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관개용수 수요 예측의 비교

○ 자원고갈과 식량자급도 능력 간의 관계에 대하여 논의하기 위해 PODIUM 모형에 이용되는 World Water Vision(Cosgrove and Rijsberman, 2000)의 3 가지 시나리오 또는 IWMI 보고서의 세계 물 수요와 공급 시나리오 (Seckler et al, 1998) 이후, 수자원과 물이용에 대한 전망과 시나리오가 중요 함. 수자원은 일반적으로 전 세계적으로 부족하다고 보지는 않음. 물 부족 은 수자원 이용가능성과 증가하는 수요 간의 긴장으로 이해되며, 지역적인 규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졌음.

○ 사회·경제적 가정과 기후변화 영향 모두를 고려한 통합모형의 구축은 글로벌 싀스템의 여러 요소들을 연결하는 세부적인 작업임. Shen et al.(2007)은 두 영향을 통합하고 글로벌 규모에서의 도전과제를 제시하는 작업을 하였음.

○ 관개수는 전 세계 물 저장량의 70%이상을 차지함(IWMI, 2007). 그러나 이 수치는 요인별 유형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음.

- 농업부문 바이오매스에 대한 수요 증가 - 관개수 적용의 효율성 증가

- 기후변화에 따른 세계의 지역별 작물의 물 요구량 변화

○ 이러한 관점에서 이 보고서는 방법론과 연과, 주요 물 수요 전망 등을 설명 하였음.

○ 세계 연간 물이용 전망을 비교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음.

- 물이용과 물 이용가능성간의 글로벌 균형이 지역수준에서 더욱 극심한 물부족을 고려할 수 없음. 그러나 예측되는 관개용수 수요의 변화에 중 점을 둔 글로벌 수치는 방법론의 차이와 결과 및 해석상의 흥미로운 차 이를 발견할 수 있음.

- 물 수요와 이용가능성의 연평균가치(annual mean values)는 물 부족의 계 절적 영향으로 과소 추정될 수 있으나, 관개용수 수요의 연평균가치는 농업부문에서 발생하는 변화의 크기를 반영할 수 있음.

○ 방법론과 접근법에 대한 교훈

- 40여 년간의 전망이 추정에 불과하여 큰 중요성을 부여할 수 없다는 것 이 일반적인 결론임. 이러한 전망은 특별한 몇 가지의 질문과 목적에 대 하여 답할 수 있는 특수한 시나리오로 설계되었음. 따라서 연구의 목적 에 적합한 방법론을 선정하고 연구를 계획을 수립해야 함. 연구마다 차 이점이 있기 때문에 결과를 해석하고 설명할 때, 주의를 기울이는 것 또 한 필요함.

- 일부 연구들은 통계적 외삽법(statistical extrapolation)을 거의 사용하지 않아 인과관계를 명쾌하게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장기적인 미래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낮음. 주로 물이용에 대한 연구를 IPCC 사회경제적 시나 리오나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연계시키기 위한 내용을 다루는 일부 연구 들은 예비 연구로 고려됨. 이들 연구는 다른 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물이

용 시나리오 개선에 대한 흥미로운 벤치마킹을 제공해 줌.

○ 기존 전망의 파노라마는 미래 농업 물 수요 변화의 2가지 주요 요인을 강조함.

- 물이용성, 기후변화, 토지 이용가능성으로 인해 생산량 증가 제약 - 물 정책과 농업정책, 식량정책, 무역정책을 고려하여 정책 선정

○ 일부 연구들은 물 이용가능성에 대한 제약이 없는 BAU 시나리오를 바탕으 로 여러 가지 가능한 시나리오를 고려함. 이런 참조 시나리오(reference sce-nario)들은 현실적이지 않을 수 있으나 논의할 수 있는 상황을 조성한다는 점에서, 특히 수요관리와 공급관리 조치 및 그 비용에 대한 논의를 시작한 다는 의의가 있음.

○ 미래 물 수요 시나리오는 여러 이용과 제약을 비교 평가함으로 실현가능성 을 사전적으로 평가하여 정책선택에 정보를 주는데 의미가 있음.

○ IWMI는 6개 시나리오를 검토하는 매우 포괄적인 작업임. 관개지역이 증가 하여 식량생산이 증가하는 시나리오는 현실적인 시나리오 하에서 관개지역 의 최대 증가의 크기 순서를 제공함. 또한 6가지 방안의 정책조합을 통한 정책적 제안도 제시해 줌.

○ 글로벌 데이터의 비교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방법론적 의문은 글로벌 관개 용수 수요 수치는 수렴하지만, 현재 관개 지역의 평가에 있어서는 큰 차이 가 발생한다는 것임. 실제 관개 관리 및 농장에서의 작물 요구를 반영하기 위하여 ha당 및 연간 적용되는 관개용수의 통계적 평균값을 개선해야 야 함. 아니면, 경작패턴, 품종 선택, 효율성 등을 반영한 글로벌 규모의 대체 접근법을 개발하여 다른 지표를 대체해야 함.

○ 관개 및 식량안보를 위한 미래 물 수요

- 연구들의 파노라마로부터 몇 가지 교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 전 세계 규모에서 관개에 대한 수요는 안정적일 수 있으며, 물 수요와 가동판(mobilised) 수자원 간의 세계적 차이는 없음. 다양한 전망치에서 자원의 제한적 이용가능성의 효과는 관개용수 수요에 내제화될 것임.

- 식량생산 증진을 위하여 관개가 필요한 많은 지역에서 물 탐사 지수 (water exploitation index)는 이미 높은 수준이며, 농업 외의 다른 용도 또한 점점 많아져 가고 있음. 다른 용도의 물이용이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 농업용 이용가능성이 더욱 높다고 볼 수는 없음. 일부 국가에서는 재 배 잠재력이 제한되고, 생산 증가는 강우 및 관개지역에서의 물 및 토지 생산성 증가에만 의지하고 있음.

○ 기후변화의 영향이 반드시 관개시설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일부 다른 지역에서 관개에 대한 경험이 없을 수 있음. 식량 생산 증대는 천수농 업(rainfed agriculture)에서의 생산성 증대를 통해 가능할 수 있음.

○ 아프리카 및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물이 관개시설을 통해 이용가능함. 그러 나 관개시설 구축에 필요한 인프라를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따라서 식 량안보문제와 관련하여 농경지역의 큰 확대 없이 식량수요와 식량생산의 균형을 맞추는 방법을 찾으려 시도하고 있음.

○ 인프라 유동성 수자원에 대한 투자 요구와 비교하여, 2030년 Water Resource Group Report에서 물 수요와 이용가능한 자원간의 차이의 개념 이 등장하였음. 물과 농업 분야의 전문가들이 매우 부족함.

○ 선행 연구들의 주된 차이점은 관개시설과 수자원 유동성에 대한 투자 역할 의 중심에 있음. 일부 연구들은 이러한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강력하게 요 구하고 있음.

- 여러 지역에서 관개용수 수요는 이용 분야별로 경쟁관계에 있으며, 일반

적으로 농업부문에 우선순위가 있음.

- 새로운 관개 인프라의 개발 및 관리에 있어서 다양한 문제점이 있음. 재 정 문제, 토지 이용권, 사회 조직, 사회·경제적 영향, 사회 서비스와 인프 라에 대한 필요 등의 문제점들이 있음.

○ 물 부족과 관련하여 식량안보 구축을 위하여 많은 요소들이 동원될 수 있 음. 영양, 식단, 무역, 농업생산에 대한 다양한 정책들이 관련됨.

- 관개용수 이용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가장 우선순위임. 따라서 물의 생산 성, 즉 이미 농업부문에 할당된 물의 효율성을 높여야 함.

-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관개 관리의 차별화가 중요함. 기후변화 및 강우의 변동성 등 취약성을 보상할 수 있는 관개의 역할이 점점 중요해질 것임.

- 천수 및 관개 농업 생산성 증대가 중심적인 역할을 해야 함.

- 관개용수 이용 효율성의 증대는 물리적인 효율성 개선을 줄이는 것이 아 니라 작물재배 패턴의 변화를 포함해야 함.

- 물 부족 국가의 경우 식량 수입은 식량 수급(food balance)에 있어서 중 요한 역할을 함.

- 천수농업(rainfed agriculture)의 생산성과 생산의 증가는 농업생산 증가에 서 중요한 요소로 기대받고 있음. 특히, 사하라 사막 이남지역, 소규모 농 가와 같이 관개 계획이 제한된 지역에서 중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