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공단지 입주기업의 기업지원사업 수요

○ 한국산업단지공단(2009)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농공단지 입주기업의 지 원사업 수요를 파악함.

- 단지고도화 지원서비스, 시장창출 지원서비스, 기업역량강화 지원서비 스의 3개 분야 24개 지원사업의 수요를 조사

- 기업지원사업 수요는 중복응답을 허용한 결과로, 비율에 따른 사업의 우선순위 파악이 가능

○ 수요가 매우 높은 기업지원사업은 인력양성, 마케팅, 단지 내 편의시설 구 축사업인 것으로 나타남.

- 1위 인력양성사업(생산․기능직), 2위 네트워킹(공동마케팅 지원사업), 3위 개별기업의 마케팅 지원, 4위 단지 내 편의시설 구축

○ 그 다음으로 기업 수요가 높은 지원사업은 전담센터 구축, 현장 맞춤형 기술개발사업, 단지 접근성 개선사업(교통, 통신 등), 단지시설 정비사업 이 해당함.

○ 비교적 기업 수요가 높은 지원사업은 국내외 맞춤형기술(제품) 정보제공 지원사업, 현장맞춤형 교육훈련사업, 회계, 법률 등 경영지원, 인력양성사 업(연구․기술직 등), 지역 및 산업연계 공통장비 구축사업임.

○ 그 외에 시제품 제작, CEO 혁신프로그램 참여 지원, 멘토(코디네이터) 지 원, 기술사업화, 제품 및 포장 디자인 지원 등 다양한 지원 사업이 도출되 었음.

분야별 지원사업 내용 비율

농공단지의 활성화 방향 및 육성전략

1. 농공단지의 발전 여건 및 특성 검토

1.1. 농공단지의 새로운 발전 여건

□ 국가 신성장 동력과 연계한 농공단지의 새로운 발전모델 구축

○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 이라는 패러다임 위에서 국가기반산업의 고부 가가치화를 달성하고 융합형 신성장 동력을 발굴하여 산업구조를 선진국 형으로 빠르게 전환하고자 다양한 시책을 발굴하여 추진하고 있음.

- 정부는 ‘신성장 동력 전략기술지도’에서 연 7% 성장능력을 갖추고 이른 시일안에 국민소득 4만 불을 달성하여 선진국형 산업구조로 전환하는데 핵심이 되는 신성장 동력으로, 녹색기술산업 6개 분야, 첨단융합산업 6 개 분야, 고부가 서비스산업 1개 분야를 제시

○ 농공단지도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국가의 발전 비전을 적극적으로 수 용하여 농공단지에 맞는 새로운 위상과 역할을 정립하고, 그동안 미흡하 였던 농공단지의 새로운 ‘그린 신성장 동력’을 발굴할 중요한 시기임.

□ 광역경제권 차원에서 농공단지의 새로운 위상 정립 필요

○ 정부는 기존 국가 균형발전정책을 발전시켜 지역 간 상생발전을 통한 국 제 경쟁력 확보라는 새로운 지역정책의 틀을 마련하였음.

○ 도농통합을 넘어 기초지자체 구조 개편에 관한 새로운 논의를 시작하고 있어 도시와 도시를 연계하는 농촌지역에 대한 새로운 역할이 기대됨.

- 전국을 5대 광역경제권과 2대 특별광역경제권으로 묶어 광역경제권 단 위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추구하는 ‘창조적 광역발전전략’을 제시 - 지식경제부는 광역경제권 중심의 새로운 지역산업정책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역산업진흥사업을 5+2 광역권 체제로 개편하고 새로 운 추진체제를 준비

□ 농공단지의 새로운 위상과 역할 모색이 긴요

○ 농공단지는 지역적, 산업적 분절 속에서 근원적 발전 동력을 찾지 못하고 대부분 성장이 정체된 형태를 보이고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패 러다임 도입이 시급함.

○ 농어촌지역에 농어민 소득증대를 위한 산업을 유치․육성하기 위한 공간 으로 한정한 농공단지의 기능을 도․농 또는 도시 사이의 상생발전과 융 합을 통한 산업적 성과 확산의 거점 육성이 요구됨.

○ 국가 균형 측면에서 낙후지역에 산업집적지 공급이 강조된 현행 농공단지 정책에서 국가 신성장 동력과 연계와 기반산업과 역할분담을 고려하여 도․농 간 상생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성장동력 발굴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음.

○ 농촌지역의 유휴면적과 발전가능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획일적으로 제한 한 농공단지 지정면적기준을 완화하여 기존 농촌을 녹색 신성장(신활력) 지역이라는 관점으로 도․농 상생발전의 패러다임을 담은 도시계획을 정 비할 필요가 있음.

1.2. 농공단지의 특성 검토

8

□ 농공단지의 특성평가를 위한 변수 설정

○ 농공단지 유형화 및 육성전략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한국산업단지공단 (2009)의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농공단지 특성을 검토함.

○ 위 연구에서는 농공단지의 특성변수로 단지 규모, 성장성, 생산성, 특화도, 지역산업정책과 부합성, 주변 산단과의 연계 가능성, 지역 내 연계 정도, 광역 연계 정도, 해외 연계 정도, 입지 여건을 선정하였음(<표 4-1> 참조).

8 본 절은 한국산업단지공단(2009),「농공단지 실태조사 분석 및 정책지원방안 연구」의 연 구결과를 토대로 작성함.

특성변수 사용 지표

단위: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