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과제와 결론

문서에서 해외곡물시장 동향 제6권 제11호 (페이지 127-131)

▢ 밀

Part 2. 해외곡물산업 포커스

5.2. 과제와 결론

우크라이나 밀 농업의 전망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이다. 예들 들면, 밀과 다른 곡물의 가격 변화이다. FAO와 OECD에 따르면 2025년까지 세계 곡물가격은 실질가격 기준으로 내림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 약세의 상황 에서는 투입재를 더 사용하여 단수를 증대시키거나 경작면적을 확대할 유인책이 약해질 수밖에 없다. 밀과 경쟁관계에 있는 다른 곡물의 상황도 감안해야 한다. 최 근에 가축 사료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옥수수, 사료용 보리, 유지종자 등의 생산이 늘어났는데, 그 경작면적 증가율이 지난 10년 간 밀의 실적을 초월하고 있다. 소득 수준이 상승하고 있는 중국에서 사료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도 이와 같은 변화를 설명해 주고 있다.

위에서는 생물리적 조건에 기반을 두고 그 생산 잠재력을 전망한 분석(시나리오 분석)과 경제적 요인을 반영한 계량 모형 중심의 전망 결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 해 주목할 사항은 비록 우크라이나 밀 농업이 가진 생산 잠재력이 지금의 거의 2 배 가까이 된다고 하더라도 그 실현 여부는 경제적인 요인 등 다양한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이란 사실이다.

우크라이나가 식량안보와 불확실성에 대비하려면 작물 다각화를 추구하는 전략 이 불가피할 것이다. 이는 변모하는 국내소비 패턴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경제 및 정치적 요인들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세계시장의 흐름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방 편일 수 있어 중요하다(예: 2000년대 후반에 식량가격 폭등에 따른 수출국들의 수 출제한 조치;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으로 인한 시장변화; 중국 축산업의 발전 등). 지난 10년 간 농가들이 유지종자 생산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늘렸다는 점은 시장의 수익성에 농가들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우크라이나가 수출시장에서 더욱 그 지위를 강화하려면 앞에서 제기한 수출 하 부구조의 확대와 안정된 시스템 구축 이외에도 수출 곡물에 대한 품질 관리가 중 요하다. 품질에 관한 불신이 제기된 사례가 다수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면, 유기 농 농산물에 대한 위조 인증으로 신뢰와 투명성이 저하된 경우이다(Business Ukraine, https://goo.gl/9KTAwm).

끝으로, 기술향상과 인적자원 강화로 상대적으로 낮은 생산성을 제고하는 노력 이 필요하다. 이는 경작지 확대나 투입재 사용의 집약에 너무 의존하지 않는, 지속 가능한 방식아래 생산 확보를 담보하는 유용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해외곡물시장 동향 해외곡물산업 포커스 해외곡물시장 브리핑 세계 농업기상 정보 부 록

126

참고문헌

Acs, S., Borodina, O., Paloma, S. and Kharchenko, A. 2013. Ukraine’s Agriculture:

Potential for Expanding Grain Supply. Economic and Institutional Challenges.

JRC Scientific and Policy Report, European Commission. (https://goo.gl/agc7KX) Central Intelligence Agency[CIA]. 2017. The World Factbook. (https://goo.gl/1HbW9o) Lerman, Z. 2017. Privatization and Changing Farm Structure in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In Paloma, S., Mary, S., Langrell, S. and Ciaian, P.

(eds), The Eurasian Wheat Belt and Food Security: Global and Regional Aspects. Switzerland, Springer.

Lerman, Z., Sedik, D., Pugachev, N. and Goncharuk, A. 2006. Ukraine after 2000:

A Fundamental Change in Land and Farm Policy? Discussion Paper No.7.06, The Center for Agricultural Economic Research. (https://goo.gl/ACYbRv) Liefert, W. and Liefert O. 2017. The Development of the Eurasian Livestock and

Grain Economies. In Paloma, S., Mary, S., Langrell, S. and Ciaian, P. (eds), The Eurasian Wheat Belt and Food Security: Global and Regional Aspects.

Switzerland, Springer.

Morelli, V. 2017. Ukraine: Current Issues and US Policy.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January 3, 2017. (https://goo.gl/BQb3eq)

Pugachov, V. and Pugachov, N. 2017. Agrarian Reform in Ukraine. In Paloma, S., Mary, S., Langrell, S. and Ciaian, P. (eds), The Eurasian Wheat Belt and Food Security: Global and Regional Aspects. Switzerland, Springer.

Schroeder, K. and Meyers, W. 2017. Credit and Finance Issues in the Eurasian Wheat Belt. In Paloma, S., Mary, S., Langrell, S. and Ciaian, P. (eds), The Eurasian Wheat Belt and Food Security: Global and Regional Aspects. Switzerland, Springer.

SigmaBleyzer, 2013. Unleashing Ukrainian Agricultural Potential to Improve Global Food Security. The Bleyzer Foundation, June 2013. (https://goo.gl/XhDKCi) Swinnen, J., Burkitbayeva, S., Schierhorn, F., Prishchepov, A. and Muller, D. 2017.

“Production Potential in the “Bread Baskets” of Eastern Europe and Central Asia.” Global Food Security 14(2017): 38-53.

The Times of India. 2017. UkrAgroConsult Raises Ukraine Grain Harvest, Exports Forecast. September 5, 2017. (https://goo.gl/jr2nkF)

USDA. 2017a. Ukraine: Grain and Feed Update. GAIN Report No. UP1723, Octobor 10, 2017. (https://goo.gl/umjq1q)

우크라이나 밀 수급 변화와 전망

______. 2017b. Ukraine: Grain and Feed Annual. GAIN Report No. UP1709, April 13, 2017. (https://goo.gl/QnEFgR)

______. 2017c. Ukraine: Grain and Feed Update. GAIN Report No. UP1701, January 19, 2017. (https://goo.gl/PZneGs)

Wolf, V. and Banse, M. 2017. Ukraine Oilseed and Grain Markets till 2030. Paper presented at the IAMO Forum 2017. (https://goo.gl/Ewr9ro)

World Economic Forum. 2016.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6~2017.

Insight Report, Geneva. (https://goo.gl/dzWSrK)

Zulauf, C., Lines, A. and Pryshliak, N. “Spanning the Globe–Corn, Soybean, and Wheat Production and Exports since 2000: Focus on the Black Sea Area and the U.S." farmdoc daily(7):102, Department of Agricultural and Consumer Economics,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June 2, 2017.

(https://goo.gl/4qBDio)

향후 주요 쌀 수입국으로 부각되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

향후 주요 쌀 수입국으로 부각되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

1)

정원호(부산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Sub-Saharan Africa; SSA) 국가들의 빠른 경제성장과 도시화는 그들의 식품소비 패턴을 전통식품에서 쌀로 전환시켜 왔다. 이에 따라 쌀은 SSA의 주식이 자 주요 영양소로 부상하게 되었다.

향후 SSA 국가들의 쌀 수요는 공급을 크게 초과할 것으로 보이므로 수입물량의 지속적 인 증가가 예상된다. 미국 농무부(USDA)는 SSA의 쌀 수입물량이 2017년 12.3백만 톤에서 2026년 15.4백만 톤으로 증가하며 아시아 국가들의 쌀 수입물량을 추월하여 국제 쌀 수입 의 선도지역이 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이와 같은 SSA의 쌀 수입증대에도 불구하고 미국산 쌀은 높은 가격에 따른 경쟁력 저하 로 인하여 이 지역으로의 수출이 1990년대 초 50만 톤(SSA 전체 쌀 수입의 15%)에서 2016년 10만 톤(SSA 전체 쌀 수입의 1% 미만)으로 크게 감소한 상황이다.

본고는 미국 농무부가 향후 주요 쌀 수출 전략지역으로 SSA 국가들을 분석하고 있는 보 고서를 소개하며 우리나라의 잠재적 쌀 수출국으로서 SSA를 활용할 수 있을지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문서에서 해외곡물시장 동향 제6권 제11호 (페이지 127-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