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V. Art PROPEL을 적용한 중등교육의 오케스트라 지도

Ⅴ. 결론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의 학생오케스트라를 지도함에 있어서 아츠 프로펠의 이론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지도계획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기존 연주 수업의 지도방법으로 진행되는 중학교 오케스트라 합주 수업의 결과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보완할 수 있는 제안으로써 아츠 프로펠 이론을 적용한 학생 오케스트라 수업의 기존 연구들을 선행 연구하고 이에 보완점을 위한 연 구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주제인 아츠 프로펠 이론을 오케스트라 합주수업에 적용해본 결과 다양한 학 습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주수업에 임하는 학생들은 아츠 프로펠 수업의 악곡연습은 전체 연주곡 뿐 만 아니라 음계연습, 악기주법연습, 악상연습 등의 악기집중학습이 병행되어 실시되었 기 때문에 학생들이 스스로 보완될 점을 파악하여 집중적으로 연습하도록 유도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실제 연주의 실력이 점차적으로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연주 도메인 프로젝트에서 음악용어를 사용한 학습은 학생들이 스스로의 악기 연습에 대한 문제점을 구체적인 음악적 관점의 시선으로 바라보게 하였고, 학생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자발적으로 찾으려고 노력하였다. 이에 따라 자신의 연주 를 평가하는 내용이 음악적인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표현되었고, 개인연주 및 합주에 대한 음악적 요소를 적용하는 데에 흥미를 느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비평하는 과정과 이를 기록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보다 더 나은 연주를 위한 고민을 하고, 이에 대한 음악적 제안 및 반성을 하는 활동을 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은 인지적 사고와 반성적 사고가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상대 연주자에 대한 전문 적인 음악적 평가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연주나 상호간의 연주에 대해 비평을 하게 함으로써 부족한 부분을 스스로 인지하고 보완하는 모습을 보였다.

넷째, 교사 또한 학생들의 비평지 및 비교지, 음악일지 등을 살펴보면서 수업에 대 한 반성과 앞으로의 오케스트라 수업에 대한 계획을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 다. 교사는 여러 비평지들과 음악일지들, 학생들과의 면담을 통해 학생들의 특성과 수

업을 이해하는 정도 등을 파악할 수 있어서 수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연주능력의 변화와 비평지 및 음악일지의 서술내용들이 음 악용어를 쓰고 구체적이며 뚜렷하게 변화는 모습을 보았고, 학생들 간의 상호지도 작 용과 서로를 더 배려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연주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 다. 또한, 교사는 학생들의 기록에서 관찰자의 위치에서 있지만 그 해결방법을 찾는 데 까지는 교사가 관련된 질문을 유도하는 것이 그에 따른 도움을 주었다. 그리고 이 러한 과정에서 수집된 프로세스폴리오를 통한 학생과 교사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역할 을 하고 있음을 인식하게 해주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면 아츠 프로펠 이론의 연주 도메인프로젝트는 창의적인 연주 학습과 효과적인 음악 인지능력향상 및 반성적 사고에 의한 상호작용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를 적용한 중학교 오케스트라 합주수업은 보다 자율적이며 능률적인 연주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악기지도의 새로운 대안이라 할 수 있다.

참 고 문 헌

교육부(2011).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1 - 361호.

교육부(2015).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 - 74호.

교육부(2016). 인성교육 5개년 종합계획(2016~2020). 서울: 교육부 Gardner, H.(2007). 다중지능. 문용린, 유경재 공역, 서울: 웅진씽크빅 Goodman, N.(1998). 예술과의 대화. 이은주 역, 서울: 학문사

노현지, 최진호(2013). 아츠프로펠을 적용한 방과 후 기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음악교육연구, Vol. 42, 105-126

문동미(2003). Arts PROPEL에 근거한 초등 음악 창작 활동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주희(2012). Arts PROPEL을 적용한 중학교 오케스트라 수업 지도방안. 석사학위논 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숙자(2005). Arts PROPEL의 음악 평가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 희대학교 교육대학원.

백승란(2007). Arts PROPEL의 연주 도메인 프로젝트를 적용한 중학교 기악합주수업.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승윤희(2002). 음악교육의 심리학적 기반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음악교육연구, Vol.

23, 145-147

윤가인(2016). 아츠프로펠(Arts PROPEL)을 적용한 중학교 오케스트라 교육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조미연(2011). 아츠프로펠의 연주도메인 프로젝트를 적용한 가창 학습이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최정인(2002). Art PROPEL의 이론과 실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허선옥(2014). 아츠 프로펠의 이론을 적용한 초등학교 오케스트라 지도안 연구. 석사

학위논문,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홍정현(2007). Art PROPEL의 연주 도메인 프로젝트를 적용한 리코더 합주 지도. 석

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Aaron, J.(1994). Integrating Music with Core Subjects. Music Educators Journal 80, 33-36.

Campbell, B.(1997). Variation on a Theme: How Teachers Interpret Multiple Intelligences. Educational Leadership 55, 14-19.

Campbell, L., Campbell, B., and Dickinson, D.(2003).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Multiple Intelligences. Boston, MA: Allyn and Bacon.

Fiona, B.(1994). Values Inherent in Qualitative Assessment of Secondary Studio Art in North America: Advanced Placement, Arts PROPEL, and International Baccalaureate. Studies in Art Education, Vol 35, No 4, 237-251.

Gardner, H.(1989). Zero-Based Arts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ARTS PROPEL. Studies in Art Education, Vol 30, No 2 , 71-83.

Gardner, H and Perkins, D.(1988). Art, Mind & Education: Research from Project Zero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Gardner, H.(1993). Multiple Intelligences: The Theory in Practice. NY: Basic Books.

Goodman, N.(1968). Languages of Art. Indianapolis, IN: Bobbs-Merrill.

Winner, E. (Ed.).(1991). Arts PROPEL: An Introductory Handbook. Cambridge, MA: Project Zero, Harva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inner, E.(1992). Art PROPEL: An introductory handbook. Harvard Project Zero and Educational Testing Service: Harva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부 록

<부록 1> 음악적 배경설문지 ‘나의 음악을 소개합니다’

<부록 2> 동료인터뷰1 ‘내 친구는 어떤 음악가일까? 1’

<부록 3> 음악일지1 ‘나의 일지 속에 저장 1’

<부록 4> 음악일지2 ‘나의 일지 속에 저장 2’

<부록 5> 음악일지3 ‘나의 일지 속에 저장 3’

<부록 6> 음악일지4-1 ‘나의 일지 속에 저장 4’

<부록 7> 음악일지4-2 ‘나의 일지 속에 저장 4’

<부록 8> 음악일지5-1 ‘나의 일지 속에 저장 5’

<부록 9> 음악일지5-2 ‘나의 일지 속에 저장 5’

<부록 10> 개인연주 비평지1 ‘나의 연주에 대한 생각’

<부록 11> 개인연주 비평지2 ‘나의 연주에 대한 생각’

<부록 12> 합주리허설 비평지1 ‘내가 음악비평가라면?’

<부록 13> 합주리허설 비평지2 ‘내가 음악비평가라면?’

<부록 14> 합주리허설 비교지1 ‘어제와 오늘의 연주는 얼마나 향상되었을까?’

<부록 15> 합주리허설 비교지2 ‘어제와 오늘의 연주는 얼마나 향상되었을까?’

<부록 16> 개인지도 비평지1 ‘친구의 마스터클래스 노트’

<부록 17> 개인지도 비평지1 ‘친구의 마스터클래스 노트

<부록 18> 자기평가지1 ‘아츠 프로펠을 통한 나와 악기의 변화’

<부록 19> 자기평가지2 ‘아츠 프로펠을 통한 나와 악기의 변화’

<부록 1> 음악적 배경설문지 ‘나의 음악을 소개합니다’

<부록 2> 동료인터뷰1 ‘내 친구는 어떤 음악가일까? 1’

<부록 3> 음악일지1 ‘나의 일지 속에 저장 1’

<부록 4> 음악일지2 ‘나의 일지 속에 저장 2’

<부록 5> 음악일지3 ‘나의 일지 속에 저장 3’

<부록 6> 음악일지4-1 ‘나의 일지 속에 저장 4’

<부록 7> 음악일지4-2 ‘나의 일지 속에 저장 4’

<부록 8> 음악일지5-1 ‘나의 일지 속에 저장 5’

<부록 9> 음악일지5-2 ‘나의 일지 속에 저장 5’

<부록 10> 개인연주 비평지1 ‘나의 연주에 대한 생각’

<부록 11> 개인연주 비평지2 ‘나의 연주에 대한 생각’

<부록 12> 합주리허설 비평지1 ‘내가 음악비평가라면?’

<부록 13> 합주리허설 비평지2 ‘내가 음악비평가라면?’

<부록 14> 합주리허설 비교지1 ‘어제와 오늘의 연주는 얼마나 향상되었을까?’

<부록 15> 합주리허설 비교지2 ‘어제와 오늘의 연주는 얼마나 향상되었을까?’

<부록 16> 개인지도 비평지1 ‘친구의 마스터클래스 노트’

<부록 17> 개인지도 비평지2 ‘친구의 마스터클래스 노트’

<부록 18> 자기평가지1 ‘아츠 프로펠을 통한 나와 악기의 변화’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