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초통계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1-35)

본 분석에 앞서 독립변인 간의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진단하기 위해 공차한계가 0.1 이하이거나 VIF 계수가 4-5 이상으로 나타나면 다중공선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하게 된다. 또한, Durbin-Watson 지수는 2에 가까울수록 독립적이고, 0이나 4에 가까울수록 자기상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다중공선성을 확인한 결과, 모든 독립변인에 서 공차한계는 .886-.1.000, VIF 계수 1.000-1.129, Durbin_Watson 지수가 1.843으로 나 타났다. 이같이 독립성 가정이 충족되므로 이후 분석을 진행하였다.

1. 인구 통계학적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표 4>와 같다. 성별의 경우 여자는 70.3%고, 남자는 29.8% 순으로 여학생이 더 많았고, 연령의 경우에는 20세 이 하가 46.4%, 21~23세가 43.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년의 경우에는 1학년이 27.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2학년이 27.3%, 3학년이 24.8%, 4학년 이상이 20.5%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공의 경우에는 공학계열이 26.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인문·사회계열이 25.8%, 자연계열이 13.5%, 의·치·약·간호계열이 11.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요인 구분 N(%)

성별 남 119(29.8%)

여 281(70.3%)

학년

1학년 110(27.5%)

2학년 109(27.3%)

3학년 99(24.8%)

4학년 82(20.5%)

전공

인문·사회계열 103(25.8%)

사범계열 33(8.3%)

공학계열 106(26.5%)

자연계열 54(13.5%)

의·치·약·간호계열 45(11.3%)

예체능계열 4(1.0%)

외국어계열 1(0.3%)

경상계열 33(8.3%)

기타 21(5.3%)

<표 4>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N=400)

2. 주요 변인의 기술 통계

사회적지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및 진로탄력성의 기술통계치를 분석하여 <표 5>에 제시하였다. 먼저,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은 정규분포를 가정하고 있으므로 정규성 을 검토하기 위해 왜도와 첨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자료의 왜도와 첨도는 각각 2이 하, 7이하로 표본의 정상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West, Finch, & Curran, 1995).

변인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정서지지 4.20 .60 -.38 -.41

정보지지 4.11 .62 -.31 -.38

물질지지 4.04 .67 -.40 -.04

평가지지 4.14 .61 -.20 -.69

사회적지지 4.12 .57 -.20 -.54

TU1 3.08 .88 .13 -.48

TU2 3.31 .91 -.15 -.60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3.20 .86 .03 -.52

자기신뢰 3.74 .67 -.14 -.18

성취열망 3.79 .57 -.01 -.29

진로자립 3.79 .58 .07 -.08

변화대처 3.25 .60 .20 .90

관계활용 3.96 .63 -.04 -.63

진로탄력성 3.70 .49 .30 -.09

<표 5> 주요 변인의 평균 및 표준편차 (N=400)

p < .01

3. 주요 변인의 상관관계

본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 진로탄력성,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 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사회적 지지와 진로탄력성(r=.628, p<.01), 사회적 지지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r=.338, p<.01),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 력과 진로탄력성(r=.465, p<.01) 모두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각 변인의 하위요인들 간 에도 모두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그 결과는 다음 <표 6>과 같다.

<표 6> 주요 변인들과의 상관분석 결과 (N=400)  연구변인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 정서지지 1

2 정보지지 .791** 1 3 물질지지 .727** .768** 1 4 평가지지 .850** .834**.758** 1 5 사회적지지

전체 .922

** .922**.888**.936** 1

6 TU1 .298** .284**.290**.291** .318** 1

7 TU2 .320** .297**.289**.296** .328**.826** 1

8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전체

.324** .304**.303**.307** .338**.954** .957** 1

9 자기신뢰 .538** .550**.515**.576** .593**.433** .478** .477** 1 10 성취열망 .432** .451**.425**.458** .481**.285** .284** .298**.660** 1 11 진로자립 .402** .404**.431**.440** .457**.290** .323** .321**.633** .736** 1 12 변화대처 .298** .354**.597**.348** .352**.383** .343** .380**.535** .377**.451** 1 13 관계활용 .590** .573**.487**.550** .600**.292** .393** .359**.568** .520**.538**.393** 1

14 진로탄력성 전체 .573

** .590**.544**.600** .628**.426** .462** .465**.861** .821**.838**.693**.764** 1

p < .01

B.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1-3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