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교사정체성 자각과 확립

드러내기도 하였다.

제가 개인적으로 되게 부족하다거나 좀 벅차다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제가 공동체 동료들을 그 정도로 따라가지 못한다는 생각에 벅차다는 느낌이 드 는거죠. 그래서 약간 자괴감을 느낀 적이 있어요. 제가 빠릿하게 아이디어 도 내고 좋은 의견을 내기도 하고 해야 하고 그렇게 하고도 싶은데 그게 잘 안돼더라구요. 그래서 그럴 때 제가 약간 위축되는 느낌이 있어요.

K-17

수업 후에 나도 이 세상에 무언가 의미 있는 일을 하는 존재이구나라는 뿌 듯함이 있어요. 내가 수업을 했을 때 아이들이 열심히 따라와 주고 즐거워 하는 것이 교사가 궁극적으로 바라는 것 아닐까요. 그것이 내가 여기 있는 이유이고 비로소 나의 존재감을 느끼게 되는거지요. 그것이 바로 내가 교단 에 서는 이유니까요. S-39

교육과정을 재구성해서 수업을 디자인하는 과정은 참여자들에게 많은 시간과 노력의 투자를 요구하기에 힘든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참여자들은 이러한 과정 을 통해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이겨낼 만큼의 보람과 자긍심을 느끼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그들의 직무 본질인 수업하는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인식했기 때문 이다. 그들이 공들여 준비한 수업을 학생들이 즐겁게 참여해주고 의미 있는 배움 활동으로 이어질 때 느끼는 기쁨은 그 어떤 고통과 비교될 수 없다. 또한 그들은 재구성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하였다.

교육과정재구성을 하다보면 피곤하죠. 힘들고 피곤하지만 이 활동이 약간 중독성이 강해서 계속 하게 되요. 애들을 보면서 내가 만족스러워요. 애들 이 몰입하고 내가 의도하고 예상했던 오류들을 범하기도 하고 그런 오류를 수정하는 과정을 거치는 모습들을 보면서, 역시 내가 예상한대로 애들이 이 런 반응을 하게 되는구나 하면서 만족감을 느끼게 되요. 또 애들이 이런 행 동도 할 수 있겠구나 하면서 하나씩 애들을 이해하게 되기도 하죠. 이런 학 습을 할 때 아이들의 모습을 이해하게 되니까 어찌 보면 교육과정재구성 수업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교사는 아이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거죠.

좀 더 아이의 본성을 잘 이해하게 되요. B-71

교육활동과 무관한 행정업무의 수행은 참여자들을 한없이 지치게 만들었지만 학생들의 수업을 위해 준비되는 교육과정재구성 활동 실행은 참여자들에게 오히 려 성취감과 행복감을 주었다. 이러한 차이는 바로 교사들의 직업 정체성에 기인 한다. 교사들은 가르치는 사람이므로 잘 가르치기 위해 준비하고 실행하는 시간 은 그들에게 더 나은 교사가 되고자 하는 성취동기를 북돋워 주었다.

재구성 활동 수업을 하고나면 뿌듯한 성취감이 생겨. 교사가 행정업무를 하 면서 맛보는 성취감과 애들에게 교육적으로 투여해서 애들로부터 받게 되 는 성취감과는 비교할 수가 없지. 우리가 함께 재구성한 수업에서 애들이 즐거워하고 수업에 초롱초롱한 눈으로 집중하는 모습 보면 그것이 우리가 바라는 궁극적인 목적이 아닐까. 수업에 몰입한다는 것은 일단 애들이 선생 님이 이끌어 주는 대로 열심히 따라오려는 의지가 보이는 거잖아. 학교를 출근할 때도 새로운 활동을 통해 하루하루 더 초롱초롱해지는 아이들의 눈 동자와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며 오늘도 아이들에게 하나라도 더 의미있는 배움활동을 하게 해주고픈 마음이 생기고 그러면서 출근하는 마음가짐도 일단 달라지게 되더라고. 준비된 수업을 하니 학교에 출근하는 발걸음도 가 벼워지고 좀 더 자신있게 아이들 앞에 설 수 있고 말이야.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내가 스스로 느낄 정도로 마음가짐의 변화가 나에게는 컸던 것 같아. A-25

(2) “내 안의 숨은 능력을 끌어 올려주는 불쏘시개”

: 교사로서 발전에 대한 욕구 상승

공동체 활동에 참여하기 이전에 학교현장에 지쳐있고 학생들과 수업에서도 무 기력했었던 연구참여자들은 교사로서 더 나은 발전을 이루고자하는 욕구를 갖게 되었다. Maslow(2004)는 그의 욕구 위계이론에서 하위 단계의 욕구인 생존, 안 전, 소속, 존경의 욕구가 충족이 되면 최상위의 욕구인 자기실현 욕구를 추구하 게 되어있다고 하였다. Maslow(2004)의 이론 측면에서 이는 교육과정재구성 교 사공동체 내에서 구성원들이 느꼈던 안전과 소속감 그리고 존중감이 바탕이 되 어 그들로 하여금 교사로서 의미 있는 교육활동을 통해 자아실현을 하고자 하는 욕구를 상승시켰을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동료들과 상호작용을 통한 자극과 함 께하면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연구참여자인 교사들로 하여금 보다 의미 있는 교육활동을 하고 싶다는 의지를 갖게 하였다.

함께하는 재구성 활동들은 교사들에게 무엇인가 해보려고 하는 자발적인

추진력 같은 것을 조금 더 끌어올려주는 동기가 된다고 해야 할까요? 그러 니까 본인 안에 숨어있는 능력을 발현시켜주는 뭔가 불쏘시개 같은 느낌이 있어요. 다들 자기 안에 무엇인가를 해낼 수 있는 능력이 숨어 있는데 항상 어렵다고만 생각하고 지레 포기하기만 했기 때문에 못 다가갔던 것을 이 재구성의 과정이 계기를 줌으로써 역량을 끌어올려 준다고나 할까요. 물론 재구성을 교사 혼자서도 할 수 있지만 사실은 혼자서 하다가 지칠 수도 있 고 아이디어가 한계가 있을 수 있잖아요. 근데 여러 명이 함께 하면 아이디 어가 늘 샘솟을 것 같아요. J-50

학생의 입장이나 수업의 실행보다 교육청과 학교조직의 명령 이행에 더 민감 하고 충실했던 참여자가 교육자로서 자신을 신뢰하며 더 나은 교사가 되고자 하 는 마음가짐을 갖게 된 것은 교육과정재구성의 실행과정을 통해 교사정체성을 각성하고 이를 통해 자아실현을 하고자 하는 욕구가 상승했기 때문이다.

덜 의존적인 교사가 된 것 같아요. 이전에는 교과서나 외부의 권위에 두려 움을 갖고 눈치를 보며 의존하는 교사였다면 지금은 내가 나름대로 잘 하 고 있고 잘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어요. 그리고 이전에는 제 기준에서 학생들을 바라보았다면 지금은 그 아이의 수준에 맞게 보려고 노력하게 되 었어요. 이전에는 상당히 무섭고 권위적인 교사였어요. 그것이 교육과정 재 구성을 통해서 변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는데... 교육과정재구성 자체가 교사 가 편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잖아요. 교과서로만 가르칠 때보다 당연히 더 힘들구요. 그러한 것들이 학생들을 대하는 마음가짐이나 생활지도할 때도 연결되는 것 같아요. 교육자로서 교사로서 더 발전적이게 되려고 노력하게 되었죠. D-14

정체성은 자신의 본질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바탕으로 형성되기 시작한다. 교 사라는 직업에 대한 정체성 이전에 교사 스스로의 정서에 대한 존중과 자존감이 바탕이 되어야 직업에 대한 정체성도 바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교사가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에서의 경험을 통해 느끼게 되는 정서적 고양

은 교사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3) “비로소 살아있다는 느낌이 들어요.” : 열정과 헌신

개인의 자존감은 자신이 공동체의 진정한 일원이라는 데서 오는 소속감을 통해 향상되기도 한다. 개인적으로는 무기력하고 불안정하지만 공동체에서 동료들의 도움과 조언을 통해 과제를 해결해가며 자신과 공동체의 힘을 신뢰하게 된다.

재구성 모임에서는 내가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일부이자 구성원으로서의 위치가 있었다는데서 오는 나의 존재감이 상당히 있었지. 교육과정을 재구 성하면서 그 공동체 안의 내가 일원이구나 하는 느낌이 굉장히 컸지. 교육 과정을 만들어가는 구성원으로서의 공동체안의 존재감은 일반적인 동학년 모임에서의 존재감과 완전히 달라. 일반적인 모임에서는 내가 할 수 있는 것도 없고 소심해지고 그래서 무기력해지는 것 같아. 그렇지만 교육과정을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에서의 존재감은 내가 확장되는 느낌이야. 내가 가진 테두리는 작고 자신감도 부족하고 사고도 좁지만 공동체 구성원의 테두리 는 크거든. 그래서 구성원들로부터 주고받는 것들로 인해 그 테두리가 커지 게 되지. A-24

명령 이행에 익숙한 현장의 교사들과 참여자들이 학교에서 하는 일에 자발적 으로 나서기란 어색한 일이며 일부 참여자들은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에의 참여의 계기가 교육정책의 변화나 학교와 주변동료의 요구나 권유 때문이었다고 하였다. 시작은 수동적인 이들도 있었지만 그들은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에 서의 긍정적인 경험과 수업재구성이 긍정적·효과적으로 수업과 학생들의 반응을 변화시키는 것을 실제 체험으로 확인하며 자발적으로 활동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이후에도 공동체를 조직하여 활동을 이어가고 싶다는 의사를 표현하기도 하였다.

내가 지금 다른 학교로 오게 되어 함께 교육과정재구성을 못하고 있잖아.

교육과정 재구성을 안 해본 교사들은 그게 뭐야 그리고 그것을 귀찮게 왜 해야 하는데 라는 부담감을 지니겠지만 나는 누가 교육과정재구성 함께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