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건화물선 수요·공급 분석과 전망

문서에서 해외곡물시장 동향 제6권 제11호 (페이지 96-103)

▢ 밀

1. 건화물선 수요·공급 분석과 전망

해외곡물시장 동향 해외곡물산업 포커스 해외곡물시장 브리핑 세계 농업기상 정보 부 록

94

곡물 해상운임 동향과 전망

▮ 석탄 물동량 추이와 전망

금년 석탄(원료탄, 연료탄) 물동량은 전년 대비 ‘4.6%(5,280만 톤)’ 증가한 ‘11.9 억 톤’으로 예상되며 전월 대비 전망치가 ‘1,000만 톤’ 가량 큰 폭으로 상향 조정 되었다.

금년 중국의 철강 수출 감소세에도 불구하고 자국 내 철강 수요 증가로 인해 원 료탄 수입량이 16% 가량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한편 유럽 지역 또한 독일 과 프랑스의 수입 강세에 힘입어 금년 수입량이 2011년 이후 6년 만에 처음으로 증가세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화력 발전에 이용되는 연료탄의 경우 금년 전 세계 물동량이 ‘9.4억 톤’으로 전 년 대비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2015년과 2016년 물동량이 각각

‘6.4%’와 ‘0.5%’ 감소를 기록한 이후 3년래 첫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금년 한국의 연료탄 수입량이 전년 대비 19% 가량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전반적인 전력 수요 증가와 일부 원전 가동 중단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한편 항해 거리가 짧은 호주, 인도네시아, 러시아의 금년 연료탄 수출이 전년 대 비 ‘2~4%’ 증가에 그치는 반면 비교적 장거리로 운송하는 미국과 남아프리카 공화 국의 수출량은 전년 대비 각각 ‘57%’와 ‘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톤·

마일 증가로 이어지며 P’max 선형의 해상운임 상승 압력을 높이는 주요한 요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림 2. 석탄 물동량 추이와 전망

(단위: 백만 톤) (단위: %) 1,400

1,200 1,000 800 600 400 200 0

원료탄

연료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원료탄

연료탄

원료탄

연료탄

0 10 20 30 40 50 자료: Clarkson

전월전망치 대비증감

전년대비증감

해외곡물시장 동향 해외곡물산업 포커스 해외곡물시장 브리핑 세계 농업기상 정보 부 록

96

▮ 주요 곡물 물동량 추이와 전망

‘美 농무성(U.S.D.A)’에 따르면 2017/18 시즌 주요 곡물(소맥, 옥수수, 대두) 물 동량은 전 시즌 대비 ‘2.7%(1,260만 톤)’ 증가한 ‘4.84억 톤’으로 전망되며 전망치 가 전월 대비 ‘180만 톤’ 하향 조정되었다. 같은 기간 국제 곡물 위원회 (I.G.C) 전 망치 또한 ‘4.71억 톤’으로 美 농무성과 비슷한 ‘2.9%(1,330만 톤)’ 증가를 예상하 고 있으며 옥수수와 대두 물동량 증가 폭이 상대적으로 큰 반면 소맥 물동량은 소 폭 감소 또는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동 기관은 전망하였다.

2017/18 시즌 대륙별 곡물(소맥, 잡곡) 수입량을 살펴보면 중동, 유럽, 북미의 수입량이 전 시즌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아시아, 남아메리카, 아프리 카 대륙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곡물 수입량 중 약 33% 가량을 차지하는 아시아 대륙의 경우 2017/18 시즌 수입량이 전 시즌 대비 5% 가량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중국의 수입량이 2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며 이에 대 해 ‘Clarkson’은 중국의 소맥과 옥수수 작황 호조와 곡물 저장 시설 이용 증가세가 주요한 원인이라고 지적하였는데, 옥수수와 소맥 수입 감소분을 큰 폭의 대두 수 입 증가세가 상쇄하고 있는 상황으로 보인다.

한편 2017/18 시즌 이집트의 곡물 수입이 전 시즌 대비 11% 가량 크게 증가하며

‘2,19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동시에 동 기간 멕시코의 수입량 또한 ‘2,110 만 톤’으로 전망되는데 이에 따라 두 국가들이 조만간 현재 세계 1위 곡물 수입국 인 일본(2,270만 톤)을 앞지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그림 3. 주요 곡물 물동량 추이와 전망

(단위: 백만 톤) (단위: %) 500

450 400 350 300 250 200 150 100 50 0

대두

옥수수

소맥

08/09 09/10 10/11 11/12 12/13 13/14 14/15 15/16 16/17 17/18

대두

옥수수

소맥 대두

옥수수 소맥

-5 0 5 10

자료: U.S.D.A

전월전망치 대비증감

전년 대비 증감

곡물 해상운임 동향과 전망

▮ 소맥 물동량 추이와 전망

2017/18 시즌 소맥 물동량은 전 시즌 대비 ‘10만 톤’ 증가한 ‘1.82억 톤’으로 전 망되는 가운데, 캐나다의 수출 전망치가 작황 개선에 힘입어 ‘50만 톤’ 상향 조정 되었으며 아르헨티나의 신곡 수출도 호조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SSY’ 자료를 통해 분기별 물동량을 살펴보면 금년 4분기 전 세계 소맥 물동량 은 ‘3,700만 톤’으로 3분기 ‘3,910만 톤’ 대비 ‘210만 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출 지역별로는 미국의 수출량이 ‘700만 톤’에서 ‘540만 톤’으로 ‘160만 톤’ 감소 할 것으로 보이는 동시에 호주의 수출량도 ‘460만 톤’에서 ‘320만 톤’으로 ‘140만 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유럽의 4분기 소맥 수출이 전 분기 대비 ‘160만 톤’ 증가하는 한편 아르헨티나도 소폭 증가가 예상된다.

한편 2017/18 시즌 호주의 소맥 수출이 ‘2,000만 톤’으로 예상되는 동시에 전망 치 또한 전월 대비 ‘100만 톤’ 하향 조정되었으나, 이는 자국 내 작황이 매우 좋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수출 감소폭은 생각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美 농무성’은 지적 하였다. 그러나 세계 2위 소맥 수입국인 동시에 50% 가량의 소맥 수입을 호주에 의존하는 인도네시아가 흑해 지역으로부터 소맥 수입량을 늘릴 경우 내년부터는 호주의 소맥 수출이 타격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며 주요한 변수는 수출 국가별 가 격 차이가 될 것으로 동 기관은 전망하였다.

그림 4. 소맥 물동량 추이와 전망

(단위: 백만 톤) (단위: %) 140

120 100 80 60 40 20 0

캐나다

호주

미국

유럽

러시아

08/09 09/10 10/11 11/12 12/13 13/14 14/15 15/16 16/17 17/18

호주 캐나다 미국 유럽 러시아 호주 캐나다 미국 유럽 러시아

-5.0 –2.5 0.0 2.5 5.0 7.5 자료: U.S.D.A

전월전망치 대비증감

전년 대비 증감

해외곡물시장 동향 해외곡물산업 포커스 해외곡물시장 브리핑 세계 농업기상 정보 부 록

98

▮ 옥수수 물동량 추이와 전망

2017/18 시즌 전 세계 옥수수 물동량은 2016/17 시즌 대비 ‘6.4%(900만 톤)’ 증가 한 ‘1.51억 톤’으로 전망되며 전월 대비 전망치가 ‘140만 톤’ 가량 하향 조정되었다.

금년 4분기 전 세계 잡곡 물동량은 ‘4,470만 톤’으로 3분기 ‘4,850만 톤’ 대비

‘380만 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아르헨티나의 수출량이 ‘910만 톤’에서

‘580만 톤’으로 ‘330만 톤’ 가량 감소하는 동시에 미국의 수출량도 ‘1,330만 톤’에 서 ‘1,070만 톤’으로 ‘260만 톤’ 가량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반면 브라질의 잡곡 수출 강세가 지속되며 4분기 수출량이 전 분기 대비 ‘60만 톤’ 증가한 ‘1,410 만 톤’으로 예상되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지역의 4분기 잡곡 수출 또한 전 분기 대 비 ‘190만 톤’ 증가할 것으로 ‘SSY’는 전망하였다.

한편 ‘美 농무성’에 따르면 한국의 옥수수 수입이 2013/14 시즌 이후 전반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고 특히 미국산 옥수수 수입 비중 또한 한미 자유무역 협정에 도 불구하고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가격에 매우 민감한 한국 의 사료 곡물 수입의 특성으로 인해 많은 양이 소맥, 주정박(DDGS) 수입 또는 자 국산 쌀로 대체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이나 옥수수 가격이 하락세를 보임에 따라 향후 수입량은 다시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동 기관은 전망하였다.

그림 5. 옥수수 물동량 추이와 전망

(단위: 백만 톤) (단위: %) 140

120 100 80 60 40 20 0

우크라이나

아르헨티나

브라질

미국

08/09 09/10 10/11 11/12 12/13 13/14 14/15 15/16 16/17 17/18

우크라이나 아르헨티나 브라질 미국 우크라이나 아르헨티나 브라질 미국

-20 -10 0 10 20 자료: U.S.D.A

전월 전망치 대비증감

전년대비 증감

곡물 해상운임 동향과 전망

▮ 대두 물동량 추이와 전망

2017/18 시즌 대두 물동량은 2016/17 시즌 대비 ‘2.4%(350만 톤)’ 가량 증가한

‘1.51억 톤’으로 전망되며 전망치가 전월 대비 ‘40만 톤’ 하향 조정되었다.

최근 ‘SSY’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4분기 소맥과 잡곡 물동량은 3분기 대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나 4분기 대두 물동량은 ‘4,840만 톤’으로 전 분기 ‘4,360만 톤’ 대비 ‘480만 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브라질의 대두 수출이 지난 2분기에

‘3,490만 톤’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뒤 3분기에는 ‘2,070만 톤’으로 감소하였 으며 4분기에는 ‘630만 톤’으로 전 분기 대비 ‘1,440만 톤’ 가량 크게 감소할 것으 로 전망되고 있다. 반면 미국의 수출량은 3분기 ‘1,130만 톤’에서 4분기에는

‘3,410만 톤’으로 ‘2,280만 톤’ 가량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전 세계 대 두 수출의 중심이 남미에서 미국 동부 지역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는 것을 ‘SSY’

데이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017/18 시즌 중국이 대두 수입량이 전 시즌 대비 ‘2.7%’ 증가한 ‘9,500만 톤’으 로 전망되는데, 2016/17 시즌 증가율이 ‘11%’를 넘었고 2014년에서 2017년까지 평 균 증가율이 ‘8%’선을 기록했음을 감안하면 수입량이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된다. 2017/18 시즌 기준 중국이 전 세계 대두 수입의 ‘63%’로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고는 있으나 최근 들어 대두 수입이 빠르게 늘고 있는 이집트, 파키스탄, 베 트남 등에 대해서도 주시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그림 6. 대두 물동량 추이와 전망

(단위: 백만 톤) (단위: %) 140

120 100 80 60 40 20 0

아르헨티나

미국

브라질

08/09 09/10 10/11 11/12 12/13 13/14 14/15 15/16 16/17 17/18

아르헨티나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미국 브라질

-1 0 1 2 3 자료: U.S.D.A

전년 대비 증감

전월전망치 대비증감

해외곡물시장 동향 해외곡물산업 포커스 해외곡물시장 브리핑 세계 농업기상 정보 부 록

100

▮ 건화물선 선복량 추이와 전망

‘Clarkson’에 따르면 금년 말까지 건화물선의 신조 인도량과 해체량은 각각

‘4,240만 톤’과 ‘1,530만 톤’으로 예상되며 금년 말 건화물선 선복량은 ‘8.21억 톤’

으로 작년 말 대비 ‘3.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선형별로 보면 금년 Cape 선복 증가율이 ‘3.2%’로 예상되는 한편 P’max 와 S’max 선형의 선복 증가율은 각각

‘3.5%’와 ‘4.5%’로 전망된다.

6~7월을 단기 정점으로 건화물선의 선복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는데 이는 최근 시황 상승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6월에 Cape 선복 순증감이 ‘137 만 톤(7척 인도, 1척 해체)’을 기록한 뒤 7월 ‘54만 톤’, 8월 ‘40만 톤’으로 감소했 고 이후 9월에는 순증감이 ‘2만 톤(5척 인도, 5척 해체)’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되 고 있다. P’max 선형의 경우에도 지난 6월과 7월에는 각각 ‘49만 톤’ 정도 증가한 뒤 8월과 9월에는 신조 인도량 보다 해체량이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뚜렷한 시황 회복세와 상대적으로 낮은 연료 유가는 필연적으로 선속 증가 를 유발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최근 ‘Clarkson Platou’는 선속이 정상화 될 경우 선복량이 ‘10~14%’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되며 이로 인해 운임 상승이 제한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림 7. Cape ‧ P'max 월별 신조인도 ‧ 해체 ‧ 순증감 추이

(단위: 천 톤) 4,000

3,000 2,000 1,000 0 (1,000) (2,000) (3,000) (4,000)

3,000

2,000

1,000

0

(1,000)

(2,000)

(3,000) 자료: Clarkson

곡물 해상운임 동향과 전망

문서에서 해외곡물시장 동향 제6권 제11호 (페이지 96-103)