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4.1 원예단지는 수출농업단지로 특화하여 내수 농업과 차별화

◦ 정부에서는 시설원예산업을 미래농업 선도 주체로 집중하여 육성하고 2020년까지 수 출 10억달러, 생산액 9조 원 시장으로 키워나갈 계획이다.

◦ 하지만, 우리 농업을 수출농업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보다 혁신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기존에 생산한 농산물의 잉여분을 수출한다는 전략으로는 수출증대를 촉진하기 어렵 다. 수출만을 목적으로 하여 첨단유리온실단지를 조성하고, 수출경쟁력의 요소들을 보 완하여야만 수출농업이 가능하다.

- 하지만 수출이 어려울 때 내수시장 진입으로 국내시장을 교란할 우려가 있기 때문 에 사업계획서 평가 및 생산농가를 모집할 때 기존 농가를 우대하여 간척지를 중심 으로 규모화되고, 단지화한 첨단유리온실단지를 대체조성하도록 하고, 국내 시장 교 란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사업협약 등을 체결할 필요가 있다.

◦ 새만금 농업용지 내 수출농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수출선도 조직을 육성하고 대규모 첨 단 유리온실 단지 및 원예전문 생산단지를 조성하여 수출 공급기지로 활용한다.

- 규모화를 통해 연중 생산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한다.

- 시장조사, 컨설팅, 유통, 물류, 수출전문조직, 인력, 자재 등을 포함한 수출농업의 종 합적 지원을 강화한다.

4.2 첨단농업시험단지는 서남해안 간척지농업의 메카로 육성

◦ 10년 내 새만금 간척지뿐만 아니라 농업목적 간척지 3만ha 정도가 완공될 예정이다.

제5장 새만금 농업용지 개발 방향 재설정 95

간척지는 농업의 발전과 식량안보를 위하여 조성된 자원이다. 다른 농지보다 농업생산 에 유리한 농지이어서 농업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중요하므로 농업적 활용을 극대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 간척지의 농업적 활용도를 제고하고, 간척지를 우리 농업의 미래 발전기회를 찾을 수 있는 공간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제염, 비점오염 및 다양한 작목 재배를 위한 선행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 기존 첨단농업시험단지는 고소득농업, 선진농업, 첨단과학농업 등 간척지 내 작물 중심 으로 기능이 설정되었다.

- 고소득농업 : 시설원예, 과수, 밭작물, 수도작, 조사료

- 선진농업 : 묘목, 바이오 및 경관작물, 약용작물 및 염생식물 등

- 첨단과학농업 : 첨단과학벤처 농업연구, 농업기계, 간척지 탄소관리 등

◦ 하지만, 첨단농업시험단지는 기존의 새만금 지역에 한정된 작물 중심의 간척지연구 기 능보다는 규모화되고 체계화된 시험단지로 조성되어져야 한다. 이에 따라 기존 연구기 능에서 더 나아가 현 농업의 미래비전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 따라서 시험연구 외에 간척지 생태환경, 경관을 활용한 관광, 휴식공간 제공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접근이 요구되며 규모화되고 체계화된 시험단지로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4.3 자연순환형 유기농업단지는 주변 농업단지와 연계 운영

◦ 기존 자연순환형 유기농업단지는 폐쇄형 단지로 내부적인 관리와 통제가 가능하기 때 문에 상대적으로 개방형보다 운영관리가 쉬울 수 있다.

- 하지만 Agropark 개념의 핵심 중 하나인 에너지 순환을 위한 바이오가스 시설은 우 분보다는 돈분이 유리하고, 또한 조사료 생산을 위하여 내부에서 발생하는 우분만 을 이용하게 되면 영양공급면에 있어서 질소와 인산의 균형을 맞추기 어렵다는 단 점이 있다.

◦ 따라서 새만금 농업용지 내 자연순환형 유기농업단지를 운영하는 데 있어 경제적인 효 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방형 자연순환 농업을 실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 새만금 토지이용계획 중 자연순환형 유기농업단지 인근에는 대규모 농업회사나 원 예단지 등이 도입될 예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주변을 고려하면 지구 내 절대적인 순

96 새만금 농업용지 미래 수요 분석 및 토지이용 연구

환형 농업을 도입하는 것은 경제적으로나 기술적으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아직 구 체적인 작목이나 영농방식이 결정되지 않았지만 개괄적으로 주변 농업단지와 연계 를 한 운영방식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 또한, 대규모농업회사에서도 축산과 바이오가스 시설을 운영할 계획이 있다면 규모 의 경제 차원에서 바이오 가스시설은 통합하여 운영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일 수가 있다. 따라서 인근 지역과의 성공적인 연계를 위해서는 새만금 농업단지 전체를 종 합 관리하는 관리주체가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C O N T E N T S

1. Agropark 개념을 도입한 농업단지 기본구상 2. 새만금 농업용지 토지이용계획 보완(안) 제시 3. 기존단지의 개발전략 및 주요기능

4. 신규도입 단지 5. 단계적 개발 방안

6

용도별 토지이용방안 구상

제6장 용도별 토지이용방안 구상 99 Aquaculture(수산양식) 270ha와 농업지원시설 810ha 등을 배분하였다.

- 각 면적은 토마토, 우유,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및 버섯재배 단지들이 경제성을 유 낙농단지(Dairy production and processing) 420 1,080 양돈단지(Pork production and processing) 780 1,620 양계단지(Egg production and processing) 80 160 육계단지(Broiler production and processing) 200 480

수산단지(Aquaculture) 270 405

버섯재배사단지(Mushroom) 40 60

산업생태단지(Industrial Ecology) 230 1,150

가공단지(Processing) 330 1,320

물류단지(Trade and Logistic) 250 1,750

Total 4,300 10,575

100 새만금 농업용지 미래 수요 분석 및 토지이용 연구 (Processing), 물류단지(Trade and Logistics)는 기존 MP와 일치하지 않지만, 이미 MP 에 이런 기능을 수행하는 농산업클러스터 단지(300ha)가 존재하고 있다.

제6장 용도별 토지이용방안 구상 101

<표 6-2> 새만금 Agropark의 SWOT 분석

강점 약점

◦ Agropark의 구성요소는 크게 대도시(Metropole), 생산 및 가공단지(Agroproduction and

9 자세한 내용은 부록 Agropark 유사 개념 정리를 참조바란다.

102 새만금 농업용지 미래 수요 분석 및 토지이용 연구

processing park), 통합물류단지(Consolidation center)이며, Agropark의 핵심은 이러한 구성요소를 연결하는 지능형 농산업 물류 네트워크(Intelligent Agrologistics Networks) 이다.

◦ 현 단계(새만금 간척지 내 대규모 도시 계획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새만금은 농업 생산 단지의 특성이 강하기 때문에 도시농업인 Agropark 개념을 직접 적용하기는 어렵다.

- MP 계획상 비농업용지(70%)에 75만 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예측하고 있지만, 아직 구체적인 실적은 없다.

◦ 따라서 Agropark의 범위 및 구축 단계를 2단계로 나누어 추진하는 장기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 아직 새만금 주변 대규모 도시계획이 불확실한 초기 단계에서는 사실상 식품클러스 터(Foodcluster) 개념으로 Agropark의 범위를 새만금 농업지역으로 한정하고 기존 Agropark 기능에 추가될 고부가가치 아이템을 발굴 및 선정한다.

◦ 중장기적으로는 새만금 도시계획 및 전북 혁신도시 조성 계획과 연계하여 Agropark의 범위를 확장하여 물류센터(Consolidation Center)와 국가식품클러스터, 혁신도시를 연 결하는 지능형 농산업 물류 네트워크(Intelligent Agrologistics Networks) 구축이 필요 하다.

- 단기적으로는 일본, 한반도 및 중국시장을 목표로 할 수 있으며 고부가가치 제품을 중요 대도시에 도달할 수 있는 단거리 해운 시스템과 냉동 컨테이너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그림 6-1> 새만금 농업단지 기본 구상(안)

제6장 용도별 토지이용방안 구상 103

나. 네덜란드 토지이용구상(안)과의 공통점과 차별성

◦ 본 연구의 토지이용구상(안)은 기본적으로 Agropark 보다는 식품클러스터의 의미가 더 크다. 이는 네덜란드 토지이용구상(안)도 Agropark라고 하지 않고 ‘대도시 식품클 러스터(Metropolitan Foodcluster)’라 부르고 있다.

- 차이점은 네덜란드 토지이용계획(안)은 크게 수출농업과 자원순환형 축산의 두 개 축으로 토지이용 배분이 이루어졌다면,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축에 생태관광의 개 념이 추가된 형태이다.

<그림 6-2> Agropark 개념이 적용된 새만금 농업단지 기본 구상(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