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림수산부문의 에너지사용량 및 온실가스 배출특성 분석

3.1. 농림수산부문의 에너지 사용량

◦ 농림수산식품산업의 에너지 사용량 특성

- 시설채소 온실면적 중 가온면적이 차지하는 비중은 20~30% 가량이며, 이 중 90% 이상에서 유류를 이용하여 가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10년에는 고체연료, 지열 등의 사용 증가로 88.2%로 감소한 것 으로 나타났다.

표 2-4. 시설채소 가온방법별 온실현황

단위: ha

구분 2001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가온면적계 10,001 9,975 9,951 10,210 10,631 11,955 12,951

고체 370 529 591 666 671 747 931

유류 9,628 9,430 9,346 9,495 8,506 11,114 11,418

가스 3 15 16 26 1,518 32 15

전기 - - - 475

지열 - - - 112

자료: 시설채소 온실현황 및 채소류 생산실적 각 년도.

- 어업용 면세유의 공급량은 감소추세이나, 유가상승으로 인해 공급액은 증가추세로 나타났다.

표 2-5. 어업용 면세유 공급실적

단위: 천드럼, 억원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공급량 7,738 7,316 7,007 6,391 6,318 6,266 4,843 5,611 공급액 4,351 4,481 5,228 5,862 6,146 6,355 7,665 6,723 면세액 5,483 6,395 6,326 6,564 7,092 7,542 5,816 7,522

자료: 농림수산식품 주요통계 각 년도.

- 국내에서 사용되는 화학비료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고, 화학비료 소비량 가운데 질소질 비료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2-6. 화학비료 소비량

단위: 천톤 구분 1970 1980 2000 2005 2006 2007 2008 2009

계 536 828 801 722 478 631 570 500

질소 356 448 423 354 244 335 302 262

인산 124 196 171 162 102 129 115 102

가리 83 184 207 206 131 167 153 136

자료: 농림수산식품 주요통계 각 년도.

3.2. 농림수산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 농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1990년 22,686천톤(CO2-eq.)에서 1997년 23,911천톤(CO2-eq.)을 정점으로 약간 증가했으나 1998년부터는 조금씩 감 소하여 2009년에는 19,767천톤(CO2-eq.)을 배출하였다.

- 2009년 농업부문 총배출량은 1990년을 기준으로 12.9% 감소하였고, 2005년을 기준으로는 2.4% 감소하였다.

- 경종부문 전체 배출량은 1990년 17,176천톤(CO2-eq.)에서 2009년 12,128 천톤(CO2-eq.)으로 약 29.4% 감소하였으며, 이 결과는 작물재배면적 감 소와 화학비료 사용량 감소에 기인한다.

- 경종부문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의 대부분은 벼 재배에 의한 CH4 배출량과 화학비료나 축산분뇨의 농경지 투입에 의한 N2O배출량이 대부분을 차지 하며, 잔사소각에 의한 배출량은 전체 배출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축산부문의 경우 2009년 배출량(7,639천톤 CO2-eq.)은 1990년(5,510천톤 CO2-eq.)을 기준으로 33.1% 증가하였고, 2005년을 기준으로는 17.2% 증 가하였다.

그림 2-7. 농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단위: 백만CO₂t

주: : 벼 경작, : 농경지, : 잔사소각, : 장내발효, : 가축분뇨 관리

자료: 농촌진흥청(2011)

◦ 2009년 벼 재배면적은 93만ha, 한육우 사육두수는 2,422천두에 달한다.

◦ 2009년 우리나라 경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결과, 메탄을 배출하는 벼 경작에서 상시담수와 간단관개를 통해 총 6,182천톤(CO2-eq.)의 온실가스가 배출되었다. 아산화질소를 배출하는 농경지 토양에서는 화학비료, 축산퇴비, 콩과작물, 잔사환원 등을 통해 총 2,636천톤(CO2-eq.)의 온실가스가 배출된 다. 메탄과 아산화질소 모두를 배출하는 잔사소각을 통해 총 77천톤(CO2-eq.) 의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 축산부문 2009년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결과, 메탄을 배출하는 장내발효에서 총 3,8482천톤(CO2-eq.)의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메탄과 아산화질소 모두를 배출하는 가축분뇨처리로부터 총 2,590천톤(CO2-eq.)의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표 2-7. 우리나라 농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2009) 평가 결과

3.3. 농림수산부문의 탄소생산성

◦ 농업부문과 비농업부문의 탄소생산성 비교 분석

- 탄소생산성(carbon productivity)은 GDP(또는 부가가치)와 온실가스 배출 량의 비율로 산정한다(McKinsey, 2008). 탄소생산성은 경제성장과 온실 가스 감축 정도인 녹색생산성을 비교·평가할 수 있는 녹색성장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 탄소생산성 변화율 추이를 보면 제조업·건설업부문의 경우 온실가스 배 출량과 GDP 증가로 탄소생산성이 1990년 1.4로부터 2000년까지 약 1.2~

1.4 수준이었으나, 2001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여 2007년 1.9를 기록하였다.

- 농업부문 탄소생산성은 1990년 1.4로 시작하여 1991~1999년까지 1.0수 준으로 감소했다가 다시 반전되어 2000년 1.2, 2007년 1.4로 지속적인 증 가세를 보였다. 경종부문의 탄소생산성은 1991년 0.9를 시작으로 느린 속도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2000년 1.1에서 2007년 1.2까지 증가하 고 있다. 축산부문의 탄소생산성은 1990년 0.5, 2000년 0.9, 2007년 1.0까 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00년을 기준시점으로 부문별 탄소생산성 변화 추세를 비교하면 제조 업과 건설업의 2000년 이후 배출량, GDP, 탄소생산성 변화율은 지속적 으로 증가해왔다. 제조업 및 건설업의 경우 2000년 대비 2007년의 GDP 는 51% 증가하였고, 온실가스 배출량은 12.8% 증가하여 탄소생산성은 33.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농업부문의 탄소생산성 변화율은 2000년 이후 지속적인 온실가스 배출 량 감소와 축산부문의 GDP 성장에 힘입어 지속적인 증가 추세이다. 농 업부문의 경우 2000년 대비 2007년의 GDP는 9.6% 증가, 온실가스 배출 량은 2.9% 감소, 탄소생산성은 12.9% 증가하였다. 농업부문 온실가스 감 소는 논 경지면적 감소와 그에 따른 화학비료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판 단된다.

그림 2-8. 제조업 및 건설업의 탄소생산성 변화율 추이(2000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