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1절 나눔활동의 정의와 변화 1. 나눔의 정의

2. 나눔의 변화와 범위

-전통사회에서 나눔 또는 자선은 마을 단위에서 개인이 개인에게 직접 현금이나 물품, 용역 을 제공하는 형태, 또는 부유한 개인이 지역사회에 필요한 것을 직접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마을에서 어떤 집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누구 인지, 마을에 필요한 사항이 무엇인지를 마을 사람들이 서로 알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 다. 한편 전통 농경사회에서는 집집마다 수확한 과일이나 채소, 고기류를 한 가구에서 일 시에 다 소비하기 힘들었고 저장도 어려웠기 때문에 이웃들 간에 서로 나누었다. 그리고 서로 품앗이를 하면서 용역을 나누었는데, 이는 자선 차원이 아니라 농경사회의 합리적 생활방식으로 나눔문화가 작동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도시화가 되고,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개인 대 개인, 개인 대 지역사회의 나눔 방식이 종교 단체나 자선단체를 매개로 하는 간접방식으로 바뀌기 시작하였다고 할 수 있다. 도시의 경우 개인주의적 생활양식과 익명성, 잦은 이동성으로 주민 상호 간에 어느 집이 도움이 필요한지 알기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도시 빈곤층의 수가 크게 늘어나 개인 차원에서 직 접 이들에게 도움을 주는 것도 여의치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도시화 초기단계의 나눔은 종교단체나 빈민구호단체를 중심으로 개인이 금품을 기부하는 나눔활동이 주를 이 루었다고 할 수 있다.

-194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국가가 전 국민의 최저생활을 보장하는 복지국가 개념이 유 럽을 중심으로 도입되면서 빈민구호를 위한 개인차원의 나눔활동은 그 의미가 퇴색되었 다. 그러나 1980년대 들어서 세계경제 침체로 복지국가가 재정위기에 처하고, 신자유주의 여파로 실업자 증가와 소득 양극화가 심화됨에 따라 시민사회 차원에서 이러한 사회문제 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이런 움직임 속에서 민간차원의 자발적 나눔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의의가 커지고 있다. 이와 함께 나눔의 방식과 범위도 다양해지고 광역화되 고 있다.

12 나눔문화 확산을 위한 서울시 실천전략

제2장 나눔활동의 진화와 의의 13 로 간주하는데, venture philanthropy로 일컬어진다(John Rob, 2006).

-나눔을 위해 사용하는 수단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나눔 매개단체를 직접 방문해 금품을

14 나눔문화 확산을 위한 서울시 실천전략

니라 나눔을 실천한 개인도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나눔의 공간적 범위 또한 지역사회에서 국가, 전 지구적 차원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유니 세프(UNICEF), 월드 비전(World Vision)처럼 전 지구적 차원에서 나눔을 매개하는 국제단 체들도 늘어나고 있다.

-전통 농경사회에서 도시산업사회로 그리고 복지국가의 출현과 위기, 지식정보사회로 사회 가 변함에 따라 나눔의 의미도 변하고, 나눔의 방식도 다양해지고, 나눔의 공간적 범위도 지역사회에서 전 지구적 차원으로 광역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2-1>은 나눔의 흐름을 간략하게 도식화한 것이다. 개인이 개인이나 지역사회로 직 접 나누는 것은 현재에도 일어나는 나눔의 흐름이기는 하나, 전통사회에서 주로 이루어진 나눔의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제도적 차원을 벗어나 이루어지므로 공식적으로 나눔 참여자나 나눔의 양을 파악하기 힘들다. 최근에는 개인이나 기업이 비영리조직이나 사회적기업을 매개로 나눔을 실천하는 것이 추세이다. 이 경우에는 대부분 제도적 차원에 서 나눔이 이루어지는 만큼, 나눔 참여자나 나눔의 양을 파악하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그림 2-1> 나눔활동의 흐름

제2장 나눔활동의 진화와 의의 15

제2절 나눔의 동기와 기대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