 뉴질랜드의 농업과 농정개혁 (페이지 68-79)

3.1. 농업교육 정책방향

뉴질랜드의 농업교육 방향은 농산업 단체, 정부, 농업인, 교육·훈련자들이 농 업 인력육성 문제를 공동으로 대처하기 위해 만든 Human Capability in Agriculture & Horticulture(HC in AgHort)라는 연합기구의 전략 목적에 잘 나 타나 있다. HC in AgHort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 및 인력 정책의 전략적 목 적(strategic intent)은 “모든 농업·원예업이 성공에 필요한 모든 사람에게 접근 할 수 있도록 한다”에 두고 있다. 이를 위해 ① 농업·원예업에 일할 충분한 수 의 인력을 확보하고 ② 인력들이 변화를 기반으로 산업적, 개인적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하고 ③ 인적자원의 활용을 통해 경제적 활력, 사회적 이 익, 그리고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성취한다 등을 성과 기준(outcome framework)에 설정하고 있다.

그림 3-2. 뉴질랜드의 농업교육 정책 방향

자료: Kevin Bryant. 2007. Human Capability in Agriculture and Horticulture. Agriculture ITO.

HC in AgHort는 2002년 농업․원예 분야가 직면한 인적자원의 문제(공급, 개발, 유지)의 심각성을 공감한 산업계, 농업인, 교육․연구자들이 연합하여 만 든 농업 인력 육성관련 연합기구로 농업부 외에도 노동부(Dept. of Labor), 사 회 개발부(Min. of Social Development), Meat & Wool New Zealand, The New Zealand Fruitgrower Federation, Deer Industry New Zealand와 같은 농민단체, Dairy Insight, Dexel와 같은 산업체, The Agriculture ITO, The Tertiary Education Commission과 같은 교육․훈련관련 기구, 대학(Lincoln University, Massey University) 그리고 국영연구소(AgResearch) 등이 참여하고 있다. 그리 고 농업부의 지속가능농업기금(SFF: sustainable farming fund)과 정책개발조직 (MAF Policy)의 초기 추진에 필요한 자금지원 및 전문인력을 지원하고 참여기 관의 각종 사업추진 운영에 필요한 재정 및 인력을 지원하고 있다. 이 기구의 활동은 다음과 같다.

․농업․원예업 분야의 다양한 진로에 대한 홍보

․농업․원예업 분야 발전 방향 개발․검토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우수사례의 보급을 위한 훈련 모듈 개발 및 인적자원의 역량 개발과 관련 연구 수행

․평생학습 촉진

․미래 인력 수요 및 인력에게 필요한 기술 전망에 대한 연구

․농업․원예업 관련 내용의 학교 교육과정에의 반영

3.2. 농업교육체제

뉴질랜드 농업교육은 의무교육 이후 11학년부터 시작된다. 직업교육으로의 농업교육은 농업고등학교를 통해 National Certificate in Agriculture (Level 2) 를 취득하는 교육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일반고등학교에 다니는 학생들 은 과학과목의 일환으로 Agricultural Science, Horticultural Science 등의 농업 교과를 이수할 수 있는데 이는 대학입학 자격 취득에 필요한 학점에 포함된다.

중등 이후 성인들에 대한 농업교육은 농업전문학교, 폴리텍(Polytech), 농업 Nelson Marlborough Institute of Technology ○ ○

Northland Polytech ○

Tairawhiti Polytech ○ ○ ○ ○

Telford Rural Polytech ○ ○ ○ ○ ○ ○

The Open Polytech of New Zealand ○ ○ ○

Waiariki Institute of Technology ○ ○

NZITO: Meat Industry Training ○ ○ ○ ○

NZHITO: Horticulture Industry Training ○ ○ ○

Agriculture ITO ○ ○ ○

Massey University와 Lincoln University와 같은 농업계 종합대학은 연구 및 산업 인력 양성을 위한 농업학사 학위(Agriculture Degree) 코스 이외에도 농업 인들을 위한 전문학사학위(Agricultural Diploma)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전문학 사과정은 학부 3~4학년 과정을 핵심적으로 1년 동안 이수하도록 한 것으로 통 신교육과정(Extramural)을 통해서도 이수할 수 있다. 이 경우 2년 정도 소요되 며 Level 7에 해당하는 자격을 부여한다. 이외에도 학위없이 이수 가능한 농업 인 단기 경영 프로그램도 제공한다.

3.3. 농업자격제도

뉴질랜드의 모든 교육․훈련은 자격제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데 중등 단계부터 학교에서 획득한 학위와 사회 교육․훈련기관에서 이수한 장단기 프 로그램이 자격과 연계된다. 뉴질랜드국가자격체제(NQF: National Qualification Framework)는 국가가 인정한 일관성 있는 직무능력표준과 자격을 관리하고 모 든 형태의 학습결과에 대한 인정과 이에 상응하는 학점(credit)을 부여한다. 국 가에서 통용되는 모든 국가 자격(National Certificate), 국가 학위(National Diploma)들은 모두 뉴질랜드국가자격체제(NQF)에 등록되며 교육․훈련기관 이 운영하는 민간 자격 등도 모두 이 틀 안에 등록된다.

뉴질랜드국가자격체제에 따른 모든 학습자의 학습결과는 ‘학습기록(ROL:

Record of Learning)’ 체제에 의해 관리된다. 학습자가 뉴질랜드국가자격체제 의 교육 ·훈련에 등록할 때 그들의 상세 인적사항과 등록수수료를 국가자격관 리(NZQA: New Zealand Qualifications Authority)16에 제출하면 뉴질랜드국가 자격체제에 등록된 학습자가 되고 고유 ID번호를 부여받는다. 학습자는 장기 간에 걸쳐 자격을 취득할 때까지 뉴질랜드국가자격체제에 학습기록을 통해 학 점을 축적할 수 있다.

16 농업을 포함한 각 산업분야의 자격을 관리(자격코스를 제공하는 기관을 인증 및 등록하고, 국가 자격시스템을 관리)하는 우리나라의 산업인력공단과 같은 기구이다.

그림 3-3. 학습 기록(Record of Learning) 예

교육․훈련 제공자 역시 인터넷을 통해 학습자들의 단위 표준에 대한 결과 를 알아볼 수 있으며 인터넷 정보는 통상적으로 2주마다 한번씩 갱신된다. 학 습자가 국가자격이나 학위과정을 완수하고 국가자격관리(NZQA)에 수기로 작 성한 양식을 통보하면 이 기록이 학습기록에 등록된다. 학습기록은 뉴질랜드의 교육·훈련 제공자, 고용주, 노동조합, 전문직 단체에 의해 보증되고 지원되는 국가적 데이터베이스로 영국, 유럽, 남아프리카공화국, 호주, 북미 지역에서도 호환되고 있다.

뉴질랜드국가자격체제(NQF)는 거의 모든 직무와 학습의 범위를 망라하는 국가 자격과 학위가 존재하는데 17개 대영역(Field)하에 204개 중영역(sub- field), 중영역하에 세부 직무영역(domain), 직무영역하에 단위 직무능력표준 (unit standard)의 4단계로 구성된다. 2007년 현재 17,056개의 단위 직무능력표 준이 존재하며 각 표준에는 필요한 학습성과에 대한 내용, 뉴질랜드국가자격체 제(NQF)의 해당 Level 및 이수에 필요한 학점, 이수해야 할 필수‧선택과목이 기술되어 있고 이는 각 산업계에서 보증한 것이다.

그림 3-4. 뉴질랜드 국가자격체제(NQF)의 영역 분류

대영역

중영역

직무 영역

직무 능력 표준

그림 3-5. NQF 자격분류 사례 기술(Farming Skill)은 ‘영농기술 국가인증’(National Certifate in Farming Skill) 이라는 자격을 형성하는가 하면 아래와 같이 세부직무영역 여러 개가 합쳐서

표 3-2. 뉴질랜드 국가인증 수준별 명칭과 이수 조건 Bachelors Degres with

Honours

5 Diplomas & Certificates

4단계 이상에 해당되는 학점 중 최소 120

4

농민주주회사 제스프리(ZESPRI)의 성공요인과 시사점

1. 키위 산업 현황

1.1. 세계 키위 산업

세계에서 키위의 주요 생산국은 이탈리아, 뉴질랜드, 칠레이며, 이들 3개국 을 포함한 세계의 키위 총생산량은 2004년 881,693톤이다. 1970년 2,000톤에 비해 약 30년 동안 무려 440배 증가하였다. 2004년 기준으로 단위 면적당 생산 량은 뉴질랜드가 가장 높다. 뉴질랜드는 ha당 24.6톤, 이탈리아는 18.2톤, 우리 나라는 12톤이다. 뉴질랜드의 키위 생산량은 전세계 생산량의 30%를 차지하며 우리나라는 약 1% 정도이다.

표 4-1. 세계 주요국 키위 재배면적 동향

단위: ha, 톤, %

구분 재배면적 생산량 수출량 수출 비중

이탈리아 20,000 365,000 259,004 71

뉴질랜드 10,580 260,080 238,209 92

칠레 7,800 130,000 110,529 85

프랑스 4,464 76,336 30,399 40

그리스 4,400 40,000 16,498 41

한국 860 10,277

-출처: http://www.fao.org(2004)

2.2. 뉴질랜드 키위 산업

뉴질랜드의 키위 재배면적은 도입 이후 증가하다가 1990년을 정점으로 감소 추세에 있다. 뉴질랜드는 북섬과 남섬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키위 재배면적은 북섬이 전체 면적의 95%를 차지한다. 전체 생산량의 77%가 북섬의 플렌티만 (Bay of Plenty) 지역에서, 나머지는 와이카토(Waikato), 웰링턴(Wellington), 오 클랜드(Auckland) 등에서 생산된다. 생산량은 1990년부터 2006년 사이에 재배 면적이 35%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단위면적당 수확량이 증가하여 생산량이 28만톤에서 32만톤으로 증가하였다.

표 4-2. 뉴질랜드 키위 생산 현황

단위: ha, kg/ha, 톤

연도 재배면적 단수 생산량

1990 17,508 17,508 280,000

1995 11,873 18,782 223,000

2004 10,580 22,489 237,935

2006 11,464 27,558 315,907

출처: http://www.maf.govt.nz

키위 산업은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호황’을 누렸고, 판매가 격이 높아 많은 농가들이 키위 재배에 참여하였다. 이 기간 동안 뉴질랜드의 키위 식재면적도 10년 만에 2천ha에서 1만 9천ha로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같 은 기간 동안 생산량도 9천톤에서 20만 3천톤으로 20배 이상 증가하였다. 그러 나 생산량이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공급 초과 현상이 발생하였고, 1987년부터 키위 가격이 급락하였다. 이에 생산성이 낮거나 수익이 적었던 농가들이 이탈 하기 시작하여 1987~97년 동안 키위 식재면적이 약 45% 감소하였다. 그러나 단위 면적당 수확량이 지속적으로 크게 증가하여 이 기간 동안 생산량은 오히 려 20% 증가하였다.

1997년 이후 뉴질랜드는 키위를 브랜드화하고 차별화가 가능한 상품으로 개 발하는 데 주력함과 동시에 수요 측면을 면밀하게 살핌으로써 수급 균형을 맞 추어 나갔다. 1997년 이후 생산면적은 약 14% 증가하였고, 생산량도 2007년 34만톤까지 약 40% 증가하였다. 전세계 시장에서 경쟁이 심화되는 여건 변화 에 대응하여 뉴질랜드 키위 산업은 단수를 획기적으로 늘렸다. 오늘날 단위 면 적당 수확량은 칠레나 이탈리아보다 50~55%나 높다. 또한 뉴질랜드 키위 농가 의 수익은 통상적으로 칠레 농가들보다 60~100%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수출량은 1995년 이후 계속 증가하여 2006년 28만8천 톤이며, 이는 생산량 의 91% 수준이다.

표 4-3. 뉴질랜드 키위 수출입 동향

단위: 톤, 천 달러

연도 수입 수출

수입량 수입액 수출량 수출액

1990 0 0 237,474 316,508

1995 0 0 173,254 203,094

2000 182 208 249,509 268,427

2003 1,081 1,696 238,209 286,092

2006 - - 288,216 699,000

출처: http://www.maf.govt.nz

문서에서 뉴질랜드의 농업과 농정개혁 (페이지 68-7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